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총"(으)로 총 3,590건 검색되었습니다.
- [독자탐방] 똑똑한 길을 만드는 교통신호체계의 비밀수학동아 l2013년 09호
- 꺼지는 상황이에요. 차가 출발한 후 빨간불에 두 번이나 걸리기 때문에, 1km를 가는 데 총 120초 정도가 걸립니다.②번 시공도는 빨간불의 시간을 약간씩 다르게 조정했어요. 차가 ①번보다 30초나 늦게 출발하지만, 오히려 약 80초 만에 1km를 통과합니다.빨간불이 켜지는 시간 차이(연동 값) 덕분이에요. ... ...
- Intro. 양자역학의 위대한 시작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보어는 7월 ‘원자들과 분자들의 구 성에 관하여’라 는 논문을시작으로 9월, 11월에 걸쳐 총 3부작의 논문을 학 술지 ‘철 학 회보’에 발표 했다.그 중 9월에 발표한 논문 ‘원자핵이 하나인 계’에는 오늘날 우리가 ‘보어 모형’이라 부르는 원자에 대한 개념이 들어있다.원자핵 주위를 도는 ... ...
- 꼬리칸에서 생존하는 법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계산의 편의를 위해 돼지만을 사육한다고 하면 1년에 돼지 2920마리를 잡아야 하며, 총 21칸의 사육공간이 필요하다. 벼 재배에 비하면 공간이 적게 든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사료를 재배하기 위한 공간은 고려하지 않은 계산 결과다.설국열차는 노아의 방주가 아닌 지옥승객을 위한 공간도 턱없이 ... ...
- [life & Tech] 착한야식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야식이라고 생각하는데 야식의 정의는 따로 있습니다. 오후 7시나 8시 30분 이후에 1일 총 섭취 열량의 25~50%이상 음식물을 섭취하는 행위를 말하지요.아, 숫자가 애매한 것은 사람마다 야식의 정의를 다르게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에요. 이마저도 해외에서 정의를 내린 것이고,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 ...
- 배터리 닳는 속도가 LTE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중(그러나 천천히) 역대 스마트폰의 사양을 살펴보면 신제품일수록 총 중량과 총 부피는 줄어드는데 배터리 용량은 신기하게 늘어난다. 설계방식을 최적화하고 부품을 소형화해 배터리에 쓸 수 있는 공간이 늘어난 것도 사실이지만, 같은 질량과 부피일 때 배터리의 용량은 실제로 조금씩 ... ...
- Part 2. 사고 원인을 둘러싼 4가지 쟁점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기장은 총 비행시간이 9793시간으로 베테랑 조종사지만, 사고 기종을 조종한 경험은 총 9회, 43시간에 불과하다. 그러나 아시아나항공과 국토교통부는 “관숙비행이 국제 항공업계에서 통용 되는 절차로 문제될 것이 없다”고 밝혔다. 게다가 사고 기종을 조종한 경험이 풍부한 이정민 부기장이 교관 ... ...
- 마찰력은 제로, 속도는 무한대과학동아 l2013년 08호
- 하루 2~3회, 총 7500t 정도를 버린다. 다른 워터파크도 일반적으로 이런 방식으로 총 담수량의 30~40%를 매일 버린다. 3일 정도면 전체 물을 갈게 된다.이용객들은 대체로 워터파크의 수질이 깨끗하다는 반응이다. 7월 7일 자녀와 함께 오션월드를 찾은 이광우(45, 서울 홍제동)씨는 “워터파크를 자주 오는 ... ...
- 천문학 - 해왕성의 잃어버린 막내 찾았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중 지름이 19km에 불과한 조그마한 위성을 새로 발견했다.이로써 해왕성의 위성은 총 14개가 됐다.이 위성은 해왕성의 위성 중에서 가장 작다.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어두운 별의 1억 분의 1 정도 밝기다. 그래서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보이저 2호가 1989년 해왕성을 스쳐 지나가면서 고리와 위성을 ... ...
- 빙하가 물러나면 자주범의귀가 핀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많죠. 이러한 위험을 막기 위하여 기지 외부로 나갈 때에는 반드시 총을 갖고 가야 해요. 총기는 현지에서 하루동안 교육을 받고 자격증을 받는데 교육비는 약 40만원이랍니다.또다른 연구지역인 알래스카 카운실은 북위 64도 51분, 서경 163도 42분에 있어요. 툰드라 지역이지만 침엽수가 자랄 수 있는 ... ...
- 돈 벌기 힘든 세상일수록 뜨는 학과가 있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빅데이터로 트렌드를 알아낸다“2012년에 만든 데이터의 양이 그전까지 인간이 만든 총 데이터양보다 많습니다. 그리고 2013년에는 2012년을 포함해 그 이전까지 만든 것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만들 것입니다.”조 교수는 데이터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렇게 많은 양의 ... ...
이전1731741751761771781791801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