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력
지성
지식
두뇌
지적
지혜
교양
d라이브러리
"
지능
"(으)로 총 2,290건 검색되었습니다.
파괴된 뇌세포 되살린다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주장한 이후 과학자들에게 정설로 받아들여지는 개념이다. 특별 대접 받은 생쥐의
지능
그런데 최근 기존의 학설을 뒤엎는 증거가 제시됐다. 1999년 10월 15일 미국의 ‘뉴욕타임스’는 프린스턴대학 뇌연구실장 엘리자베스 굴드 박사의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보도했다. 굴드 박사는 어른 원숭이를 ... ...
④ 마이크로 프런티어가 해결한 의료기술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해명된다.● 2024년◎인간처럼 감정을 표현할 수 있고 사람처럼 생각할 수 있는 인공
지능
칩이 개발된다.◎이 밖에도 1백 기가비트 이상의 메모리 반도체가 만들어진다(2017년).◎신경이나 뇌세포와 접속가능한 전자회로를 가진 인공눈이 개발된다(2019년) ... ...
공룡들의 IQ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1에 이른다. 물론 이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이러한 공룡들의 삶은 그다지 큰
지능
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브라키오사우루스는 뇌 능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먹이사냥을 하거나 먹이를 약탈할 필요가 없었다. 일반적으로 단순한 삶은 작은 뇌 활동으로 충분하다. 공룡의 먹이사슬도 ... ...
생활속 의약품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동물을 천연 의약품으로 이용하는 것은 우리 인간만이 아니라는 뜻이다. 물론 고도의
지능
을 가진 인간은 더욱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천연 의약품을 활용해왔다. 그러나 천연 의약품을 사용하는데는 몇 가지 문제가 있다.우선 의약품의 공급이 계절이나 지역에 따라서 극도로 제한될 수밖에 없다. ... ...
태교는 과학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끝에 자궁 내 영양 상태, 산소의 공급 정도, 그리고 산모의 정서와 같은 외적 환경이
지능
결정에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을 밝히고, 이 결과를 1997년 ‘네이처’에 발표했다.델빈 박사의 발표 이후 과학자들은 그동안 미신이나 관습 정도로 여겨온 태교(胎敎)에 대해 본격적인 관심을 기울이기 ... ...
3. 유전공학으로 탄생할 21세기 신한국인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등 다양한 수준에서 마련돼 있지만 한국의 경우 아무런 대비책이 없다”고 말한다. 만일
지능
을 조절하는 유전자가 발견돼 인간의 수정란에 삽입시키는 실험이 진행된다면 한국에서는 이를 검토하고 평가할만한 법이나 제도가 없다. 비근한 예로 지난 8월 20일 한국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한 인간복제 ... ...
피라컵 세계 로봇 축구대회 한국 우승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늦게 출발했지만 세계적으로 알려지고 있다.로봇축구 대회는 로봇공학과 인공
지능
에 대한 연구를 장려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3-5명의 로봇이 팀을 이루어 공을 찾아내 패스, 드리블, 방어 등의 기술을 발휘해 상대편 골문에 골인시킨다. 때문에 로봇은 자기팀과 상대 팀을 구별하는 시각체계를 ... ...
인간과 더불어 사는 신세대로봇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나타낸다.10여년 전부터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 있는 사이콥사(社)(www.cyc.com/)에서는 인간
지능
을 닮은 컴퓨터를 연구해왔다. 스스로 배우고 혼자서 판단하는 사이크(Cyc, enCYClopedia에서 유래)가 바로 그것. 사이크에는 일상생활에서 추출한 2백만가지의 정보와 그 안에 내재된 50만건의 규칙이 입력돼 ... ...
보이지 않는 위험 보이지 않는 과학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경쟁하는 경우가 많다. 눈이 커지면 먹이를 감지하는 능력이 증가하겠지만, 상대적으로
지능
은 떨어진다. 두 능력이 생존에 가장 적합하도록 서로 경쟁하며 진화하게 되는 것이다.아마도 자자는 눈을 튀어나오게 만들어 상대적으로 두개골 안에 뇌를 위해 충분한 공간을 마련하고 있는 것 같다. ... ...
Ⅱ. 풀밭에서 바늘 찾는 외계행성 탐색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안에 있는 천문학적 숫자의 별들 중에 잘나지도 못한 태양계에 사는 우리가 유일하게
지능
을 가진 생물체라고 주장한다면 좀 교만한 것이 아닐까?80년대 초부터 증거 수집지구를 벗어나 인간이 바라보는 세계를 넓히는데 가장 앞장선 이들은 천문학자들이었다. 그들은 지구와 가까운 별들로부터 ... ...
이전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