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hemistry
화학기계
기계
화학물리학
물리학
자연 과학
d라이브러리
"
화학
"(으)로 총 5,446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의 식물들, 영화 ‘아바타’처럼 소통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화학
물질로 미리 무장해서 전염을 막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존피켓 로담스테드연구소 생
화학
과 교수는 “식물들이 평소에는 편하게 있다가 필요할 때만 경계태세를 갖추는 방법을 아는 것”이라고 말했다 ... ...
[hot science] 심해 열수구엔 그들만의 제국이 있다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원격조종 잠수정으로 직접 생물 시료를 채집한 지역도 있고 심해 카메라나
화학
센서로 열수의 작용만 확인한 곳도 있다. 열수 탐사 현황을 볼 수 있는 인터넷 사이트는 중앙해령 연구를 위한 국제협력기구(www.interridge.org)가 있다. 우리나라 연구진(대표 극지연구소 박숭현 박사)도 회원국으로 ... ...
Part 5. 마그마가 올라오는 소리를 감시한다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감시를 위해서 나폴리에서 관측한 지진파, 팔레르모에서 측정한 지하수 온도 같은 지구
화학
분야의 측정 수치도 이용한다”고 말했다.지구가 살아 있는 한 화산은 언제까지나 사람을 위협할 것이다. 따라서 지구가 완전히 식어 버리는 날까지 이런 감시 활동은 멈출 수 없다.▼관련기사를 계속 ... ...
15억 살 된 물, 생명의 비밀 말해줄까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살아가는 데 필요한
화학
물질을 다량으로 포함한 15억 년 전 물이 발견됐다.크리스 발렌타인 영국 맨체스터대 대기환경과학과 교수팀은 캐나다 온타리오주에 있는 지하 2.4km의 광산에서 분당 2L 꼴로 쏟아져 나온 물을 분석해 ‘네이처’ 5월 15일자에 발표했다. 물은 최소 15억 년 이상, 물이 갇혀있던 ... ...
INTERVIEW 노벨상 수상자 하랄트 추어 하우젠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계속돼야 한다”고 강조했다.비주류에서 주류가 된 준결정의 대가가 온다2011년 노벨
화학
상을 수상한 댄 셰흐트만 이스라엘 공대 교수는 그의 업적이 인정받기 전까지 학계에서 이단아 같던 존재였다. 결정질 물질과 비결정질 물질만이 존재한다는 통념 하에서 이도 저도 아닌 ‘준결정 물질’의 ... ...
PART 1. 우주의 ‘지문’이 등장하기까지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한스 베테와 함께 빅뱅과 관련한 유명한 논문을 발표했다.한 쪽짜리 보고서의 제목은 ‘
화학
원소의 기원’이었다(일명 ‘알파-베타-감마 논문’. 저자의 이름을 보라). 일종의 연구 요약본인 이 논문에서 가모프와 앨퍼는 원시 우주에서 원자핵이 중성자를 하나씩 포획해 우리가 아는 원소들이 ... ...
황금빛 햇살을 그릴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실현하기 위해서는 야외의 눈부신 빛을 표현할 맑고 밝은 색이 필요했다. 이 빛은
화학
합성에 눈을 뜨던 물감 상인들이 맡았다. 마크로스코가 ‘깊고 환하고 죽음 같고 영문 모를 환생(還生) 같은’ 금을 표현할 때 사용한 유채 물감도 그 때 태어났을까.인터뷰나 취재를 하다 보면 ‘한번 강의를 ... ...
맛있는 스테이크를 구워라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질퍽질퍽하고 질기던 생고기가 맛있게 촉촉하고 부드러워지려면 ‘가장 적합한’ 물리
화학
반응을 거쳐야 할 테니까요! 이번 기회에 맛있는 스테이크 굽는 방법을 확실히 배우고 싶었던 저는 과학으로 요리하는 사람들을 찾아보았답니다.연하고 육즙이 많은 고기가 맛있다‘사이언스 인 더 ... ...
대결! 놀라운 생체모방 마술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5호
탄소나노튜브로 인공근육도 개발하고 있답니다절대미각 자랑하는 마술사서울대학교
화학
생물공학과 박태현 교수팀은 혀보다 1억 배나 민감한 전자 혀를 개발했어요. 혀에서 쓴맛을 느끼는 미각단백질을 이용하면 미세한 쓴맛도 느낄 수 있답니다. 전자 혀는 콜레스테롤 농도를 분석하거나 오줌에 ... ...
먼지는 작을수록 폐 속 깊숙이 침투한다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뭉친다. 박진수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사는 “배출원에서 나온 대기오염물질이 대기 중
화학
반응을 통해 에어로졸을 만들며, 특히 이산화황과 이산화질소가 늘어나면 초미세먼지도 많아진다”고 설명했다.초미세먼지에는 중금속 성분이 있는데, 이것이 누적돼 쌓이면 건강에 치명적일 수 있다. ... ...
이전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