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측정"(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화를 든 흙기사! 현해남교수님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6호
- 나거든요. 요즘은 맛을 보는 대신 이산화탄소 측정기로 흙이 내뿜는 이산화탄소를 측정해 좋은 흙과 나쁜 흙을 구별한답니다.내용이 짜임새 있는 만화가 좋아요!"저는 허영만 작가의 ‘꼴’과 ‘식객’이라는 만화를 좋아해요. 만화에 들어 있는 정보가 정확할 뿐 아니라 내용 전체도 아주 짜임새 ... ...
- 과학으로 갈 데까지 크리스마스 파티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비례에 대해 연구하는 학자 78명의 주장을 종합하고 고대 그리스 건축물의 각 부분을 측정해 ‘황금분할’을 찾아냈다. 황금비라고도 잘 알려진 이 비율은 기원전 430년 경에 세워진 파르테논 신전이나 기원전 140년 경에 만들어진 밀로의 비너스에서도 볼 수 있다.황금비는 1:n=n:n+1일 때 비율을 ... ...
- 변 신하고 싶어? 헷갈리나의 패션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2호
- 허리의 양끝 사이 거리인 ‘허리폭’, 엉덩이 양끝 사이 거리인 ‘엉덩이폭’을 측정해 체형을 분류하면, 형태의 특징에 따라 A, X, H, V형으로 나눌 수 있지. Step 2 색연구소색으로 크게, 작게!음, 노란색이 가장 크네요.틀렸어! 이 카드는 크기가 모두 같아.하지만 조금씩 달라 보이는 데요?그게 바로 ... ...
- 위대한 역사의 비밀 수학을 사랑한 王수학동아 l2012년 12호
- 정비로도 이어졌다. 도량형은 길이, 무게, 들이 따위를 재는 단위계나 자나 저울 등의 측정 기구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당시에는 지역에 따라 무게나 길이, 들이의 단위가 달라, 부당하게 많은 세금을 걷거나 비싼 가격에 물건을 파는 등 문제가 심각했다.세종대왕은 우선 음악가 박연에게 명을 ... ...
- 최고의 요리에 도전하라! 매스 셰프수학동아 l2012년 12호
- 당 30분씩 곱한 시간 동안 조리하는 것이 맞을 것이다. 하지만 표면적과 질량 사이의 비를 측정하면서 실험한 결과, 질량에 따라 표면적이 일정하게 증가하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파노프스키는 최적의 조리 시간을 계산하는 공식을 만들었다.수학으로 조리해서 더 안전한 분자조리법!분자조리는 ... ...
- 수학자가 남긴 선물, 입체도형수학동아 l2012년 12호
- ‘입체도형의 측정’ 부분에서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기준에 따라 입체도형을 분류하고 측정하는 게 좋습니다. 단, 구는 기준 2가 적용되지 않는 특별한 회전체입니다.따라서 이러한 분류체계를 이해한 뒤, 각 입체도형의 특징에 대해 공부하고 겉넓이와 부피를 구하는 방법을 익혀야 합니다. 특히, ... ...
- PART 1. 나는 왜 그 사람을 찍었을까?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위협적인 사진을 보여주거나 갑작스럽게 시끄러운 소리를 들려준 뒤 피부의 전도성을 측정했다. 사진에 반응해 흥분하면 땀이 나 피부가 축축해져 전도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그 결과 자극에 덜 민감한 사람일수록 해외원조, 자유이민, 평화주의, 총기 규제 정책을 지지했다. 반대로 자극에 예민한 ... ...
- 백색왜성 짝이 만든 우주 표준 촛불과학동아 l2012년 12호
- 1a유형으로 폭발할 때의 밝기가 항상 같다. 따라서 지구에서 관측할 때의 밝기를 측정하면 실제 밝기와 비교해 초신성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해 초신성이 속한 은하까지의 거리를 알 수 있어 1a형 초신성을 우주의 ‘표준 촛불’이라고 부른다. 우주가 가속팽창한다는 사실도 이 ... ...
- 영국 매스투어1탄, 위대한 수학 유산을 찾아서!수학동아 l2012년 12호
- 잴 수 있겠지만, 여행하면서 자를 갖고 다니진 않잖아요? 이럴 땐 신발을 이용해 어림 측정하면 돼요. 한 발, 두 발 신발로 길이를 재 보니, 바닥원의 지름이 2m 정도 되겠네요. 그럼 튤립 계단의 안쪽 원 둘레는 2m×3.14≒6.28m지요. 같은 방법으로 계단 안쪽의 폭을 재 보니 약 18cm, 1회전에 필요한 계단의 ... ...
- PART 2. 친구 따라 투표장 가는 ‘페이스북 법칙’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데이터에서 각 후보가 언급된 횟수를 측정해 여론을 추적했다. 이때 단순 언급횟수를 측정하는 게 아니라 통계 정보이론을 이용해 가공한 다른 수치(정보 엔트로피)를 비교했다. 정보 엔트로피는 1940년대 정보이론학자 섀넌이 만든 개념으로, 알아보고자 하는 대상의 불확정성 정도를 수치화한다. ... ...
이전174175176177178179180181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