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변"(으)로 총 6,58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플래시 스피드포스 초소형 가속기 기술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방법으로는 가속기의 크기를 줄이는 데 한계가 있다. 이대로라면 플래시가 대형 가속기 주변에서만 출동할 수 있는 셈이다. 그런데 강력한 레이저와 플라스마를 사용하면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원리는 이렇다. 원자핵과 전자들이 섞여 있는 플라스마 속에 강력한 레이저 펄스를 쏘면, ... ...
- [Culture] 알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않을 겁니다. 포브스에서 빠져나가는 데 성공한다 해도 어딘가에서 현실조작능력을 쓰면 주변 사람들의 이목을 끌 거고요. 그리고 저는 아직도 희망을 품고 있습니다. 정부의 과학자들이 우리가 다른 사람과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법을 찾아낼지 모른다는. 저희가 여기서 사라진다면 작가님 같은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적이 몰래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 방패를 들고 성 주변을 빙빙 돌면서 끊임없이 주변을 살폈어요. 이런 모습을 본떠서 ‘조금 걸을 척(彳)’과 ‘방패 순(盾)’이 합쳐진 ‘돌 순(循)’이 만들어졌답니다.한편 ‘고리 환(環)’은 ‘구슬 옥(玉=王)’에 ‘놀라서 볼 경(睘)’이 더해져 만들어진 ... ...
- [Focus News] 초강력 태양폭풍 지구 강타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11호
- NASA와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다. 코로나그래프는 인공적으로 태양면을 가려서 태양 주변의 대기층인 코로나를 관측하는 장비다. 태양폭풍으로 통신이 두절되거나 전력 공급이 중단되면 국가적인 재앙이 될 수 있다. 정부는 2013년 우주전파 재난 위기관리 표준 매뉴얼을 만들고, 관심-주의-경계-심각 ... ...
- Part 1. 北 핵실험, 백두산 분화 가능성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규모 7.1의 지진은 주변 화산 분화를 유발한 반면, 2011년 규모 9.0의 도호쿠 대지진은 주변 화산 분화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英-美 “백두산보다 핵무기 걱정해야”북한 핵실험이 백두산 분화에 미칠 직접적인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클라이브 오펜하이머 영국 ... ...
-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광축이 일치 하도록 거울을 미세하게 조정해야 하는 반면, 광섬유는 흔들리거나 주변 온도가 급격히 낮아져도 앙자효율을 높은 상태로 유지한다. 전투상황에 더 적합한 셈이다. 최근 독일 군수업체 ‘라인메탈 디펜스’가 80kW급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 무기의 제작 계획을 발표하면서 향후 광섬유 ... ...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세상 모든 물체의 질량을 따졌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원기와 복제본의 무게가 주변 환경에 따라 미세하게 변했던 것. 과학자들은 영원히 변치 않는 상수를 질량의 기준으로 제안했다. 그리고 수십 년간의 장고 끝에 결실을 맺었다. 국제단위계는 7개 기본단위로 이뤄진다. 길이의 단위인 미터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오육칠 박사의 연구실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 응축기 → 팽창 밸브를 끊임없이 순환해요. 먼저, 증발기에서는 액체 상태의 냉매가 주변의 열을 흡수해 기체로 변하면서 에어컨의 차가운 바람을 만들어요. 이후 증발한 냉매는 ‘압축기’를 거치며 급격하게 부피가 줄어들지요. 그러면 기체 분자끼리의 충돌이 많아지면서 열이 발생한답니다 ... ...
- Part 4. 아쿠아 맨의 삼지창 초속 100m 초공동 어뢰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본격적인 실험에 돌입했다. 길이가 16.5m, 폭이 2.4m, 높이가 9.5m인 고속 공동 수조는 물체의 주변 수압을 수증기압보다 낮추고 빠른 속도로 물을 흘려보내 초공동 현상을 발생시킨다. 연구팀은 수조를 이용해 유속, 캐비테이터 모양 등 조건에 따라 초공동 현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연구하고 있다. ... ...
- [Future] ‘ 마션 인 하와이 ’ 8개월의 기록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현무암질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비슷하게 마우나 로아 지역도 화산이 분출한 화구 주변에 마그마가 퇴적하면서 해발 약 2500m에 작은 언덕이 생겼다. 이곳은 생긴 지 얼마 안 된 현무암질 용암이 뒤덮고 있어 서식하는 동식물이 거의 없다. 날씨도 1년 내내 큰 변화 없이 시원하고 건조한 편이다 ... ...
이전1731741751761771781791801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