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논문탐독] 가상 우주로 은하의 역사를 들여다 보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안드로메다은하 주변 상황을 완벽히 동일하게 만든 우주는 없었습니다. 특히 마젤란은하나 메시에 33번 은하(M33)와 비슷한 질량의 위성은하 또는 은하를 만든 우주는 드물었습니다. 이는 중력 외에 유체역학적 부분에서 다양성이 생기기 때문입니다.이 논문은 지금까지 우리은하 역사를 연구하기 ... ...
- [이달의 책] 2년 만에 듄이 돌아왔다 외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내가 만일 이집트에서 태어났다면 이슬람교를 믿고 있었을까. 만일 모든 신앙 중 하나만 옳다면 어째서 우연히 물려받은 기독교만이 맞다고 단정할 수 있겠는가.한 번 시작된 궁금증은 계속 이어졌다. 그리스 로마 신화를 읽으면서는 왜 사람들이 더 이상 제우스를 신으로 모시지 않는지 궁금했다. ... ...
- [특집] 미션1. 식량을 공평하게 나눠라!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어떻게 할까요? 이 경우에는 바구니 A를 제외한 나머지 두 바구니, 즉 바구니 B, C 중 하나를 나조아에게 줍니다. 그리고 남은 두 바구니의 빵을 합쳐요. 정만아와 남도움 중 한 사람이 합친 바구니의 빵을 나누고, 나머지 한 사람이 나눈 빵 바구니 중 한 쪽을 선택합니다. 이렇게 하면 모두가 불만없이 ... ...
- [지사탐 인터뷰] 외래종 거북, 친환경적으로 잡는다! 구교성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갈수록 다양한 외래종 거북들이 우리나라에 들어오게 돼요. Q 외래종 거북을 꼭 잡아야 하나요? 결국 사람 잘못인데 불쌍한 것 같아요. 한 생태계에 새로운 종이 들어오면 기존 생태계의 균형이 깨져요. 먹이 사슬이 무너지거나, 한 서식지 안에서 경쟁이 심해지기도 하고, 새로운 질병이 번지는 ... ...
- [만화뉴스] 쌍둥이? 사실은 살짝 달라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어머니로부터 동시에 태어난 사람을 ‘쌍둥이’라 불러요. 과학자들은 특히 하나의 수정란이 둘로 분열되어 자란 ‘일란성 쌍둥이’는 유전자가 같다고 생각해왔어요. 그런데 지난 1월 7일 아이슬란드의 유전자 분석 기업 ‘디코드 제네틱스’에서 일란성 쌍둥이 387쌍과 가족의 DNA를 분석한 결과,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제트기류, 체세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수를 늘려 생장하거나 기능을 유지하고, 상처를 재생시켜 아물게 해요. 체세포 분열은 하나의 체세포가 염색체를 2배로 복제한 뒤 자신(모세포)과 동일한 두 개의 딸세포를 만드는 과정이랍니다. 용어정리*염색체 : 유전물질을 전달하는 막대 모양의 구조물 ... ...
- [특집] 딥러닝의 모든 것은 ‘함수’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딥러닝 자, 그럼 딥러닝에 사용되는 함수에 대해 배웠으니 딥러닝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하나씩 알아볼게! 먼저 이해하기 쉽게 한 개의 층으로 이뤄진 퍼셉트론을 설명할게. 하지만 실제 딥러닝은 여러 개의 퍼셉트론이 이어진 구조야! 다시 말해 여러 개의 함수를 합성하는 거지. 오늘은 ... ...
- 인공지능, 수학으로 타파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노드’라고 부르는데, 하나의 노드는 입력 신호를 받아 다른 층으로 결과를 전달하는 하나의 함수로 볼 수 있습니다. 입력 신호 x를 받아 y를 출력하는 경우는 y=wx+b로 나타낼 수 있죠. 여기서 w는 가중치, b는 함수가 더 정확한 결과를 내도록 돕는 편향입니다. 입력 신호가 두 개면 y=w1x1+w2x2+b, 세 ... ...
- [한페이지 뉴스] 큰고래 노랫소리로 해저지형 그린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2월 12일자에 발표했다. 큰고래는 바다에서 가장 시끄러운 노랫소리를 내는 동물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2012~2013년 북동태평양에 설치된 해저면 지진계로 큰고래의 음파를 6차례에 걸쳐 녹음했다. 큰고래 음파는 고래가 16~38km를 움직이는 동안 2.5~4.9시간 지속됐다. 연구팀은 이를 분석해 ... ...
- 명화 속 빛의 비밀, 데이터는 알고있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다양하면 크다. 섀넌의 정보 엔트로피로 정의 할 수 있다. 하늘과 땅이 그려진 풍경화를 하나의 선을 그어 둘로 분할한다고 생각해보자. 수직으로 자르는 것보다는 수평으로 자르는 것이, 또 수평으로 자르는 경우에는 하늘과 땅의 경계선에서 자르는 것이 나누어진 두 영역의 색상 불확실성을 가장 ... ...
이전174175176177178179180181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