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겹
켜
지층
계층
플로어
두께
층계
d라이브러리
"
층
"(으)로 총 2,020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자센서보다 우수한 광학섬유센서 등장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사람은 버몬트대학의 공학자인 드라이버 허스턴과 피터 푸. 그들은 지난 달에 준공된 5
층
짜리 의학연구소에 자신들의 작품을 투입하고는 그 성과를 예의주시하고 있다.원래는 건물이 세워지는 동안에만 국한, 구조물들이 어떤 스트레스를 받는가를 알아내기 위해 광학섬유센서를 개발해냈다. ... ...
대덕시대 개막으로 재웅비 꿈꾸는 스무살 KAIST 고뇌와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을 아주 잃는게 아닐까'로 집약될 수 있다.1971년 2월16일 창경원 옆 지금의 서울과학관 4
층
의 조그만 사무실에서 채 열명도 안되는 젊은 과학자들이 현재 KAIST의 전신(前身)인 한국과학원(KAIS)을 창설한 이래 그동안 배출된 박사수만도 1천1백51명이고 석사는 줄잡아 6천3백여명을 헤아린다.단위 ... ...
정체 드러내는 「신의 아들」엘니뇨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몰린 더운 물은 그곳에 더운 물의
층
(層)을 두껍게 형성시킨다.수년을 주기로 이 더운 물
층
의 동서 방향의 기압기울기가 파괴되면서 동서무역풍이 현저히 약화되는데 그 영향으로 적도 해양에 켈빈파(Kelvin wave)가 발생한다. 켈빈파는 적도를 따라 동쪽으로 이동하는데 서태평양의 더운 물은 이 파를 ... ...
"현재는 과거의 열쇠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것은 아니다. 이 현상을 과학자들은 대기성분의 진화(유리 산소량의 증가와 오존
층
의 형성 등)와 관련해서 설명하고 있다.그리고 캄브리아기에 모든 생물이 일시에 나타난 것은 아니다. 우선 척추동물과 육상식물군은 아직 등장하지 않는다. 이들을 제외한 모든 생물의 문(門)들이 등장하기 ... ...
과일쌓기의 기하학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쌓은 것임을 알 수 있다.세번째 방법은 삼각형무늬
층
을 쌓아나가되 각 구를 바로 아래
층
의 세 구의 틈에 엇갈려 넣는 방법이다.이 세 방법을 각각 입방격자 육각형격자 면심입방격자라고 부른다. 이 격자꼴로 놓인 구들이 비어있는 틈쪽으로 점점 더 자라 공간이 완전히 채워지는 경우를 상상해 ... ...
1 공간을 넘어 시간의 영역에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30t의 무게에 길이가 30m로 작은 체육관 크기였으며 그 발열량은 6
층
건물을 충분히 난방시킬 수 있을 정도였다. 에니악은 원래 조사용으로 개발된 것이어서 오랫동안 실용화되지 못했다. 1951년 상용 컴퓨터인 유니백이 등장하여 본격적인 컴퓨터 시대를 선언했다. 이로부터 4 ... ...
4. 「타워링」의 비극이 현실화할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못지 않게 대도시 중심부는(확산도시로 유명한 로스앤젤레스마저도) 어디서나 대형고
층
건물로 채워지고 있음을 볼 때 자동차와 승강기의 승부는 아직 끝나지 않은 것 같다.그러나 확실한 것은 '사람의 도시'가 '자동차의 도시'나 '마천루의 도시'로 되어가는 느낌일 것이다. 자동차와 마천루는 모두 ... ...
1. 1천m이상 「수직도시」구상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최대한 활용한다.스카이시티-1000은 높이가 1천m로 직경이 위로 올라가면서 줄어들어 최상
층
은 1백60m로 돼있다. 총중량은 6백만t, 거주자 3만5천명 취업인 10만명이 움직이는 거대공간이다. 주 구조물은 1만kg/㎠의 고장력강이 예상되며 초고강도콘크리트도 쓰일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는 다케나카(竹中 ... ...
화산활동의 생생한 흔적 확인해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끝날 때마다 마지막으로 분출되는 화산재가 응회암
층
을 만들기 때문에 이
층
을 열쇠
층
(key bed)으로 해서 기를 구별할 수도 있습니다.서영교 4기 조면암에서 모두 주상절리가 발달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은 기억해두어야할 것 같습니다.김두석 성인봉 등정을 포함했던 제5기 지형탐사는 고생보다 ... ...
울릉도의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발견한 하도(河道 channel structure)도 탐사단을 흥분시키는 수확이었다. 육지의 퇴적암
층
에서는 흔히 발견되는 하도지만 화산섬인 울릉도에서는 이런 구조를 발견했다는 보고가 없었기에 정밀한 조사를 거쳐 하도라는 것이 확인되기만 한다면 이번 탐사의 가장 큰 수확이 될 것이라고 발견자들은 입을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