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앞발
주먹
도움
손바닥
약혼
sone
so’n
d라이브러리
"
손
"(으)로 총 3,913건 검색되었습니다.
EPISODE2 판게아 프록시마 원정대
과학동아
l
200802
호주는 동남아시아를 향해 북진하고 있다. 대륙들이 움직이는 속도는 1년에 약 1~10cm로
손
톱이 자라는 속도와 비슷하다.1992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대 지질학자 크리스 하트나디 교수는 이런 대륙판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2억 5000만 년 뒤 지구의 모습을 예측했다. 그는 대서양이 계속 ... ...
내 몸으로 열려라 참깨! 바이오인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2
거의 불가능해져. 또 하나, 인식 방법 자체를 발전시키는 방법도 있어. 지문의 경우
손
가락의 온도를 함께 측정하거나 사람의 몸에 전기가 통하는 특징을 이용하면 위조가 불가능해진단다.미래에는 밖에서 집 안을 맘대로 조종하거나 멀리서도 내 컴퓨터를 쉽게 쓰는 등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일을 ... ...
생체분자 인지 기능 단백질 구조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02
음전기(-)를 띤다.
손
을 잡을 때도 한쪽이
손
바닥을 위로 보이게 하면 다른 한 쪽은
손
바닥을 아래로 향해야 맞잡을 수 있듯, 생체분자도 모양과 정전기가 상보적으로 맞아야 결합할 수 있다.생체분자의 모양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그가 1985년 미국 위스콘신대에서 생물물리학 박사 과정에 있을 ... ...
수천 년 사랑받은 영구불변의 상징 몸값 치솟는 금의 세계
과학동아
l
200802
으로 부른다. 오랜 옛날 중동에 ‘캐럽’이란 식물이 있었는데, 캐럽을 말리면 보통 어른
손
에 24개가 잡혔다. 이곳 사람들은 이를 기준으로 금이나 소금 같이 크기가 작고 귀한 음식의 거래 기준으로 삼았다. 순금을 24k로 부른 것도 여기서 유래했다.액세서리에 새겨져있는 18k는 18/24의 약식이다. 즉 ... ...
EPISODE1 또 하나의 '투모로우'
과학동아
l
200802
혹독한 추위나 가뭄을 견뎌야 할 때는 나이테의 간격이 좁다. 실제로 명품 바이올린으로
손
꼽히는 스트라디바리우스는 유럽이 꽁꽁 얼어붙었던 12~19세기의 소빙하기 때 자란 나무로 만들어졌다. 추위와 싸우며 생긴 치밀하고 단단한 나무 조직 덕분에 울림 좋은 악기로 태어난 셈이다.연세대 ... ...
태양보다 뜨거운 반도체칩?
과학동아
l
200802
손
톱만한 칩이
손
바닥만 한 100W 전구보다 더 뜨겁다는 얘기다.전문가들은 2010년에는
손
톱만한 칩에서 1000W/㎠의 열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런 추세라면 방안에 컴퓨터 한대만 켜 놓으면 ‘불타는 칩’ 때문에 난방기 없이 겨울을 날 수 있을 지도 모른다. ‘열 받은’ 반도체칩 어떻게 ... ...
21세기 청진기, 의료영상
과학동아
l
200802
그의 연구결과와 사진 한 장을 실은 덕에 일약 스타덤에 올랐다. 그 사진이 부인 안나의
손
X선 사진이었다. 전자를 발견한 조세프 톰슨은 이를 두고 “뢴트겐은 외과의사에게 X선을 알려줘 인류의 고통을 줄이는 데 가장 크게 공헌한 사람”이라고 평가했다. 뢴트겐이 부인의 속을 봤듯, 현대 의사도 ... ...
돌연변이 생쥐로 뇌 신비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02
기능을 유추할 수 있다.변이 생쥐 한 종류를 만드는 데는 1년 반에서 2년이 걸리는,
손
이 많이 가는 작업이다. 따라서 어떤 유전자를 없앨 것인지 결정할 때 신중을 기해야 한다. 신 박사는 특히 뇌의 시상(thalamus)에서 발현하는 유전자에 관심이 많다. 뇌 한가운데 자리 잡은 시상은 감각기관을 통해 ... ...
PART 2 나로우주센터서 자력으로 우리 위성 쏜다
과학동아
l
200801
우리 연구진이 피땀 흘려 제작에 참여한 소형위성 발사체 KSLV-Ⅰ이다. 상단에는 우리
손
으로 개발한 2단 고체로켓(킥모터)과 100kg급 과학기술위성 2호가 실려 있다.특수차량이 발사장에 도착한 뒤 KSLV-Ⅰ을 발사대에 넘겨주자 지상관제장비의 각종 케이블이 발사체에 연결된다. 이어 발사체를 일으켜 ... ...
대한민국 과학기술 이끌어갈 '알파우먼' 삼총사
과학동아
l
200801
평가모형은 단순한 설문형식이어서 기업의 가치를 정확히 파악 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손
교수는 기업이 보유한 기술의 수명과 시장점유율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통계적 알고리듬을 모형에 추가했다.
손
교수는 1981년 KAIST 산업공학대학원에 진학한 최초의 여학생이었다. 여자 동기 한 명 없이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