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장"(으)로 총 4,725건 검색되었습니다.
- 변신의 달인. 비타민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6호
- NO!비타민 C는 많이 섭취할 경우 흡수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너무 많이 먹을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는 과학자들도 있어. 실제로 1996년 미국 국립과학원회보의 연구에 따르면, 염소가 만드는 양과 비슷한 12g의 비타민 C를 하루에 먹었더니 평소 70~95%에 이르던 비타민 C 흡수율이 16%까지 떨어졌다고 해. ... ...
- 선풍기는 억울해~!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5호
- 공기 압력을 바꾸지도 않기 때문이에요.바람 때문에 체온이 떨어져서 사고가 난다는 주장도 틀렸어요. 몸의 온도가 떨어지는 저체온증은 체온이 35℃ 이하가 되어야 발생하거든요. 특히 저체온증으로 목숨을 잃을 정도가 되려면 체온이 27~28℃까지 내려가야 해요. 그런데 선풍기만으로 이 정도까지 ... ...
- 나로호 2차 발사 실패, WHY ?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3호
- 확인됐지.또 일부 러시아 언론은 한국이 만든 제어 시스템에 문제가 생겨 폭발했다고 주장하고 있어. 하지만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폭발 당시는 한국이 만든 제어 시스템이 작동하는 구간이 아니래. 한국의 제어 시스템은 2단 로켓이 분리되는 시점인 이륙 후 3분 52초부터 시작되는데, 폭발 ... ...
- 하늘을 읽는 삼각법의 발견수학동아 l2010년 12호
- 미친 영향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크다. 삼각법은 코페르니쿠스가 태양중심설을 주장했을 때 큰 역할을 했다. 그는 제자이자 동료였던 독일의 수학천문학자 레티쿠스로부터 ‘모든 종류의 삼각형에 대하여’라는 책을 받았다. 이 책은 독일의 천문학자 레기오몬타누스가 1464년에 완성한 책으로 ... ...
- 바다동물특공대 석유 오염 사고를 해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2호
- 사고 때에는 모두 53마리의 새가 다치거나 죽은 채 발견됐어. 발견되지 않은 새가 많다는 주장도 있고. 그 중 15마리가 건강하게 자연으로 돌아갔단다.나도 그렇게 살아남은 새 중 한 마리야. 내 발에 붙은 번호표 보이지? 자연에 돌아갈 때 붙인 건데, 반 년 뒤인 2008년 6월, 국립문화재연구소의 섬 추적 ... ...
- 기준에 맞춰 모여! 모두 집합!수학동아 l2010년 12호
- 관심이 높아지고 연구를 지속할수록 많은 수학자는 칸토어의 이론이 완벽하지 않다고 주장했습니다. 결국 집합론을 발표한 지 얼마 되지 않은 1897년, 이탈리아 수학자 부르알리-포르티는 최초로 집합론 역설을 발표했습니다.칸토어는 그의 집합론에서 주어진 임의의 가장 큰 수(초한수) 가 있다고 ... ...
- 과거가 없는 현재, 현재가 없는 미래는 없다과학동아 l2010년 12호
- 더하고 있지만 궁극적 신앙이 추구하는 근본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 맥그래스 교수의 주장이다.월터 실장은 “학문의 중심, 최전선에 있는 사람들이 근본을 잃지 않으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루브르에 있는 C2RMF에서는 인문학과 자연과학, 공학,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의 ... ...
- 1991년 사이먼 르베이 박사의 동성애자 뇌구조 차이발견과학동아 l2010년 12호
- 30일자 ‘사이언스’에 발표되자 언론은 대서특필했고 “나는 동성애자로 태어났다”고 주장해온 많은 동성애자들은 이 결과를 환영했다.동성애 유전자는 아직 못 찾아그럼 도대체 무엇이 이런 차이를 유발할까. 동물을 대상으로 한 여러 실험 결과 태아의 발달과정의 특정시기에서 분비되는 ... ...
- Part 2. 과학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0년 12호
- 객관적인 평가를 받을 길을 하나 막아버린 셈이다.선진국에서 한의학을 주목하고 있다는 주장 역시 과장이라는 평가다. 조정훈 원장은 “세계의 다양한 전통 의료 중에서 효과가 있는 방법을 찾아내려는 시도일 뿐 특별히 한의학을 눈여겨보는 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그런 시도는 현대의학이 ... ...
- 800년 만에 돌아온 고려 시대 보물선과학동아 l2010년 12호
- 일각에서는 나무토막에 짚을 깔아 도자기처럼 깨지기 쉬운 화물을 고정시켰다고도 주장한다. 나무로 만든 유물들이 어떻게 물속에서 800년 넘게 보존될 수 있었을까.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수중발굴과 차미영 전문위원은 “서해에는 갯벌이 많아 유물들이 진흙에 묻혔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 ...
이전1731741751761771781791801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