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으)로 총 7,75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루카스 수학 석좌 교수, 스티븐 호킹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영국 수학자 로저 펜로즈와 함께 특이점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수학적으로계산해 내면서 세계적인 석학 반열에 올랐습니다. 병에 걸렸을 당시 5년밖에 살지 못할 거라고 진단받았던 호킹은 이후 약 50년 동안 천체물리학 분야에서 위대한 업적을 남겼습니다. 물리뿐 아니라 수학에도 뛰어나서 무려 3 ... ...
- [가상인터뷰] 벌거숭이두더지쥐는 나이를 먹지 않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단백질에 손상이 생기면 이를 바로 잡는 능력이 탁월하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어. 더 자세한 이유는 계속 연구 중이지. 또 평생 동안 늙지 않다가 30년이 지난 후엔 왜 죽는 건지도 아직은 미스터리란다. 연구팀은 우리가 늙지 않는 비밀을 알아내서 인간에게 적용하길 희망하고 있어. 인간 수명의 ... ...
- [특별 인터뷰] 한국인이 탐사 대장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최초의 아시아인 화성 탐사 대장이 선발됐어요. 다만 진짜 화성이 아니라 지구에서 진행되는 모의 화성 탐사 프로젝트의 대장이랍니다. 무슨 말이냐고요? 우선 모의 화성살이 프로젝트 ... 깬 로저 배니스터 역할을 했으면 좋겠어요. 친구들도 망설이지 말고 꿈꾸던 일에 도전해 보세요 ... ...
- 과학 수사의 최전선, 겹친 지문을 분리하라과학동아 l2018년 04호
- 2005년 5월 13일 오후 5시경.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덕현리의 한 주택에 괴한이 침입했다. 괴한은 당시 안방에 혼자 있던 집주인 A씨(여, 70세)의 양팔과 두 다리 ... 지문을 자동으로 분리하는 기술을 개발해서 실제 수사 현장에 적용할 경우 한국이 세계 최초의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 [Issue] 중국이 옮길 혁신이라는 산(山)과학동아 l2018년 04호
- 2030’이라는 창을 통해 예측할 수 있는 중국의 미래다. 정홍식_hongsikjeong@tsinghua.edu.cn연세대 물리학과 박사학위를 받고, 삼성전자에서 21년간 메모리반도체 분야연구 개발에 참여했다. 상무로 퇴직한 뒤 연구자로서의 꿈을 펼치기 위해 2016년 9월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 ... ...
- Part 1. 진화하는 사춘기 이론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결혼하고 자녀를 양육하는 방식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급격한 사회 환경 변화는 기성세대와 사춘기 사이의 간극을 만들었다. 사춘기 청소년은 학교에서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신체 활동이 줄고, 이는 비만이라는 사회적인 문제와 함께 새로운 식문화 트렌드를 만들었다. 문화적인 면에서는 ... ...
- Part 4. ‘어른아이’의 진화생물학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삼아야 할지 생각해볼 문제다. 게다가 청년의 기준 역시 점점 늘어나 35세, 심지어 40세를 이야기하기도 한다. 반면 유아기는 10세 무렵에 끝나버린다. 어쩌면 사춘기를 겪고 있는 10대 청소년을 그냥 ‘어린이’로 대해주는 것도 진화적인 관점에서는 나쁘지 않을 것이다. 박한선정신건강의학과 ... ...
- 작심삼일, 네 탓이 아니야!수학동아 l2018년 03호
- 호메로스의 서사시 오디세이아에 등장하는 세이렌은 지중해의 한 섬에 살고 있는 반인반수다. 이들은 감미로운 노래로 지나가는 배의 선원 ... 뿐 아니라 잡아먹어 버리는 무시무시한 종족이다. 자제력이 부족했다면 오디세우스는 세이렌에게 잡아 먹혀 영영 고향에 돌아가지 못했을 것이다 ... ...
- [영재교육원 탐방 2] 극단으로 간 영재들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멘토가 되어주는 프로그램도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 그리고 서울교대, 서울대, 연세대 교수진과 함께 전국 단위로 영재교육원 학생들을 모으는 캠프를 기획하고 있다. 창의성과 인성을 갖춘 미래 인재가 되고 싶다면 관심을 가져 보자 ... ...
- [과학뉴스] 지구에서 가장 먼 거리에서 촬영한 사진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태양계 가장자리에 작은 천체들이 밀집해 있는 영역이다. NASA가 공개한 사진은 세 장이다. 한 장은 태양계 밖 ‘소원의 우물 성단’을 찍은 것이고(위), 나머지 두 장은 카이퍼벨트에 위치한 두 개의 작은 천체를 찍은 것이다(아래). 이들 사진은 지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지점에서 찍은 사진인 ... ...
이전174175176177178179180181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