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료
먹거리
식량
음식
먹을거리
양식거리
양식
d라이브러리
"
먹이
"(으)로 총 2,130건 검색되었습니다.
청소년기 아침식사 거르면 성적 떨어진다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좋지 않겠냐는 발상 때문이었다. 그래서 신문 광고에는 수험생에게 조미료를 한숟가락씩
먹이
는 장면이 자주 등장했다.과학적 지식을 잘못 이해한 이런 현상은 지금 생각하면 어처구니 없는 일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현재에도 우리 주변에서 '과학' 의 이름으로 치장된 잘못된 편견이 자리잡고 있다 ... ...
위에 있는 또하나의 뇌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진화의 시각에서 볼 때 신체가 두개의 뇌를 갖는 것이 타당하다" 고 말한다. 동물들은
먹이
를 많이 찾고 번식을 잘하기 위해 좀더 복잡한 뇌가 필요했고, 그 결과 중추신경계가 발달됐다. 그러나 출생직후부터 신생아가 먹고 소화시키는 일도 중요하기 때문에, 소화관 뇌를 갓 태어난 동물의 머리 ... ...
이슬 머금은 자태로
먹이
유혹 끈끈이주걱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꽃추운 겨울 끈끈이주걱의 잎은 모두 말라죽고 겨울눈만 살아서 둥글게 뭉쳐 있다. 3월 말 날씨가 따뜻해지면 뭉친 겨울눈이 서서히 풀리면서 끈끈이액을 분비하기 시작한다. 그 옆에 종자로부터 발아된 아주 작은 끈끈이주걱이 뭉쳐있는 것을 볼 수 있다. 4월 말부터 6월 초순에 끈끈이액이 가장 ... ...
대책없는 광우병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걸린 소는 심각한 문제다. 소는 양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대량으로 사람의
먹이
사슬내로 유입되기 때문이다. 또 다른 종간에는 잘 전염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했던 '해면양 뇌병증(TSE:Transmissible Spongiform Encephalopathy)이 양에서 소로 전염돼 버렸기 때문에 양에서 소가 가능했다면 소에서 사람도 ... ...
최초의 농사꾼 잎꾼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키우는 배양매체로 쓰인다. 개미는 버섯에게 혼자 힘으로는 구경도 하지 못할 양의
먹이
를 제공하고, 버섯은 그것을 먹으며 빠른 속도로 성장해 단백질과 당분이 듬뿍 들어 있는 균사체를 만들어 개미에게 제공한다. 몇년 전 미국 워싱턴 대학에서 학위를 받은 웨터러(James Wetterer) 박사에 따르면, ... ...
사라진 황새 천수만에서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점심식사 후 부남호(B지구) 탐사가 시작됐다. 이곳은 간월호에 비해 수초가 많아 이를
먹이
로 삼는 고니가 많이 관찰된다. 10여마리의 큰고니 무리가 일정지점까지 뛰다 한 마리씩 날아오르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한편 동해에서 관찰되는 혹고니 가족이 발견돼 시선을 끌었다.탐사 마지막 밤 그간의 ... ...
3. 생물학 교과서 다시 써야 심해생물 1천만종 넘는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휠씬 큰 해양생물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된다. 풍부한
먹이
사슬의 정점에서 다른 동물을
먹이
로 삼는 크라켄(노르웨이 근처의 바다에 산다는 전설 속의 괴물)이 있을지도 모른다. 또 성경에 나오는 거대한 해수(海獸)나 알려지지 않은 괴물이 있을지도 모른다. 만일 이렇게 큰 생물이 산다고 할지라도 ... ...
합작투자는 물론 다국적 기업도 불사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돕는 간호사와 산파 역할을 한다. 유년기가 지나 청년기에 접어들면 큰 애벌레들에게
먹이
를 주거나 목욕을 시키는 본격적인 유모 역할을 하며, 장년기에는 굴 밖으로 나가 식량을 구하거나 군락을 지키고 새 굴을 파는 작업에 가담한다. 처음에는 안전한 집안 일에서 시작해 나이가 들수록 점점 더 ... ...
애인 잡아먹는 비운의 암거미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올챙이와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을 수 있다. 연구자들은 암컷을 두 팀으로 나눠 한쪽은
먹이
를 잔뜩 주고 다른 한쪽은 굶겼다. 예상과는 달리 두 그룹 모두 수컷을 잡아먹는 경향이 똑같이 나타났다. 배가 잔뜩 부른 암컷마저 자기의 애인을 게걸스럽게 먹어 치워버린 것이다. 연구자들이 더 자세히 ... ...
2. 남극의 생태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펭귄과 물개가 크게 증가했다. 고래의 종류는 대왕고래와 같이 빗살모양의 여과장치로
먹이
를 걸러먹는 수염고래와 돌고래처럼 이빨을 가진 이빨고래 등 두 종류가 있다.바다의 반은 크릴 동물성플랑크톤으로 ‘남극새우’ 라고 부른다. 몸길이는 5-7cm. 단백질과 영양분이 풍부해 미래의 식량으로 ... ...
이전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