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규정
조항
제한
요건
약속
제약
가정
d라이브러리
"
조건
"(으)로 총 4,052건 검색되었습니다.
진도 울돌목에 국내 최초 조류발전소 떴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해협의 폭이 500m 정도로 좁아 유속이 매우 빠르다. 연구팀은 조류발전의 필수
조건
인 이 빠른 유속 때문에 발전소 철골 구조를 설치하는 데만 두 차례나 실패를 겪었다.2006년엔 발전소 철골구조를 해저 암반에 고정하기 위해 기둥을 박을 자리를 파내던 중 굴착장비가 빠른 물살에 휩쓸려 진도대교와 ... ...
1. 신기한 논리의 세계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출발하겠다는 것이다. 10m 정도야 금세 따라 잡을 것이라 확신한 아킬레스는 거북의
조건
을 받아들였다. 과연 아킬레스는 이 경주에서 이길 수 있을까?그리스의 철학자 제논은 거북의 승리를 장담했다. 아킬레스가 거북을 따라 잡으려고 아무리 애써도 결코 거북을 따라잡지 못한다는 것이다. 제논에 ... ...
언어 유전자는 존재하나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결과일 것이다. 즉 FOXP2 유전자 변이는 사람의 ‘언어 본능’ 획득의 필요
조건
이지 충분
조건
은 아닌 셈이다. 그럼에도 FOXP2 유전자의 발견은 언어의 진화 역시 생물학의 진화 범주에서 결코 벗어날 수 없음을 강력하게 입증한 사례다. 1871년 펴낸 저서 ‘인간의 유래’에서 다음과 같은 글을 쓴 ... ...
생명체에서 ‘오른손 분자’도 중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구조가 주변 상황에 따라 바뀌는 현상에 주목했다. 즉 영양이 풍부해 세포증식에 유리한
조건
에서는 세포벽도 유연하고 환경이 열악할 때는 세포벽이 단단해지면서 생존을 유지하는 전략으로 바뀐다. 연구자들은 D-메티오닌과 D-류신이라는 두 오른손잡이 아미노산이 이 변화를 주도한다는 사실을 ... ...
미국산 쇠고기 파동은 과학적 지식에 근거했을까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지음 | 동아시아 | 236쪽 | 1만 2000원글로벌시대에 과학도가 갖춰야 할 자격과
조건
은 뭘까. 서울대 공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인 저자는 모든 발명과 기술 진보 과정에는 연구자가 있었음을 강조한다. 그리고 그는 이공계가 바로 서야 나라가 바로 선다는 명제 아래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창의적인 ... ...
이공계열 학생이 미술에 대한 선호를 살려 진학할 수 있는 전공은?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학 과를 정하지 않고 통합모집으로 학생을 선발하므로 산업디자인학과를 지망해도 입학
조건
과 1학년 때 배우게 되는 학과목들은 다른 전공들과 동일합니다. 따라서 KAIST의 산업디자인학과는 미술적 재능보다는 학습적인 능력을 우선으로 학생을 선발하는 이공계 디자인학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 ...
스키점프, 수학으로 더 멀리 날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20° 이내, 엉덩이 각도는 160°가 이상적”이라고 말했습니다. 연구팀은 선수의 신체
조건
, 스키의 무게나 길이 등을 고려해 선수별·상황별 점프자세를 계산할 예정입니다. 선수들이 과학적인 방법으로 훈련해 더 좋은 기록을 내길 기대합니다 ... ...
똑똑한 전력망 스마트 그리드가 온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기반을 찾겠다는 전략이다. 광범위한 인터넷망, 좁은 국토, 단일한 송배전 회사라는
조건
을 십분 활용하고 이제 막 뜨고 있는 세계 스마트 그리드 시장에서 유리한 고지를 확보하려는 복안이다. 제주 구좌읍의 실증단지는 그 첫걸음이다.한국 못지않게 미국과 유럽도 적극적인 계획을 밝히고 있다. 1 ... ...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 태평염전에 가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5~27%로 적당해야 소금 알이 굵게 생기지, 너무 높거나 낮으면 알이 가늘다.이렇게 세 가지
조건
이 다 갖춰진 상태에서 6~9시간을 기다려야 소금이 만들어진다. 날씨가 안 좋으면 며칠씩 더 기다리기도 한다. 이 작업은 4월 중순부터 10월 초까지 이뤄진다. 그래 봐야 천일염을 제대로 수확할 수 있는 ... ...
면발의 힘 글루텐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촘촘한 글루텐 그물망에 갇혀 빠져나가지 못해 빵이 잘 부풀기 때문이다.실제로 다른
조건
은 똑같이 두고 밀가루만 달리해 빵을 만들어 보면 강력분이 가장 많이 부풀고 박력분이 가장 덜 부푼다. 박력분은 과자를 만들 때 쓴다. 상대적으로 전분이 많아 바삭바삭하면서도 부드러운 식감이 나기 ... ...
이전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