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지
오직
d라이브러리
"
다만
"(으)로 총 2,278건 검색되었습니다.
(1) 우주탄생 비밀 캐는 새방법 제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불가능에, 손은 가능하다는 쪽에 걸었다. 물론 둘다 중력파의 존재를 인정 한다.
다만
2천년까지 검출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 의견이 갈린 것이다. 과연 누가 포도주를 가져갈 것인가.이러한 내기가 가능한 것은 중력파란 존재가 너무나 미약해 검출하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이론적으로는 질량을 ... ...
성운·성단·은하 관측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모양을 감상할 수 있기 때문에 초보자들이 집중적으로 관측해 볼만한 대상이다.
다만
관측자 자신이 그때 그때에 따라 적당한 배율을 선택하여 관측해야 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예를 들어 히아데스와 같이 큰 것은 쌍안경으로도 볼 수 있고, 플레이아데스, 페르세우스자리의 이중성단, 그리고 ... ...
사용하긴 쉬워도 이해하긴 어려운 멀티태스킹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백그라운드와 포그라운드 우선권은 숫자로 적어넣게 되는데, 이 숫자에는 기준이 없고
다만
다음과 같은 원리가 적용된다. 만약 5개의 태스크를 띄우고 있다면 5개의 태스크에 각각 할당된 숫자(사용자 지정)가 모두 더해진다. 그 다음에 각 태스크에 할당된 숫자를 합한 숫자로 나눈 것이 그 ... ...
바이오스피어Ⅱ대원 귀환 보고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될 것이다. 물론 반드시 바이오스피어Ⅱ가 다른 행성에 지어질 것이라는 얘기는 아니다.
다만
우리는 그와 같은 환경에서 인간생활을 장기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지, 공기와 물 음식을 조달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같은 문제에 대한 해결의 단초를 이곳 ... ...
우주발전 현실로 다가온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나트륨의 산화문제도 우주공간에서는 산소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문제가 전혀 없다.
다만
핵연료를 사용할 경우 그에 따른 안전도문제가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만일 핵연료를 지구에서 정지궤도로 쏴 올릴 때 뜻하지 않는 사고로 지구에 추락할 경우 그때의 일은 생각만 해도 위험천만한 ... ...
유전공학 6대 논란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논의가 현재 수준으로는 어림없을 뿐 아니라 옳지도 않다는 것이 학자들의 지적이다.
다만
과학의 영역에서는 현재로서는 불가능한 것이라도 앞으로 가능할지도 모른다는 개연성을 버리지 않기 때문에 '언젠가는 그런 일이 가능할지 모른다'는 선에서 '불가능'을 못박지 않을 따름이다.생물의 창조 ... ...
지맥 단절이 생태섬 만든다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않은 채 매년 1천만명 이상의 사람들은 북한산을 살아 있는 유기체로 생각지 않고
다만
체력단련장으로 이용하고 있을 뿐이다.설상가상으로 서울시청은 우이령을 지나는 비포장 군인작전도로를 확장·포장하기 위해 이미 측량을 마치고 올가을부터 공사착공을 계획하고 있다. 이 도로가 개통되면 ... ...
물리- 전기력과 만유인력은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등전위선에 직각방향으로 움직이며 등전위선이 빽빽한 곳에서는 더 빠르게 움직인다.
다만
전하는 양전하와 음전하가 있기 때문에 양전하는 전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지만 음전하는 전위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흐른다.등고선이 빽빽한 곳을 우리는 경사가 급하다고 하며, ... ...
지구과학- 지층과 화석, 지구의 현재와 미래까지 알려준다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위에 있는 것일수록 젊은 층이 된다. 이를 지층 누증의 법칙(law of superposition)이라고 한다.
다만
지층의 뒤집힌 흔적이 발견되는 곳에서는 예외다.일반적으로 바다밑에서 지층은 수평으로 쌓인다. 따라서 어느 지역의 지층이 기울어져 있거나 잘려져 있거나 휘어져 있으면 그 지역은 지각변동을 ... ...
장기기억은 시냅스에 깊이 새겨져 오랫동안 존재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어떤 형태로 어떤 곳에 저장되어 다시 회상이 되는지는 아직 확실히 알려진 바가 없다.
다만
신경세포나 시냅스에 어떤 구조적 변화 혹은 물리화학적 변화가 일어나는데 따른 것이라는 점은 점차 확실해 지는 듯하다.동물은 성장할수록 신경세포의 돌기와 가지(枝)수가 많아지며 대뇌피질도 점차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