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결
합동
연합
배합
접촉
접속
단결
뉴스
"
결합
"(으)로 총 3,943건 검색되었습니다.
국산 코로나19 치료제 내년에는 조금 더 희망 보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31
또는 여러 개 섞어 쓴다. 항체는 바이러스 침투나 증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조에
결합
하는 면역 단백질로, 바이러스 주요 부위를 둘러싸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막고 독성을 떨어뜨린다. 미국 제약회사 리제네론, 영국계 다국적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 등도 항체 치료제를 개발 중이다. ... ...
[소재의 미래]⑺그래핀과 실리콘반도체의 경계에서 돌파구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30
’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두 물질을 붙일 때 생기는 경계면에서는 기존 두 물질을 이루는
결합
구조나 조성과는 다른 새 물질이 생겨납니다. 두 물질의 경계면은 새로운 소재가 생성되는 보고(寶庫)인 셈입니다. 동아사이언스는 미래소재연구단과 함께 앞으로 한국의 소재 산업을 이끌 미래 소재의 ... ...
루게릭병 막는 신경보호 유전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30
거대 단백질로 핵과 세포질 사이 물질 교환 통로인 ‘핵공 복합체’와 RAN 단백질의
결합
력을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RAN 단백질이 핵공 복합체에 붙잡히면서 핵 안쪽으로 돌려 보내지면서 농도 분포가 정상으로 돌아오는 것이다. 임 교수는 “기존에 그 연관성이 알려지지 않았던 두 유전자가 ... ...
식약처 “셀트리온 항체치료제 허가 심사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0.12.29
낸다면, 렉키로나주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결합
할 인체 세포
결합
영역(RBD)에 대신
결합
해 바이러스의 인체 세포 침투 자체를 막는다. 셀트리온은 렉키로나주가 코로나19 경증부터 중등증까지 효과가 있으며, 90분간 정맥에 투여하는 주사제라고 설명했다. 셀트리온은 렉키로나주 생산에 ... ...
코로나19로 힘들던 올해 한국의 기초과학 이들 덕분에 빛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9
신소재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게재했다. 김 선임연구원은 원자가
결합
하며 분자가 탄생하는 35펨토초(fs·1천조분의 1초)의 순간을 포착해 ‘네이처’에 발표했다. 생명과학 부문에서는 윤지연 연세대 의생명과학과 연구교수와 전희정 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선임연구원이 뽑혔다. ... ...
인공위성으로 가뭄 실시간 감시한다
2020.12.28
수십cm 아래의 토양은 볼 수 없다. 연구팀은 강수량과 복사열, 지표온도, 바람 등을
결합
한 시뮬레이션 모델로 토양 수분을 추정한 다음 실제 관측 결과와 혼합하는 방식을 썼다. 인공위성 데이터에 모델을 더해 50%이던 정확도를 5% 이상 높인 것이다. 그 결과 인공위성 관측과 달리 북미 전역의 ... ...
英 변이 바이러스 어떻게 찾아냈나…유전체 염기 3만 개 해독
동아사이언스
l
2020.12.28
N501Y로 표기한다. 스파이크 단백질에서 인간 세포의 수용체와
결합
하는 부위를 수용체
결합
부위(RBD)라고 부르는데, N501Y는 RBD의 501번째 아미노산인 아스파라긴(N)이 티로신(Y)으로 바뀌는 변이가 일어났다는 뜻이다. 방대본은 이 변이 바이러스가 코로나19 바이러스 그룹 중 GR그룹에 ... ...
국내 상륙한 영국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어떤 특징이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12.28
9 표면에 있는 돌기 모양의 스파이크 단백질이 숙주세포의 안지오텐신전환효소2(ACE2)와
결합
하면 퓨린 단백질분해효소(TMPRSS2)가 스파이크 단백질의 일부분을 자르고 비로소 세포 내로 침투한다.기초과학연구원(IBS) 제공 스파이크 단백질의 69번과 70번 아미노산이 삭제된 변이는 스파이크 ... ...
영국 변이 코로나바이러스 지금까지 알아낸 것과 아직 모르는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12.28
커진 것으로 확인됐다. 정용석 경희대 생물학과 교수는 “D614G도 인간 세포 수용체와의
결합
력이 향상돼 전파력이 최대 9~10배 커졌다”며 “마찬가지로 N501Y도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은 있다”고 말했다. 전파속도 향상은 의료 체계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 정 교수는 “감염병 대응 전략의 ... ...
사이언스 "영국 코로나19 변이체 감염력 높은 이유는 4개 돌연변이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20.12.24
아미노산이 프롤린(P)에서 히스티딘(H)으로 바뀐 변이다. 스파이크 단백질은 숙주 세포와
결합
후 퓨린 단백질분해효소에 의해 절단되면서 활성화된다. P681H가 스파이크 단백질의 절단 부위를 바꿔 활성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크리스티안 드로스텐 독일 샤리테의대 교수는 "P681H는 N501Y만큼 감염력에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