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입자로 암 치료하는 세상 꿈꾼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아니다. 정확히 표적에 도달하더라도 원하는 순간에 원하는 양만큼 약품을 분출하도록
조절
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또 연구단이 나노입자를 이용해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은 사람의 몸이 아닌 쥐에서 실험한 결과이기 때문에 인체에서도 같은 효과를 낸다고 단정 ... ...
심해저 깊은 맛 해양심층수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무기염류를 분리할 수 있다. 이렇게 추출한 무기염류는 경도를 맞추기 위해 종류와 양을
조절
해 선택적으로 다시 집어넣는 과정을 거친다. 그 뒤에는 경도와 세균을 검사하는 수질 분석을 마친 뒤 마지막으로 자외선 살균을 거쳐 제품으로 완성된다.해양심층수는 어떤 효과가 있을까. 동국대 의대 ... ...
보이지 않는 전자파노이즈의 위협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관성과 같은 힘인 ‘인덕턴스’와 전압의 변화를 억제하는 정전용량(캐패시턴스)을
조절
해 전자파노이즈의 발생을 막는다. 전자파노이즈를 완전히 막는 방법은 없을까. 전자기기와 전자파노이즈는 빛과 그림자 같아서 완전히 제거하는 방법은 아직까지 없다. 충북대 정보통신공학과 김남 교수는 ... ...
하와이 제도에서 찾은 진화의 증거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그 중에서도 우량 유전자가 집단에 퍼져야하오. 이게 적자생존 아니겠소.그런데 유전자
조절
부위를 발견한 것만으론 이것이 뒷받침되지 않소. 박쥐의 팔을 길게 만든다는 Prx1 유전자를 생쥐에 넣어 생쥐 앞다리가 길어졌다고 하더라도 이것이‘자연선택’돼 후손에게 퍼질 것이라고 어떻게 ... ...
동물원의 동물이 야생으로 간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배경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는 하늘! 구름과 태양빛을 어떻게
조절
하느냐에 따라 영화 전체의 느낌이 좌우되기 때문이다. ‘마다가스카2’는 3D로 구름을 먼저 만들고, 이 구름에 빛을 비추는 방식을 최초로 사용해 진짜 같은 하늘을 만들었다. ◀아프리카를 뒤덮는 동물 무리를 표현하는 ... ...
방귀대장 소돌이의 탄소마을 구출 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자연에서 난 재료로 만들어 건축폐기물이 나오지 않을 뿐 아니라 열과 습기가 저절로
조절
돼 추가냉난방이 거의 필요 없다. 생태건축가 이윤하 소장님이 말하는 생태마을의 5가지 요소➊ 열태양열이 집을 따뜻하게 하는 집. 그러려면 건물이 햇빛을 향해 모여 있어야 하고 건물끼리도 서로 겹치지 ... ...
성공하는 과학관의 7가지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코일의 어느 부분에 연결시키는가에 따라 전구의 밝기는 물론 꺼지고 켜지는 것도
조절
할 수 있기 때문이다.부자가 머리를 맞대고 전기회로를 만드는 이곳은 런던과학관 3층에 있는 ‘론치패드’(Launch Pad). 2007년 새롭게 개장한 과학놀이터다. 론치패드에는 도르래나 수레바퀴로 쌀을 퍼 옮기는 대형 ... ...
[생물]항생제의 공격에 저항하는 세균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복제원점이 여러 곳에 존재하며 복제복합체가 핵막에 존재한다. 원핵생물은 DNA 전사
조절
이 진핵생물보다 간단하고 복제 과정에서 RNA 접합이나 캡핑이 생략된다. RNA가 성숙하지 않아 전사와 동시에 단백질로 발현된다.5) 새로운 유전자는 항생제에 공격받지 않는 새로운 효소 또는 단백질을 만든다. ... ...
과학으로 부활하는 매머드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태아 견본에서 DNA를 추출해 연골세포에서만 발현하는 쥐의 Col2a1 유전자의 앞에 있는
조절
부분에 해당하는 서열을 찾았습니다. 그 뒤 이 부분에 시약에 염색이 되는 단백질 유전자를 붙여 쥐의 수정란에 넣었습니다. 흥미롭게도 쥐에서도 이 부분이 작동해 태아의 연골조직에서 단백질이 ... ...
[나노기술]마이크로입자 붙잡는 ‘나노밧줄’ 만들었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서로 달라붙는 것과 같은 현상이다. 연구자들은 나노기둥의 재질과 액체의 휘발성을
조절
해 단단하게 서로 엮인 ‘나노밧줄’을 만들었다. 이때 작은 입자가 있으면 그 주변을 둘러싸 꽉 붙잡는데, 초음파 진동에도 끄떡하지 않았다. 대신 용액의 pH를 바꿔 주면 밧줄이 풀리면서 입자가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