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소
즉석
곧
즉시
당장에
바로
스페셜
"
직접
"(으)로 총 2,27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길들인 여우 게놈 분석해보니…
2018.10.02
원숭이 가운데 하나로 보고 지나쳤을 것이다. 그래서 날이 좀 선선해지면 동물원에 가서
직접
봐야겠다고 생각했고 며칠 전 한가한 날 과천 서울대공원 동물원에 다녀왔다. GIB 제공 긴팔원숭이가 애완동물로 사랑받은 이유 긴팔원숭이를 보며 깊은 인상을 받은 동시에 더 깊은 안타까움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울트라디언 리듬을 알면 삶이 편해진다
2018.09.26
거라는 생각이 든다. 수면과학을 개척한 나다니엘 클라이트만 교수(1895~1999)는 본인이
직접
피험자로 나서 수많은 실험을 수행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1960년 그가 제안한 기본휴식활동주기 개념은 피로사회를 살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추석의 마음
2018.09.23
직접
수확한 햅쌀을
직접
빻아서 송편을
직접
쪄야죠. 송편 사이에 넣는 솔잎도
직접
따야 합니다. 네. 도저히 그럴 수는 없습니다. 그리고 그럴 필요도 없습니다. 현대 사회에 맞게 간소하게 명절을 쇠는 것이 필요합니다. 선물도 가까운 친지, 그리고 어려운 이웃에게만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빨리 저장하고 꺼낼 수 있다는 말이다. 내장지방은 지방산의 형태로 내보내는데 간으로
직접
들어가 지방간을 유발하고 혈당조절을 방해한다. 또 염증 유발 신호물질을 다량 분비한다. 리버먼 교수는 “지나친 뱃살(올챙이배)은 BMI가 높은 것보다 대사질환을 초래할 위험이 훨씬 크다”고 쓰고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비 몰러 나간다~! 정다미 연구원이 꿈꾸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8.17
제비의 포식자인 고양이가 얼마나 드나드는지 확인하고, 제비에 대한 인식을 물었다.
직접
발로 뛰는 연구가 힘들진 않았을까? “전혀요. 한 달 동안 일찍 일어나 여러 집을 다니니 오히려 건강해졌어요. 제비가 사람과 함께 살아가는 모습을 매일 보니 흐뭇했고, 귀찮으실 텐데 많은 분들이 호의를 ... ...
[지구를 위한 과학] WildToon #2 꾸룩새 연구소로 놀러오세요!
2018.08.14
와일드 스토리 보러 가기 : https://goo.gl/BPwUJh 와이드툰의 주인공 정다미 연구원을
직접
만나고 싶은 친구들은 아래 링크에서 빨리 신청하세요~! ▶ 와일드톡 신청하러 가기 : https://goo.gl/RJoNLF ... ...
오늘은 나도 돌고래 연구자! 지구를 위한 과학, 제주 돌고래 탐사 열려
동아사이언스
l
2018.08.11
초등학생들도 10여 명 초대됐다. 도승은(한라초 5) 대원은 “제주에 살면서도 돌고래를
직접
본 적이 없었는데, 이렇게 가까이 살고 있다는 사실이 신기하고 재미있었다”며, “앞으로 기회가 된다면 돌고래뿐만 아니라 제주도에 많은 제비도 탐사해 보고 싶다”고 말했다. 남방큰돌고래 연구팀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
2018.08.07
아니라 숙신산을 통해서도 열생성 반응을 촉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숙신산을
직접
정맥에 투여해봤다. 그 결과 저온에 있지 않았음에도 갈색지방조직에서 열생성 반응이 활발해졌다. 그렇다면 숙신산이 어떻게 열생성 반응을 촉발하는 것일까. 미토콘드리아에 숙신산이 많아지면 TCA 회로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라는 일반적인 용어가 적절하다는 언급도 나온다. 참고로 후각과 미각처럼 분자가
직접
수용체에 달라붙어 신호를 전달하는 감각을 화학감각(chemical sense)이라고 부른다. 후각수용체 유전자가 코 이외의 장기에서도 발현된다는 사실이 처음 보고된 건 후각수용체 유전자 무리가 발견된 다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잃어버린 물질을 찾아서
2018.07.03
너무 멀리 떨어져 있고 필라멘트 영역조차 물질의 농도가 희박해 여기서 나오는 신호를
직접
포착할 수 없다. 따라서 가시 물질 가운데 상당 부분이 은하간공간의 필라멘트에 있을 것임에도, 볼 수 없기 때문에 최근까지도 그 존재는 추측에 그쳤다. 이탈리아 국립천체물리학연구소가 주축이 된 ... ...
이전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