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님
까까중
승려
사주
사승
d라이브러리
"
중
"(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아이템] CES 혁신상, 모두 주목한 혁신 아이템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있다. 불편함이 있는 곳에 혁신이 있다. 갤럭시 스마트태그+삼성전자 / 3만 9600원작지만
중
요한 물건을 쉽게 잃어버리는 사람들에게 딱이다. 열쇠나 지갑, 반려동물의 목걸이 등 어디에나 붙여놓으면 된다. 초광대역(UWB) 기술이 적용돼 높은 정확도로 신호를 전달한다. 잃어버린 물건을 찾는 것도 ... ...
[과학뉴스] ‘차가운’ 핫스팟? 모순된 진실 존재한다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않고 따뜻한 수준이었다. 심지어 15%는 온도 차가 36°C 이하로 차가운 상태였으며,
중
앙 해령보다 온도가 낮은 지역도 존재했다. 기존의 열점 생성 이론에 모순이 생긴 것이다.연구팀은 “모든 열점을 자세히 분석해, 차가운 열점 시나리오를 다양하게 테스트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 ...
[CES 2022 현장 리포트] “미래는 공존을 택했다”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CTA 대표는 “CES 2022에서는 우리 사회를 재편하고 근본적인 과제를 해결할 혁신에 집
중
했다”며 “기술의 혁신은 우리를 더 낫게 만들고 인간으로서 할 수 있는 것을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융복합@파트너] 생체 모방으로 탄생한 친환경 약물 패치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막는다.박 교수는 “전압은 환자들이 불편함을 느낄 수 있어 대신 마찰 전기를 연구
중
인데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했다”며 “전압 장비 없이 몸을 두드리는 것만으로 마찰 전기를 일으켜 일정 약물을 체내에 투입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의료용 드레싱 테이프 개발도 관심사다. 체내는 ... ...
[인터뷰] “일단 부딪쳐봐야 자신의 것이 됩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피부미용 의료기기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여성 과학기술인이 다양한 제품 개발에
중
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이 대표는 “여성들의 감각과 아이디어가 이 분야에도 접목된다면 훌륭한 제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탐험대학] 당신의 반짝이는 아이디어를 응원합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자율주행 수준이 높아지는 알고리즘을 제시해 우수상을 수상한 이류준 군(경기 용인 동백
중
3)은 “인공지능과 생물학이라는 전혀 다른 분야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배우게 됐다”며 “멘토의 조언이 있어 가능했다”고 말했다. 이들의 멘토로 참여한 서현석 KIST 바이오메디컬융합연구본부 ... ...
[특집] COP26 어린이가 감시하자! 다음 숙제는 무엇?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2030년까지산림 그만 파괴!130개국은 2030년까지 산림 파괴를
중
단하기로 했습니다. 아마존 등에서 이뤄지는 산림 파괴는 숲이 온실기체를 흡수하는 시스템을 방해해 지구온난화를 가속한다고 지적 받고 있습니다 ... ...
[이달의 과학사] 1927년 1월 13일 예쁜꼬마선충을 스타로 만든 생물학자 시드니 브레너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선택했습니다. 생식세포를 제외하고 총 1033개의 세포를 가지고 있고(수컷), 이
중
302개가 신경세포라 관찰이 비교적 쉬웠습니다. 수명은 3주에 많은 자손을 낳으며, 급할 때는 냉동이 가능해서(!) 실험에 적당했지요.약 10년의 연구 끝에 1974년, 브레너는 예쁜꼬마선충의 유전학에 대한 논문을 ... ...
[기획] 인공 눈 과학자가 답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최대 600km2로 서울시 면적에 해당해요. 이 정도면 거리로 따졌을 땐 20~40km 정도예요.
중
국과 한국 간에 가장 가까운 곳은 산둥반도와 태안반도로 약 300km 떨어졌습니다. 이 정도 거리면 인공 눈 효과는 대부분 사라지고 말지요 ... ...
[핫이슈] 보드게임 타일은 왜 정사각형 아니면 정육각형일까?
수학동아
l
2022년 01호
표기하기 어려워요. 또 타일 위에서 움직이는 말의 이동이 부자연스러워요. 말은 타일의
중
심을 따라 이동하는데 정사각형이나 정육각형 타일에서는 직선으로 움직일 수 있지만, 정삼각형 타일에서는 아래쪽 그림처럼 계속 지그재그로 이동해야 해요. 정삼각형 타일을 활용하는 보드게임이 아예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