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동일"(으)로 총 2,189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원한 수수께끼, 성(性)의 기원과학동아 l1994년 08호
- 패배하지 않았다는 이론을 내놓았다. 만일 숙주가 무성생식을 했다면 모든 후손이 동일하므로 기생생물이 일시에 모든 개체를 정복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유성생식하는 숙주의 자손은 모두 다르기 때문에 기생생물이 숙주의 다양한 개체를 손쉽게 공략할 수는 없다. 요컨대 성은 숙주가 ... ...
- PART2 효율적 사용의 열쇠과학동아 l1994년 08호
- 출력이 그만큼 비중이 크다는 것은 분명하다.그래픽출력의 속도는 어떠한 기종에서나 동일하게 gppm(Graphics Pages Per Minute ; 분당 그래픽인쇄 매수)으로 그 단위를 삼는다. 그런데 잉크젯이나 도트프린터는 대체로 gppm 수치가 소수점 이하로 1분에 1장도 채 찍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mpp(Minutes ... ...
- (2) 혜성, 10여개 매년 지구 접근과학동아 l1994년 07호
- 노력 끝에 기록에 남아 있는 1456년 1531년 1607년에 나타났던 혜성이 그가 본 1682년 것과 동일한 것으로 가정했다. 왜냐하면 1456년과 1531년 사이의 간격이 75년 1531-1607년 사이가 76년 1607-1682년 사이가 75년이라는 일정한 기간을 나타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는 1705년 과감하게 1682년에 나타난 혜성 ...
- 숙주와 기생생물 '군비확대경쟁'과학동아 l1994년 07호
- 되었다는 독특한 주장이다. 해밀턴에 따르면, 무성생식에서는 모든 개체가 유전적으로 동일하므로 만일 한 개체를 파괴할 수 있는 기생생물이 출현한다면 순식간에 다른 개체를 모두 정복할 수 있다. 그러나 유성생식에서는 숙주의 자손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한개의 열쇠로 모든 자물쇠를 열 수 ... ...
- 생명의 기원 탐구는 영원한 논쟁과학동아 l1994년 07호
- 결과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대조 실험이 반드시 필요하다. 대조 실험은 다른 조건은 동일하게 하고 한 가지 조건만 실험군과 다르게 처리한 것을 말한다.헬몬트는 대조 실험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오류를 범하게 된 것이다. 밀봉한 고기에는 구더기가 안 생겼다자연 발생설에 대한 의문은 레디(162 ... ...
- 식성 유전자가 결정한다과학동아 l1994년 07호
- 훨씬 더 창자파래를 잘 먹는다는 것을 발견했다.물론 각 변이인자를 하나씩 가진 것은 동일한 두가지 다른 인자를 가진 것들의 중간 정도의 빈도로 창자파래를 포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그들은 인자형과 관련된 먹이의 선호도를 보여주는 것이다(Genetics, vol111, p311).이는 어떤 원리일까? 인자형에 ... ...
- 밤하늘의 길잡이 쌍안경과학동아 l1994년 07호
- 적당한 눈거리를 가진 쌍안경을 골라야 한다.● 실제 시야(관측시야):망원경의 경우와 동일한 의미인데 실제로 쌍안경으로 보이는 시야의 범위를 말한다. 천체 관측에서는 그 범위를 각도로서 나타낸다. 광고의 팸플릿에는 실제 시야라는 항목에 5.5도 7도 등으로 표기되어 있다. 이것은 밤하늘의 5. ... ...
- 생물 - 빛·공기·물의 오묘한 조화, 광합성과학동아 l1994년 06호
- ●잉겐하우즈의 실험 : 프리스틀리의 방법으로 여러 사람이 실험을 실시하였으나, 동일한 결과를 얻기가 힘들었다. 그래서 이를 보완하는 실험을 잉겐하우즈가 실시하였다.이 실험에서 쥐가 살기 위해서는 반드시 빛이 비치는 곳에서, 녹색식물이 함께 있어야만 가능하다는 것을 밝혔다. ● ... ...
- 톱쿼크 발견 임박과학동아 l1994년 06호
- 힘, 즉 중력 전자기력 강력(强力) 약력(弱力)이 존재한다고 알려진 이래 이들 힘을 동일한 상호작용의 다른 표현으로 묘사하려는 이론적인 시도가 있어 왔다. 1967년 미국의 와인버그와 파키스탄의 살람에 의해 전자기적 상호작용과 약한 상호작용을 통일하는 이론이 성공적으로 제시되고(1979년 ... ...
- (3) 21세기 산업의 핵 인공호르몬과학동아 l1994년 06호
- 일차로 입체구조를 조립하고 이어 일부 펩타이드(c-peptide)를 절단해 준다. 인체 인슐린과 동일한 기능적 생체분자구조의 호르몬을 만드는 작업이다. 이렇게 제조된 인슐린은 인류에게 주는 유전공학 최초의 선물이 되었다. 분자생물학과 호르몬호르몬은 생체 기능을 조절해주는 반면 이 호르몬이 ... ...
이전174175176177178179180181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