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뉴스
"
한계
"(으)로 총 3,797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부 R&D는 20%밖에 안돼...이젠 민간 못하는 역할 고민할 때" 과기자문위 부위원장의 쓴소리
동아사이언스
l
2020.12.29
있다. 염 부의장은 “정말 회의를 여러 번 했다”며 “현재 정부나 연구기관의 역량
한계
를 아울러 최선의 방법을 고민한 것”이라고 말했다. 감염병연구소는 기본적으로 공무원 조직이고 규모를 키워줘도 연구가 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반면 감염병 연구자들은 기초연구가 중요하지만 ... ...
올해의 10대 과학뉴스에 한국산 진단키트·세계 첫 코로나19 유전자 지도 완성
동아사이언스
l
2020.12.29
양산 기술을 적용해 3세대 10나노급 D램 개발에 성공한 연구는 세계 최소 셀 사이즈
한계
를 극복한 기술로 평가받는다. 현대차는 총중량 34t급 대형 카고 수소전기 대형트럭을 처음으로 양산하는 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스위스 수출에도 성공했다. 한국의 인공태양인 한국형초전도핵융합장치(KSTAR)가 ... ...
코로나19로 힘들던 올해 한국의 기초과학 이들 덕분에 빛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9
성질을 확인하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신 교수는 반도체 미세공정
한계
를 극복할 수 있는 절연체 신소재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게재했다. 김 선임연구원은 원자가 결합하며 분자가 탄생하는 35펨토초(fs·1천조분의 1초)의 순간을 포착해 ‘네이처’에 발표했다. ... ...
암 원인 3차원으로 보는 암 게놈 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8
그러나 유전자 정보를 읽는 1차원적 게놈 서열 분석으로는 구조 변화를 파악하는 데
한계
가 있었다. 최근에는 유전체의 3차원 구조를 확인해 암세포가 특이한 유전자를 발현하는 것을 조절하는 원리를 찾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연구팀은 지금까지 논문 등으로 공개된 18종 암 유전체의 3차원 게놈 ... ...
독일서 화이자 백신 운송 중 적정온도 못 맞춰…1천회분 지연
연합뉴스
l
2020.12.28
보관할 수있다. 접종 직전엔 최고 영상 30도까지 상온에 놓는 것이 가능하지만 2시간이
한계
다. 리히텐펠스시는 코부르크·크로나흐·쿨름바흐 등 이웃 시들과 함께 해당 백신을 접종해도 되는지에 관해 바이오엔테크의 설명을 기다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리히텐펠스시 등이 속한 ... ...
방역당국 "신규 확진 1000명 미만 억제 긍정적...내주 감소세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0.12.25
검사수가 13만 건 정도”고 말했다. 24일 하루 간 전국 코로나19 검사 수는 11만 8078건으로
한계
의 90%에 육박한 셈이다. 윤 방역총괄반장은 “검사는 할 수 있으나 결과를 기다리기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면 그것으로 인해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부작용들도 있을 수 있을 것”이라며 “따라서 모든 ... ...
수분·고온에도 안정적인 페로브스카이트 나노 입자 개발
연합뉴스
l
2020.12.24
외부로부터 수분을 물리적으로 막는 방법은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한계
가 있다. 연구팀은 자체 개발한 '솔-젤' 합성공정을 통해 실록세인 분자(실리콘 기반 고분자)와 페로브스카이트 나노 입자를 한꺼번에 감쌀 수 있는 캡슐 형태의 복합체 수지를 개발했다. [KAIST 제공. ... ...
[소재의 미래]강도와 연성 두마리 토끼 잡은 합금소재 시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4
합금의 최대 인장강도는 약 600메가파스칼(MPa)로 나타났다. 이는 보통 알루미늄 합금에서
한계
로 여겨지던 300MPa를 단숨에 2배 뛰어넘은 값이다. 여기에 강도를 높이면 떨어지던 연성과 전기전도도는 기존 알루미늄 아연 합금과 비슷한 성능을 유지했다. 두 마리 토끼를 잡는 데 성공한 것이다. 관련 ... ...
태양계 '화석' 달 충돌구 10만9천여개 새로 찾아내
연합뉴스
l
2020.12.23
활용한 자동 집계는 충돌구 모양이 고르지 않거나 훼손된 것은 잡아내지 못하는
한계
를 노출해 왔다. 달에 약 30만 개의 충돌구가 있는 것으로도 알려졌지만 국제천문연맹(IAU)이 1919년 창설 이후 공식적으로 인정한 충돌구는 9천137개에 그치는 점이 이런 상황을 보여준다. 충돌구 형성 시기가 ... ...
[팩트체크] 코로나19 백신 맞으면 DNA 변화 생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3
존재했다. 2000년대 초부터 2010년대 중반까지 활발한 연구활동이 이어지며 이 같은 기술적
한계
들을 해결했고, 이번 코로나19 사태에 빠른 백신 개발이라는 성과로 이어졌다.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