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부
밖
노천
표면
외면
겉모습
d라이브러리
"
바깥
"(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풍선으로 배우는 미니상식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그냥 두고, 겉 풍선에 스카치테이프를 붙인다.③ 가늘고 곧은 철사로 풍선을 뚫어본다.
바깥
쪽의 풍선은 터지지 않고 안쪽에 있는 풍선만 터지면서 마치 바베큐가 된 것처럼 보인다. 마술사가 바늘을 가지고 풍선을 찔러도 터지지 않는 것과 같다. 바로 풍선이 투명테이프에 의해 보호받기 때문이다.2. ... ...
빛에 따라 색깔 바뀌는 스마트 글라스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달리하는 기능성 색소들이 개발되고 있다(과학동아96년5월호). 열변색성 색소를 찻잔
바깥
에 입히면 따뜻한 차를 마실때와 차를 다 마시고 난 후의 찻잔색이 다르게 보인다. 광변색성색소를 안경에 입히면 실내에서는 보통 안경 같던 것이 햇빛을 받으면 선글라스로 변한다. 약간은 다른 원리지만 ... ...
1. 전기를 고압으로 송전하는 까닭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위험은 없다.접지를 하면 감전의 위험은 줄어들지만 여전히 문제는 남는다. 전기기구의
바깥
쪽 몸체에도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전류가 새어 나왔다고 해서 누전이라고 한다. 누전이 되면 가정으로 과도한 전류가 흘러 들어와 화재발생의 요인이 된다.전기안전공사의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9 ... ...
3. 통증을 정복한다 : 통증 극복하는 하이테크 의술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목 부위의 척수를 구성하는 교감신경덩어리) 차단과 경막외강내(척수를 둘러 싼 경막
바깥
쪽에 있는 공간) 차단을 들 수 있다.성상신경절 차단은 가장 흔하게 시행되는 차단술로서 머리, 목, 어깨, 젖꼭지 상부의 통증 치료에 이용된다. 목에서 기관지 바로 옆을 뚫어 6번째 경추에 국소 마취제를 ... ...
허블우주망원경 6주년 생일파티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허블우주망원경(HST)이 발사된지 6년이 지났다. 그동안 STScI(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에서 발표된 자료는 국내에서도 굵직한 뉴스들을 제치고 신 ... 허블이 지구를 97분마다 하나바퀴 돌면서 찍은 토성과 위성의 모습이다. 토성의 안쪽에서
바깥
쪽으로 C링, 카시니 틈, F링의 모습이 확인된다 ... ...
희생정신 충만한 아마존 왕국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굴을 막는 경우도 있고 좀 큰 굴은 여러 마리의 일개미들이 머리를 모아 지키기도 한다.
바깥
일을 보고 돌아온 동료가 더듬이로 머리를 두드리면 비켜서서 들어오게 하지만 다른 집안의 개미는 아무리 두드려도 문을 열어주지 않는다. 하루도 빠짐없이 날마다 문을 지키는 그들의 봉사정신은 정말 ... ...
확산되는 현대인의 불안심리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완전히 포기하기도 한다.환자는 동행인 없이 더 이상 집 밖에 나가기 어렵다. 게다가
바깥
세계와의 접촉을 피할 구실과 핑계를 항상 찾는다. 예를 들어 아기를 가진 여자는 임신을 집 밖에 나가지 않을 좋은 구실로 여긴다.심리치료가들은 항우울제 종류의 약물을 처방하기도 한다. 그러나 많은 ... ...
2. 알칼리 이온음료는 왜 산성일까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있는 때(기름 성분)에 기름과 친한 부분을 연결시키고, 나머지 물과 친한 부분은
바깥
쪽 물분자와 연결되게 된다. 이 올챙이 모양의 비누분자들은 계속 흔들리다가 기름성분들을 둥그렇게 둘러싼 상태로 떨어져 나온다. 이런 과정이 거듭되면서 빨래는 세탁이 된다. 여기서도 알칼리금속 화합물은 ... ...
1. 당신의 정보는 안녕하십니까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초강력 방화벽을 설치하더라도 '표적'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이런 소식이
바깥
에 알려지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불문율처럼 되어 있다.컴퓨터계의 지존 '엘리태커'해커(hacker)란 말은 1950년대 말에 미국 MIT공대에서 나온 은어(隱語)다. '한군데 집중해서 파고드는 행위' 를 뜻하는 '해크(hack)'란 말에 ... ...
뇌 필름 끊기는 이유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신경세포 사이에 있는 2중 장벽. 간격 없이 치밀하게 붙어 있는 혈관내피세포가
바깥
장벽을, 신경교세포가 견고하게 안쪽 장벽을 이룬다. 그래서 체내에서 혈관으로 전달되는 물질이 신경까지 쉽게 통과하지 못한다.하지만 혈관뇌장벽에도 틈새가 있다. 첫째 이 장벽은 뇌 전체로 볼 때 약 90% ... ...
이전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