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아
유익
아전
서리
이두
이토
이를지부
d라이브러리
"
이
"(으)로 총 21,254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 과학인가 사기인가 연구신뢰 흔드는 재현성 논란(上)
과학동아
l
201604
것
이
다. 그런데 최근 여기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
이
끊
이
지 않고 있다.
이
렇게 널리
이
용되는 절차에 무슨 문제가 있는 걸까. 다음 호에서 영가설 검증과 유의확률의 허점에 대해 알아본다 ... ...
Part 1. ‘제4의 상태’ 플라스마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1604
1. ‘제4의 상태’ 플라스마의 모든 것우주의 99%를 가득 채우고 있는 플라스 마는 의외로 발생 조건
이
까다로워 19세기 후반에야 그 존재가 확인됐다. 처음으로 플 라스마를 ‘만들 ... Infographic ] 플라스마는 어디에나 있다Part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Part 4. 눈 폭풍 비밀 풀면 태양
이
뜬 ... ...
[Knowledge]
이
타성을 향한 여정
과학동아
l
201604
이
타성의 진화를 종 전체의
이
득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라고 해석하는 집단 선택설
이
대세를
이
룬 20세기 중반. 자연 선택
이
개체의 수준에서 일어난다는 개체 선택설은 어떻게 다시 힘을 ... 끝
이
었다. 얼굴을 맞댄 만남보다 책을 통한 만남
이
해밀턴에게 훨씬 더 큰 영향을 끼 ...
[Knowledge] 공룡의 그늘 밑에서 살아 남아라!
과학동아
l
201604
악어의 전성기는 중생대 트라
이
아스기였다. 트라
이
아스기가 끝나자 모든 것
이
180˚ 바뀌어버렸다.환경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대부분의 악어는 절멸해 버렸고,
이
들의 빈 ... 2의 전성기를 맞
이
할 수 있었다. 굵고 짧게 가는 전략은 버렸지만, 대신 가늘고 오래 가는 전략을 선택한 셈
이
다 ...
[Interview] “화성에서도 살아남을 인재를 꿈꿉니다.”
과학동아
l
201604
“‘줄탁동기’라는 말
이
있지요. 새끼는 안에서 알을 깨고 나가려고 하고 동시에 밖에서는 어미가 알을 쪼아 길을 열어주는 것. 그것
이
줄탁동기입니다. 우리 사회에도 줄탁동기의 ... 새로운 과학교육종합계획
이
이
런 인재를 키울 창의적 문화를 만들어 가는 데 보탬
이
되길 바랍니다 ... ...
[Tech & Fun] 누군가가 멀고 밉게 느껴진다면…
과학동아
l
201604
아닌지 생각해보는 것은 어떨까. 배척의 일인자가 돼 홀로 남겨지고 싶은 게 아니라면 말
이
다. 박진영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jinpark.egloos.com)를 운영하며 ‘청년의사신문’에 심리학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한 ... ...
[Tech & Fun] 셜록홈즈 ‘세 사람의 징후’
과학동아
l
201604
이
번 화는 영국 공영 방송 BBC에서 제작한 드라마 ‘셜록홈즈 시즌3’ 제2화에 등장했던
이
야기입니다.
이
이
야기에서 가장 궁금한점은 하객들로 북적거리는 결혼식장에 ... 즉시 피해자가 알거나 반응
이
나타날 수 있죠. 즉, 범인
이
그토록 원했던 완벽한 알리바
이
는 물 건 ...
[Career] 산소로 정화한 물, 마셔볼래요?
과학동아
l
201604
해결해야 한다. 물
이
생존에 필수인 만큼 배보다 배꼽
이
커서는 안 되기 때문
이
다.
이
교수는 “가시광선으로 정수처리를 하는 기술을 완성하면 낮에는 자연광으로도 정수처리를 할 수 있다”며 “나노기술을 잘 활용하면 수처리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Tech & Fun] 화성 기지 짓는 첨단 기술
과학동아
l
201604
화성 기지를 건설하는 기술은 달 기지를 짓는 기술과 공통점
이
많다. 다만 화성은 달보다 지구에서 훨씬 먼 거리인 7500만km나 떨어져 있기 때문에, 기지 ...
이
뤄졌음에도 정확한 성분
이
나 분포에 대한 정보가 부족했다. 화성에서 직접 탐사가
이
뤄진다면 정밀도 높은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 ... ...
[과학뉴스] 머릿속에서 센서가 사르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4
두뇌는 단단한 두개골에 둘러싸여 있어 실시간으로 상태를 관찰하기 어려운 기관
이
에요. 그래서 지금까진 밖에서 사진을 찍어 뇌 상태를 추측했지요. 하지만 최근 ... 기술을 바탕으로 앞으로 몸 속에서 더 많은 신체 정보를 정확하게 알아낼 수 있는 센서를 만들 것”
이
라고 말했어요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