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상
추측
가상
몽상
구상
팬시
허구
뉴스
"
상상
"(으)로 총 2,148건 검색되었습니다.
[대전/충남]“과학 인재 빠져나가나” 고민 깊어지는 대덕특구
동아일보
l
2016.01.21
기반 삼아 미국 실리콘밸리처럼 국내는 물론 전 세계의 창업자들을 빨아들여 이들의
상상
력과 창의성, 기술이 사업화로 꽃필 수 있는 생태계로 조성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번 업무 보고에서 미래부는 대덕특구는 언급조차 하지 않았다. 고 박정희 대통령이 1973년 연구학원도시로 씨앗을 뿌린 ... ...
한파 매섭다구요? 6억 년 전 지구는 적도까지 얼어붙은 ‘얼음 별’
2016.01.19
얼어 붙은 ‘얼음 별’ 지구의
상상
도. - 위키미디어 제공 강력한 한파가 한반도를 덮친 가운데 6억 년 전 지구가 적도까지 얼음으로 뒤덮인 거대한 ‘얼음 별’이었다는 주장에 힘을 싣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990년대 후반 제기된 ‘눈덩이 지구 가설(Snowball Earth)’을 뒷받침할 새로운 증거가 ... ...
[광화문에서/윤신영] ‘오래된 미래’를 쓰는 SF와 과학 잡지
2016.01.19
해다. 이 역시 실제와 다르지만, 그렇다고 영화의 가치가 떨어지던가. 과학 기술이
상상
보다 느리게 발전한다는 데에 의문을 품는 사람이 종종 있다. 과학 잡지에서 일하다 보니 자주 질문을 듣는다. “21세기에는 달나라로 소풍 가고 화성으로 이사 간다고 어려서부터 읽었다. 그런데 현실 속 과학은 ... ...
‘우리 친구 아이가~’ 침팬지 세계에도 ‘친구’ 존재
2016.01.18
시작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 pixabay 제공 사람 사이에 신뢰 없는 우정은
상상
할 수 없다. 이는 침팬지 세계에서도 마찬가지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얀 엥겔만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연구원 팀은 이같은 사실을 밝혀내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 14일 자에 발표했다. ... ...
잡스-게이츠 우정과 경쟁, 뮤지컬로… ‘30년 라이벌’ IT 두 거인 일대기
동아일보
l
2016.01.18
놀라운 직감을 갖고 있었어요.”(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빌 게이츠) “빌은
상상
력이 없고 뭔가를 창안한 적도 없지요. 이제 기술보다는 자선 활동을 더 편하게 생각하는 것 같아요.”(애플 창업자 스티브 잡스) 월터 아이작슨은 자신이 저술한 잡스의 자서전 ‘스티브 잡스’에서 1955년생 동갑인 ... ...
역대 최대 규모 ‘초신성’ 발견
2016.01.17
ASASSN-15lh의
상상
도. - 카블리 재단 제공 중국 연구진을 주축으로 한 국제 공동연구진이 우주 먼 곳에 있는 초신성의 대규모 폭발 장면을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초신성은 태양과 같은 별(항성)이 큰 폭발을 일으켜 엄청난 에너지를 방출하는 것으로 한순간에 수억 배 이상 밝아지는 현상이다. ... ...
[토요판 커버스토리]1경4000조원 시장 新에너지 혁명 ‘쨍’
동아일보
l
2016.01.16
멀게만 느껴지던 판타지였다. 그러나 2021년 신기후체제의 시작을 앞두고 이런
상상
속의 비전은 점차 눈앞의 현실이 되어가고 있다. 이른바 ‘에너지 혁명’을 위한 구체적인 청사진이 속속 제시되고 있는 것이다. 태양으로 먹고사는 사람들 주한 영국대사관의 김지석 기후변화에너지 담당관은 ... ...
[책의 향기]100년 뒤 세상은 유토피아가 될까
동아일보
l
2016.01.16
짓일지 모른다. 당장 약 30년 전인 ‘응답하라 1988’만 봐도 카톡이나 모바일 인터넷을
상상
이나 할 수 있었을까. 그래서 100년 뒤 세계는 우리에겐 무의미할지 모른다. 하지만 누가 알랴. 수명을 획기적으로 늘리는 신약이 개발돼 이 글을 읽는 독자들이 22세기에도 살아있을지. 서정보 기자 suhchoi@donga ... ...
나노 크기로 ‘
상상
의 꽃’ 우담바라 만들었다
2016.01.11
‘
상상
의 꽃’으로 불리는 우담바라 모양의 나노구조체(왼쪽)와 이를 확대한 모습(오른쪽). - KAIST 제공 TV나 모니터, 스마트폰 화면 등을 만드는데 두루 쓰이는 액정 분자를 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크기로 정밀 가공하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윤동기 KAIST 나노과학기술대학원 ... ...
1인 드론 택시, 1000마력 전기차…언제쯤 내 손에 들어올까
2016.01.10
최근 테크 업계는 격변의 한가운데 있습니다. CES에서도 이런 추세는 여지없이 나타납니다. 테크, 전자 업계의 전통적 주인공이던 대형 가전 기업이나 컴퓨팅 기업들의 위세가 약해지고 자동차, 전기차, 드론 등 이종 분야와의 융합이 화두로 떠올랐습니다. 미국이나 일본에 이어 얼마전까지 우리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