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주"(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투스교육] 살아 움직이는 지구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인 태양에너지가 전달되는 경로이며, 자기권을 형성해 태양풍과 우주선(cosmic ray)으로부터 지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밴 앨런 복사대는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강한 방사선대로, 대전 입자가 도넛 모양으로 퍼져 있다. 이곳에서는 양성자와 전자가 나뉘어 분포하고 있다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우주에 끝이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무한한지가 결정된다고 해요. 즉, 우주에 있는 실제 사물의 수가 유한하기 때문에 우주에 끝이 있다는 거죠. 공간이 유한한지, 무한한지에 대한 질문은 ‘사물이 없어도 공간이 존재할까?’라는 질문으로 이어졌어요. 이에 대해 뉴턴은 사물이 있든 없든 절대 움직이지 않는 공간을 ‘절대 ... ...
- [통합과학 교과서] 사라진 피젯 스피너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날아오는 해로운 방사선들을 막아 줄 수 없기 때문이지요. 2017년 3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짐 그린 박사팀은 화성에 인공 자기장을 만들자는 기발한 아이디어를 제안했어요. 태양과 화성 사이에 인공적으로 자기장을 만들어 내는 장치를 가져다 놓자는 거예요. 태양과 화성 사이의 중력이 균형을 ... ...
- [과학뉴스] 로켓 재사용 시대 활짝, ‘팰컨9-블록5’ 첫 발사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팰컨9-블록5는 방글라데시의 통신위성 ‘방가반두-1’을 싣고 미국 플로리다 주 케네디우주센터를 떠났고, 이후 1단 로켓이 분리돼 대서양 해상 바지선에 무사히 착륙해 회수됐다. 머스크는 발사 전 열린 기자회견에서 “보수 작업을 통해 로켓 하나로 최대 100회까지 발사할 수 있을 것”이라며 ... ...
- [과학뉴스] 외계행성에서 헬륨 최초 발견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높다. 특히 적외선 영역에 나타난 헬륨 신호는 지구대기에 의해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우주망원경뿐만 아니라 지상의 망원경으로도 연구할 수 있다. 톰 에반스 엑스터대 물리천문학과 연구원은 “지구와 비슷한 크기의 외계행성의 상층 대기를 연구하는 흥미로운 수단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doi ... ...
- [과학뉴스] 소리로 토네이도 발생 예측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피해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브라이언 엘빙 미국 오클라호마주립대 기계우주공학과 교수팀은 5월 7~11일 미국 미네소타주에서 열린 ‘제175회 미국음향학회 연례회의’에서 토네이도 형성 시 발생하는 소리를 분석해, 먼 거리에서도 토네이도 발생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 ...
- [Future] 국내 첫 과학기구, 스누볼 발사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일본 도쿄대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있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국방부, 부산대를 거쳐 현재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비행체 설계와 항공기 운항안전과 관련한 다양한 이슈에 관심을 갖고 연구 중이다 ... ...
- [서울대 공대] 우주항공공학전공주임 여재익 "공학으로 국격 높인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개발의 주역으로 활약하고 있다. [인재상] 열정과 성의라는 ‘엔진’ 필요 여 교수는 우주항공공학전공에서 필요한 자질로 수학과 물리학 분야의 탄탄한 기본기, 그리고 어떤 일에든 열정과 성의를 다할 수 있는 적극적인 태도를 꼽았다. 수학과 물리학이 전공 공부를 하기 위해 필요한 학문적인 ...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세계 주요 가속기와 노벨상Part 1. 韓 가속기 굴기 ‘ 입자 공장’ 라온라온의 구조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Part 3. 경주 양성자-포항 전자-대전 중이온, 의 좋은 ‘가속기 ... ...
- [Culture] 소행성 ‘베누’ 샘플 귀환 작전과학동아 l2018년 06호
- NASA는 ‘해머(HAMMER)’라는 프로젝트를 계획 중이다. 해머는 핵폭탄을 실은 약 8~9t(톤)의 우주선을 소행성에 충돌시켜 천체의 경로를 바꾸는 방법으로, 현재는 이론적인 가능성만 따져보는 수준이다. 최근 러시아의 모스크바물리기술원(MIPT) 연구진은 소행성 모형을 만들어서 이를 파괴하는 실험을 ... ...
이전174175176177178179180181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