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6,597건 검색되었습니다.
선행학습보단 창의력! 연세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12
그는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서 2007년,2008년에 은상, 금상을 연이어 받았다. 또 전국
대학
생 수학경시대회에서 수학 전공자들이 경쟁하는 제1분야에서 경쟁자 260여명을 제치고 최고 점수를 차지해 최우수상을 받기도 했다. 학생들의 재능을더욱 키워 주는 굳건한 바탕인 연세대 과학영재교육원만의 ... ...
특명 이산화탄소를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11
제품이 나왔단다.(동그란 사진) 잠깐! 이산화탄소를 잡는 인공나무미국 컬럼비아
대학
교 지구물리학자 클라우스 랙크너 교수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화학물질을 넣은 인공나무를 연구하고 있어요. 이 인공나무는 자연의 나무보다 이산화탄소를 1000배나 더 흡수할 수 있다고 해요. 재밌는 사실은 ... ...
뇌과학으로 본 버럭순재
과학동아
l
201111
바다구경을 하기 위해 자신의 배에 오른 20대 여성을 성추행하고 살해했다. 이에 앞서
대학
생 남녀 2명도 함께 살해하는 범죄를 저질렀다. 욕정을 참지 못한 노인이 자신의 범행이 탄로 날 것을 우려해 살인 행각을 벌인 것이다.나이 들수록 작아지는 뇌그렇다면 왜 우리 사회에 버럭순재가 늘게 ... ...
뇌는 알고 있다 오르가슴의 비밀을
과학동아
l
201111
교수. 성과 신경 손상, 통증과 치료에 대한 연구를 한 지 40년이 됐다. 현재 럿거스대
대학
원 원장을 맡고 있다.]킨제이 보고서 틀렸나코미사룩 교수는 여러모로 20세기에 활동한 미국의 성의학자 알프레드 킨제이 박사와 비교된다. 킨제이 박사는 수천 명의 미국인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가장 ... ...
자신감이 공부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1111
가면 교수님도 훌륭하지만 여러 가지 연구프로젝트에 참여할 기회가 많아. 그런데 이런
대학
에 못 가면 기회가 줄어든단다.” 현재 대입은 ‘내신+특기’로 이뤄져 있다. 상담 선생님은 내신은 기본이고 특기에서 물리나 관심 분야에 대한 열정을 보이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예를 ... ...
2012학년도 수시 논술, 면접 마무리 전략
과학동아
l
201111
대화가 오가고 간혹 웃음이 나오는 면접장이 더 좋다.
대학
별 면접의 특징을 알아보자.(1)
대학
별 특징과 대비법1) 서울대 수시 특기자전형특기자전형은 칠판을 사용하지 않는다. 대기시간에 풀었던 종이를 교수님과 마주 보면서 설명하기 때문에 풀이 과정을 잘 써놓으면 면접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 ...
Depression increases Self-Hatred
과학동아
l
201111
과학자들이 더 효과적인 치료법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이 연구는 영국 워릭
대학
교의 펑 박사가 이끌었으며, 연구결과는 분자심리학 SCI 학술지에 실렸다. 본고는 타임워너사의 기사를 기초로, 한국 학생들의 영어교육을 위해 문장과 내용을 새롭게 수정 및 편집한 글입니다 ... ...
암세포만 찔러 죽이는 바이러스 항암제
과학동아
l
201111
묵고 있는 호텔로 찾아왔다. 공동연구를 하고 싶다는 것이었다. 필자뿐 아니라 미국
대학
의 교수들과 함께 항암제 개발을 본격적으로 시작해보자는 말을 전했다. 이때부터 국제 공동연구가 시작됐다.[지난해 11월부터 올해 4월까지 구제역 바이러스가 한반도를 덮쳤다. 그 결과 약 350만 마리 정도의 ... ...
“정글 성큼성큼 걷는 거대로봇 만들 겁니다”
과학동아
l
201111
연구소 중에서 최고”라고 몇 번씩이나 강조했다. 그의 실험실에 있는
대학
원생은 18명,
대학
생은 30명이 넘는다. 홍 교수는 “다양한 전공을 공부한 학생들이 한곳에 모여 지식과 아이디어를 주고받으며 창출하는 시너지가 엄청나다”고 자랑했다. 자신의 학생들에게 가장 강조하는 것이 무엇이냐고 ... ...
나노 세계의 중심에서
과학동아
l
201111
이해도가 높아졌다. 무엇보다도 약 7년간 떠나 있던 학교라는 공간에서 젊고 패기 있는
대학
원생들과 함께했던 생활은 조금 나태했던 나 자신에게 신선한 자극을 줬다. 지금은 학위과정을 마치고 회사에 복귀해 반도체 공정 개발 업무를 하고 있다. 학술연수에서 얻었던 연구 성과와 반도체 현상에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