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취업일
평일
d라이브러리
"
작업일
"(으)로 총 2,516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의 충실한 조수 마이크로프로세서
과학동아
l
199211
현재는 아무 것도 모르지만 당신이 명령만 제대로 내린다면 스스로 방법을 찾아서 그 명령을 수행하는 충실한 조수가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라 불리는 당신의 조수 CPU가 일하는 방식은?말을 하지도, 듣지도 못하는 사람이 당신의 회사에 입사했다. 더구나 당신의 일을 도와줄 조수로 배치됐다. 그 ... ...
생명 탄생에 중력이 필요?
과학동아
l
199211
과연 무중력 상태의 우주공간에서도 생명이 탄생할 수 있을까? 엔데버호의 달걀부화 실험 결과는?'생물이 태어나기 위해서는 중력이 꼭 필요한가?'일본은 지난 9월20일 귀환한 스페이스 셔틀 엔데버호에서 달걀을 이용해 이 수수께끼를 푸는 실험을 하였다. 착륙후 연구진에 되돌아온 달걀의 상태에 ... ...
"우리 꽃을 우리 땅에"
과학동아
l
199211
10년 동안 전국을 누비며 우리 산하의 터줏대감인 자생식물들을 관찰하고 연구한 결과를 일반인들에게 널리 알릴 생각이다.태백시에서 고한을 넘어가는 싸리재 주변은 여름이면 온통 벌개미취꽃으로 뒤덮인다. 우리의 자생식물을 그처럼 잘 가꾼 곳을 아직 보지 못했다. 해발 1천m가 넘는 고갯길에 ... ...
염색체 21Q·Y염색체 유전지도 완성됐다
과학동아
l
199211
최근 염색체21Q와 Y염색체의 유전지도가 잇따라 작성됐다. 세계의 매스컴은 이 소식을 보도하면서 인간의 달 착륙과 비견하고 있는데 과연 얼마나 대단한 업적이길래…최근 세계적인 과학전문지 '네이처'(Nature, 10월 1일자)와 '사이언스'(Science, 10월 2일자)에는 사람의 염색체 21과 성염색체 Y에 대한 ... ...
'92 노벨상 수상자들
과학동아
l
199211
올해도 우리는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지 못했다. 수상자들의 연구업적을 잘 살펴 다음을 기약하자. 올해의 노벨의학·생리학상은 미국 시애틀에 있는 워싱턴대학 생화학과의 에드윈 크랩스(Edwin Krebs) 교수와 에드몬드 피셔(Edmond Fischer)교수에게 돌아갔다. 이 두 생화학자는 33년 전인 1959년에 에피 ... ...
2 침술로 암치료까지 한다
과학동아
l
199210
중국은 침마취후 직류전기치료를 행해 암을 치료하는 요법을 개발했다. 백금으로 만든 특수침을 사용, 암세포 부위에 약한 직류전기를 통해 암세포를 죽이는 이 요법은 77.7%의 치료 효과를 보았다.중의학 발전은 중국의 커다란 국가정책중 하나다. 모택동의 '중국전통의학과 한약은 높은 수준으로 ... ...
가까이 하기엔 너무나 먼 도스
과학동아
l
199210
개인용컴퓨터를 관리하는 도스프로그램. 이 도스를 정복하면 컴퓨터를 능수능란하게 다룰 수 있다는데….개인용 컴퓨터(PC)를 쓰면서 도스(DOS)라는 말을 많이 듣는데 도스가 무엇인지 물어보면 제대로 답변하는 사람이 드물다.도스를 모르면서 게임을 하고 워드프로세서로 글도 쓴다. 도대체 도스 ... ...
1 '85년 위성발사 상업화 선언
과학동아
l
199210
현재 중국은 자체 개발한 위성제작과 발사기술을 보유한 5개국 중의 하나이고, 위성회수기술을 보유한 3개국 중의 하나다. 또한 다연장 위성로켓 발사기술을 보유한 4개국 중의 하나이며, 자체 개발한 중속 로켓을 이용해 정지궤도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5개국 중의 하나다.1992년 8월 14일 오전 7시. ... ...
원자력·의약품 분야에서 단연 선두
과학동아
l
199210
전통적인 기초기술에 첨단기술을 접합시켜 상호 상승작용을 일으킨다. 이러한 전략으로 유럽은 기울어져가는 구대륙의 자존심을 되찾으려 하고 있다.유럽의 과학기술에 대해 논하는 많은 사람들이 "유럽의 과학기술은 이제 퇴보했다"라는 평가를 내리고 있지만 "유럽의 과학기술은 퇴보한 것처럼 ... ...
우주는 영원히 팽창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10
'빅뱅우주론'이 탄생해 많은 모순점을 극복하고 우주 생성의 표준모델로 자리잡기까지, 그중에서도 정상우주론의 도전을 물리치는 과정을 요약해 소개한다.우주에 시작이 있는가, 아니면 우주는 항상 존재해 왔는가. 오랫동안 과학자들은 이 질문을 철학자와 신학자들의 형이상학적 영역에 속하는 ... ...
이전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