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변
환경
둘레
근처
외주
원주
가장자리
d라이브러리
"
주위
"(으)로 총 3,171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상화 관상법으로 선조 질환 밝힌다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그 전까지는 아주 무서운 피부질환 중 하나였다. 나비 모양의 붉은 반흔이 눈과 뺨
주위
를 물들이는 이 질환은 심하면 실명에 이르기도 한다. 조선시대 초상화에 애꾸눈이 자주 발견되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이교수는 풀이한다.그는 또한 백반증의 초상화도 발견했다. 조선 영조 때 대사간, 대사헌 ... ...
태양계 최대 강풍 부는 극한지대 해왕성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정도로 작지만 목성의 거대 폭풍인 대적반과 비슷한 ‘대흑점’이 휘몰아치고 있었다.
주위
에는 시속 2천km의 태양계 최대 강풍이 불고 있었다. 그 아래엔 ‘스쿠터’라 명명된 새털구름의 하얀 반점이 시시각각 모양을 바꿔가면서 약 16시간에 한바퀴씩 돌고 있었다. 이런 다양한 대기 변화 외에 ... ...
혜성의 비밀 밝히는 나사의 탐사선 발사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한 물체(천체)를 관측할 때 보이는 위치가 배경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하는 정도태양
주위
를 돌며 둥근 천체로 영어명은 'dwarf planet'이다 태양 같은 별의 최후인 고밀도 천체를 '백색왜성'(white dwarf)이라 부르는데서 착안한 명칭이다핵연료이자 핵무기에 쓰이는 방사성 원소 원자력발전소에서 사용한 ... ...
2. 밝혀지는 암 유전자, 그리고 DNA 칩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신체 조직의 일부 세포가 정상적인 역할을 벗어나 무절제하게 증식해 종양을 형성하고,
주위
의 정상조직 또는 기관에 번져 이를 파괴시키며, 궁극적으로는 개체를 죽음으로 몰아가는 무시무시한 질환이다.1980년대 초·중반 암 연구에 분자유전학이 접목되면서 암의 발생과 진행이 근본적으로 ... ...
협곡 사이로 흐르는 물리학 '래프팅'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강의 낙차가 클수록 강바닥은 깊게 팬다.래프팅을 하면서 중요한 것은 강의 낙차보다 홀
주위
에 생기는 역류 현상이다. 따라서 더 중요한 점은 홀의 모양에 따라 역류의 형태가 결정된다는 것이다.상류에서 하류를 향해 바라보았을 때 강의 모양이 U자 모양을 하는 경우를 U형 또는 ‘웃는 형’이라고 ... ...
미리가본 한여름의 별축제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수 있다. 태양과 별자리는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고, 그 사이에 위치한 우리가 태양
주위
를 돌 때마다 초저녁 동쪽 하늘의 별자리가 바뀔 수 있음을 직접 관찰할 수 있다.제 3전시관에 마련된 제 1체험관에서는 계절에 따라 별자리가 달라지는 원리를 알 수 있고, 축소된 지구의 공전궤도도 만나볼 ... ...
아인슈타인과 디카프리오 합친 아기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말한다.10년 뒤 어쩌면 우리는 암세포 연구소의 모니터 안에서 약효검증을 마친 항암제를
주위
에서 흔히 볼 수 있을지 모르겠다. 현실로 다가온 6백만불의 사나이10년 뒤 의료환경을 주도할 신기술을 묻는 질문에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하상도 박사는 ‘DNA 칩과 단백질 칩 등을 이용한 예방의학’과 ... ...
태양계 너머 또다른 목성이 있다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이 방법을 통해 이뤄졌다.또다른 방법으로는 식 현상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행성이 별
주위
를 공전하다가 별을 가리면 별의 밝기가 약간 어두워진다. 물론 어두워지는 정도는 무척 작지만, 지금은 관측장비의 발달로 그 정도의 밝기 변화는 충분히 찾아낼 수 있게 됐다. 그런데 이 방법은 행성이 ... ...
8월 한여름밤 별똥별 쇼 감상법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유성의 개수뿐만 아니라 떨어지는 유성들의 밝기까지 같이 기록한다. 유성의 밝기는
주위
별들과 비교해 가늠할 수 있다. 평상시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의 경우 유성의 평균 밝기가 대략 2등급 가량이며, 색상은 백색과 청백색 계통을 보여 왔다. 유성이 밤하늘에 흔적(유성흔)을 남길 확률은 대략 40% ... ...
기상천외한 곤충의 감각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갖고 있다. 관의 길이가 짧다. 넓게 볼 수 있는 대신에 해상력은 떨어진다. 이 두 눈은
주위
를 살피는데 주로 사용한다. 넓게 보는 것은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데 유리할 것이다.사실 깡충거미의 뇌에서 시각과 관련된 부분이 차지하는 비중은 뇌의 거의 절반은 될 정도로 아주 많은 부분을 ... ...
이전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