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d라이브러리
"
생물학
"(으)로 총 2,054건 검색되었습니다.
(3) 창조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07
생명속생설, 지질 화석학 및 열역학 제1, 제2법칙 등은 창조론을 증거한다.근래 분자
생물학
의 발달로 새로이 밝혀진 생명체에 존재하는 수많은 정보들은 이 정보들을 입력시킨 제공자의 존재를 필연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그런 엄청난 양의 정보는 그 자체가 엔트로피에 역행하는 것이므로 ... ...
(2) 엔트로피와 화석이 창조론을 지지한다
과학동아
l
199107
본다. 이런 견해를 갖고 생물들의 생태 유전 대사 등 생명현상을 이해하면 유전학 분자
생물학
열역학법칙 등 기존의 실험과학적 사실들과 모순되지 않을 뿐 아니라 화석자료들과도 잘 일치한다.대진화가 일어나려면 유전자 변이가 반드시 일어나야 하고, 또 새로운 형질이 선택돼 더 복잡하고 ... ...
1 이공계 학과들은 이렇게 생겨났다
과학동아
l
199106
발전을 가져 왔다.지구과학은 물리학
생물학
화학의 발전에 따라 20세기 초반까지는 고
생물학
과 암석의 연대연구로 개별적인 발전과정을 겪었다. 1960년대 이후 고지자기 해석을 중심으로 전 지구적인 규모의 연구가 진행되고 대양저(大洋底)확대설과 대륙이동설이 나오면서 급속한 발전을 보게된다. ... ...
이상 기후로 지중해 돌고래들 떼죽음
과학동아
l
199106
고 아귈라 박사는 말한다.정확히 얼마나 많은 돌고래가 죽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몇몇
생물학
자들은 바다에서 죽어 발견되지 않은 돌고래가 해변에 떠밀려 온 것의 10배가 넘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그러나 올해 몇마리가 해변에서 발견되긴 했어도 이 현상이 차츰 수그러드는 조짐이라고 한다 ... ...
유전공학의 종착역 단백질공학
과학동아
l
199106
유전자의 인위적인 변형을 통해 특정기능이 향상된 단백질 또는 전혀 새로운
생물학
적 기능을 갖는 단백질을 만들어내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단백질의 구조와 기능 그리고 그 작용 메커니즘을 알아내는 것은 생명현상의 기본원리를 분자적 수준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현대 생화학의 가장 ... ...
가축의 전염병이 야생동물에게 전파돼
과학동아
l
199106
한다는 것이다.물론 야생의 들개에게 예방접종하는 일이 그리 간단하지는 않다. 또 일부
생물학
자들은 적자생존과 자연선택이 들개문제를 해결할 것이므로 인간이 지나치게 간섭하는 것은 오히려 방해가 될 뿐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 ...
2 좁혀지는 과학자와 기술자의 간격
과학동아
l
199106
상호상승작용을 일으킨다.17세기에 현미경이라는 기기의 발명이 세포의 발견을 불러와
생물학
에 일대 혁명을 몰고 왔듯이 과학은 기술에 원용돼 새로운 발명품을 만들어내고 이 발명품은 다시 한차원높은 과학연구를 위해 사용된다. 양자역학에 근거해 만들어진 레이저가 오늘날 물리학의 숙제인 ... ...
뉴미디어 제조공장MIT 미디어연구소
과학동아
l
199105
"새로운 학문을 창조하는 것은 우리 교수들이 아니랍니다. 대학원 학생들이지요. 신경
생물학
전산학 인공지능 등이 그러했고 미디어 과학도 네그로폰테의 학창시절 작품이지요."라는 대목에서는 선뜻 비교하기가 어려워진다 ... ...
과학기술의 힘으로 물 되살린다.
과학동아
l
199105
주로 화학공학 및 생물공학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서 이외에도 토목공학 약학 의학
생물학
화학 해양학 등 많은 분야가 환경보전에 직접 간접으로 관련되어 있다. 또한 환경보전 기술의 개발은 한 개인이 수행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진 여러명이 한 팀이 되어 협동하여야 ... ...
환경모니터링으로 주목받는 중금속의 표본실 새 깃털
과학동아
l
199105
가장 손쉽고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생물을 이용해 환경오염의 정도를 측정하는
생물학
적 모니터링이 절실히 요구되는 때다. 이것은 결국 생물을 이용해 인간의 위험을 미리 예측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모니터링에 이용되는 생물을 지표생물이라고 부르며 지금까지는 나팔꽃잠자리 수서곤충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