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초
아교
접합제
식물
초본
자연초
반수
d라이브러리
"
풀
"(으)로 총 2,336건 검색되었습니다.
파브르의 곤충기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아주 소박한 소망이 있었다. “오가는 사람의 눈에 띄지도 않고 집 가까이에 있으며 골
풀
몇포기가 싱싱하게 자라고 부평초가 우거진 연못이나 하나 있었으면 … 동그라미를 멋지게 그리며 헤엄치고 돌아가는 물매미의 자랑스러운 모습, 물 위를 미끄러지듯 달리는 스케이트 선수 소금쟁이, 직업이 ... ...
스노보드에 숨겨진 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힐사이드 슬라이딩 의 경우 뒤꿈치(hill)에 힘을 줘 발 뒤쪽 엣지에 무게를 실어주거나
풀
면서 마찰력을 조절하는 것이고 토사이드 슬라이딩 은 이와 반대로 발가락(toe) 쪽에 힘을 줘 앞쪽 엣지를 조절하는 것이다.사이드 슬라이딩이 어느 정도 익숙해지면 이제 본격적으로 보드를 즐길 수 있다. 먼저 ... ...
암호학 카드하나로 통하는 디지털 보안첨병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개발하기도 했다. 매듭이론의 개념은 정보를 복잡한 매듭으로 묶어 전달하면, 이 매듭을
풀
수 있는 사람만 정보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암호학에 양자이론을 도입해 양자암호를 만들려는 시도도 있다. 물론 양자암호를 만드는데도 수학적 배경이 필수적이다.이렇듯 암호 알고리듬을 새로 ... ...
① '수능 프리즘'을 통해 본 과학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하지만 이 문제는 ‘광물’과 ‘암석’의 관계에 대한 최소한의 사전지식만 있으면
풀
수 있다. 광물은 암석의 성분이 되는 기본 단위다. 그런데 주어진 자료에서 일단 ‘한 종류의 광물로 이루어짐’이라는 문구와 ‘연한 회색 또는 밝은색’이라는 표현이 있으므로, 표에 있는 암석들 가운데 ... ...
기상천외한 동물의 의사소통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달리 바위 뒤에서 소리를 내도 다 들을 수 있다. 어두운 곳에서도 가능하다. 많은
풀
벌레가 밤에 연주할 수 있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이런 장점 때문에 여러가지 복합적인 정보도 그 안에 담을 수 있다.그렇지만 나쁜 점도 많다. 우선 말을 하루종일 하는 것은 굉장히 힘든 일이다. 사람도 말을 많이 ... ...
겨울을 녹이는 따뜻한 차 이야기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신농이 산천을 다니면서 직접
풀
을 맛보아 식용 또는 약용을 결정하는데, 하루는 여러
풀
을 맛보다가 독초에 중독됐다. 그때 우연히 바람에 떨어진 나뭇잎을 먹고 해독됐다. 바로 그 나뭇잎이 차나무 잎이었다고 한다. 이때부터 차에 대한 효능이 알려지고 널리 음용됐다는 것이다.그렇다면 찻잎은 ... ...
Ⅰ 디지털 르네상스 주도할 쌍두마차 ① 원자세계 신출귀몰한 조화 양자컴퓨터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2’가 이에 해당한다. 물론 시저의 암호같이 간단한 암호는 열쇠를 쉽게 찾아내 가볍게
풀
린다. 세계대전을 거치는 동안 암호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열쇠는 점점 더 복잡해졌다. 현대의 암호는 매 알파벳마다 쓰이는 열쇠가 달라 암호문에서 평문의 알파벳 사용빈도의 통계를 찾아볼 수 없다. ... ...
Ⅱ 놀고 있는 컴퓨터 그물망으로 엮는다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따져볼 때 그리드 컴퓨팅이 갖는 잠재력은 가공할만하다. 하지만 마냥 기대에 부
풀
어있을 일은 아니다. 그 잠재적인 힘에 걸맞는 확실한 결과가 아직은 없기 때문에 접근과 활용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점도 반드시 인지해야 한다.인터넷이 전세계의 컴퓨터를 서로 연결하는 인프라로서 한차례 큰 ... ...
한민족의 오랜 벗 한국개의 기원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의해 근거 없이 주장됐다.그러나 최근 유전학의 여러 방법들이 발달하면서 그동안
풀
수 없던 이 같은 의문들에 대한 해답을 구할 수 있게 됐다. 필자는 현대 생물학적 방법으로 한국 토종개의 기원이 어디인지 알아보는 연구를 하고 있다. 그동안의 연구가 다양한 결실을 얻으면서, 올 12월에는 미국 ... ...
Ⅰ 노벨상 Best3 vs Worst3 : 물리학 - 상대론 빠진 수상, 그래도 아인슈타인 최고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발빠른 발달이 이들의 업적을 고물처럼 만든 것이다.21세기 에테르 진공에너지
풀
어야반면 이론분야의 공로는 세월이 흘러도 그대로 빛나는 보석처럼 남아있는 것 같다. 필자 주위에 있는 물리학자(교수)들에게도 의견을 물어봤다. 그 평가는 극에서 극을 치닫는 경우가 비일비재했다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