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림"(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각하는 만화 그리는 빠나나 박사 이기진교수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0호
- 따라 그리기가 아주 쉬워요. 해골도 복잡한 뼈대신 진주알이 엮인 것처럼 그렸죠. 단순한 그림처럼 스토리나 캐릭터 특징도 간단하게 만들어서 소소한 웃음을 주고 싶었어요. 언젠가 그 팬티가 해골과 빠나나 박사를 마법의 세계로 이끌지도 몰라요. 하하!만화로 물리를 공부할 수 있을까요?나의 ... ...
- 이탈리아에서 환영받지 못하는 마당발 수, 17수학동아 l2012년 10호
- 업적을 새긴 것처럼 자신도 묘비에 정17각형을 넣어 주기를 원했다. 하지만 정17각형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원과 거의 구분이 되지 않기 때문에 가우스의 묘비에는 점 17개를 연결한 별 모양을 새겨 넣었다고 전해진다.비록 그의 묘비에 정17각형은 없지만, 가우스의 고향에 세워진 그의 동상 받침대 ... ...
- 10화 세계를 바로잡는 첫 발, 다시 학교로!수학동아 l2012년 10호
- 찢어져라 크게 웃으며 뭔가를 꺼냈다. 어릿광대의 손에 들린 건 복잡한 그림이었다.“이 그림들이 입체가 되면 어떤 모양이 될까요?”문제 ❷ 드리클류의 집을 찾아라!폴b가 문제를 맞히자 어릿광대의 표정이 갑자기 침통하게 바뀌었다.“우리가 문제를 맞힌 게 그렇게 억울하냐?”폴의 호통에 ... ...
- 2012 토슨 브릿지학회 피카소부터 마임까지 융합수학이 떴다!수학동아 l2012년 09호
- 수학적 비밀이 숨어 있다. 피카소는 현대 수학 이론을 작품에 담기 위해 그림을 그리기 전부터 철저하게 계산해 그려 넣었다. 일반인들은 잘 모르는 이 같은 내용을 스페인 바스크지방대 수학과 하비에르 바라요 교수가 소개해 관중들의 호기심을 자극했다.게르니카는 피카소의 1937년 작으로, 1937년 ... ...
- 야구 최강 타순 어떻게 정할까? 마르코프 연쇄수학동아 l2012년 09호
- 아웃 카운트나, 루상의 주자의 위치가 달라지는데, 이를 24가지 상태로 나눌 수 있다. 위 그림과 같은 1아웃 주자 3루 상황에서의 상태 변화를 보자. 동그라미 안의 왼쪽 숫자는 주자 상황을 뜻하고, 오른쪽 숫자는 아웃 카운트이다. 홈런이 나오면 득점이 2점 나오며, 1아웃 주자가 없는 상태로 변한다. ... ...
- [합체] 그리스 신화 속 염소는 괴물인가 아닌가과학동아 l2012년 09호
- 사람의 것이니까 괴물인가?“그런데 재밌는 게 있어. 이 그림을 봐.”수의사가 내놓은 그림에는 K와 아주 닮은 동물이 그려져 있었다. 염소인지 말인지 소인지 알 수 없었는데, K처럼 뒷다리밖에 없었다. 다른 건 다리 수였는데, 한 개였다. 그 다리로 용케 잘 서 있었다. 꼬리는 말총이고 수염이 ... ...
- “오로라 뜨는 밤엔 태양풍을 조심하세요”과학동아 l2012년 09호
- 몸 안에 방사선이 쌓이는 것을 줄여준다).북극항로 갈 땐 우주방사선 조심해야아래 그림은 현재 대한항공이 운항하고 있는 북극항로다. 현재 3개의 북극항로(polar 3, 4, 5 route)를 운항하고 있고, 한 개를 더 추진하고 있다(polar 7 route). 인천공항에서 뉴욕, 워싱턴, 시카고, 마이애미 등 미국 동부 지역을 ... ...
- 고전문학이 꾸준히 사랑받는 이유수학동아 l2012년 09호
- 그린 것이다.수학에서는 이와 같이 점과 선을 이용해 복잡한 구조를 간단하게 나타낸 그림을 ‘그래프’라고 한다. 그래프를 구성하는 요소인 점은 ‘노드(Node)’, 그 점을 연결한 선분은 ‘엣지(Edge)’, 그리고 점에서 연결된 선분의 개수는 ‘차수(Degree)’라고 한다. 또 노드를 연결한 엣지의 전체 ... ...
- 꽉 막힌 도로 수학으로 해결하라!수학동아 l2012년 09호
- 같이 카메라 한 대로 자동차의 순간속도만을 측정했다. 그러나 구간단속시스템은 그림➋와 같이 2대의 카메라로 단속한다. 첫 번째 카메라가 1차로 측정하고, 두 번째 카메라가 다시 2차 측정을 한다. 각각의 카메라로 잰 순간속도 외에도 두 카메라 사이의 거리와, 자동차가 구간을 이동하는 데 ... ...
- 적정기술, 36.5℃의 기술과학동아 l2012년 09호
- 도서관에서 우연히 보았던 미국 초등과학교과서 표지 사진이 가슴에 꽂혔다. 풍력발전소 그림이었다. 말라위 인구의 2%만이 사용하는 전기에너지였지만 누구나 공평히 가진, 그리고 어디에나 있는 바람을 전기 에너지로 바꿀 수 있다면 말라위 사람 모두가 전구를 밝히고 텔레비전을 보도록 할 수 ... ...
이전174175176177178179180181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