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사
비슷함
일치
닮음
부분적 일치
부분적 부합
비슷한 사례
d라이브러리
"
유사
"(으)로 총 2,431건 검색되었습니다.
4. 의학 정상인의 심장박동은 카오스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혼돈시스템의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혼돈이론은 생체에서 나타나는 비선형적 특성, 자기
유사
성, 전일적 분석 등 생체의 특성을 분석하는 데 적합하다. 그래서 혼돈이론은 뉴턴역학에 기반을 둔 기존의 분석 방법들에서 제공하지 못했던 여러가지 생체현상에 대한 분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생체의 ... ...
나는 여자인가 남자인가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된다. 더 좋은 방법을 여러분이 찾아보기 바란다.동물의 성염색체는?대부분은 사람과
유사
하지만 새, 나방, 나비에서는 성염색체의 구성이 반대로 돼 있다. 즉 암컷이 XY염색체를 갖고 수컷이 XX염색체를 갖는다.벌이나 개미같은 몇가지 곤충에서는 염색체의 수에 의해 성이 결정되는데, 수정란의 ... ...
지진 대비 요령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구급약품 등이다. 이들은 튼튼한 통이나 자루에 넣어 일정한 장소에 보관했다가
유사
시에 쉽게 찾아 쓸 수 있어야 한다.비상식량은 건빵이나 라면과 같이 장기간 보존이 가능한 식품이 좋으며 음료수는 정기적으로 교체해 신선도를 유지해야 한다. 건전지는 사용하지 않아도 오랜 시간이 지나면 ... ...
"자판기 동전 분리기는 내 아이디어"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들을 때 무엇이 가장 먼저 떠오를까? 단연 전구다. 그는 1879년 전구를 발명했다. 전구는
유사
이래로 인간이 만든 최초의 인공광원이다.사실 에디슨이 전구를 발명하기 전에 실질적인 인공 광원은 이미 발명돼 있었다. 1800년대 초에 미국과 유럽의 과학자들이 수백가지의 발광전구를 실험했다. 그러나 ... ...
신경세포간 대화부족 해결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합성과제 책임을 맡았다. 그는 항히스타민제의 하나인 디펜히드라민을 실마리로 택해
유사
화합물을 합성하기 시작했다. 기초 스크리닝에서 항우울효과가 있는 화합물은 더 자세한 실험을 위해 생화학자 웡에게 보내졌다.데이비드 웡은 대만에서 대학 1년을 다닌 후 미국으로 이민, 박사학위를 ... ...
2. 서울 15년 내 규모 6.5 지진 가능성 57%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 개념은 과거에 큰 지진 피해를 입었던 지역에 오랫동안
유사
한 지진이 발생하지 않으면 이후에 반드시 큰 지진이 발생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지진 정지기' 개념은 한반도의 지진 위험도를 평가할 때 한번도 적용된 적이 없었다.한반도에는 서로 다른 지질 시대(특히 ... ...
1. 대도시에 지진이 일어난다면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風荷重)에 대해 버티도록 설계돼 있다.반면 5층 이하의 저층 구조물은 지반의 진동주기와
유사
한 주기를 가져 일종의 공진현상(共振現狀)이 나타난다. 즉 지진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생각과 달리 고층 건물이 저층 건물에 비해서 오히려 피해 가능성이 낮다고 볼 수 있다 ... ...
3. 풀어 쓴 디지털사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되고 말았다. 부시가 만든 원래의 장치는 1960년대 초 고철로 팔려나갔고, 이제는 몇몇
유사
장치만이 MIT와 런던의 과학박물관에 전시돼 있는 형편이다. 전쟁과 함께 발전한 기술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컴퓨터는 디지털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으나 초창기에 만들어진 컴퓨터 가운데는 ... ...
체르노빌 10년, 고통받는아이들 신종에이즈 발병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약해져 다른 질병으로부터 무방비상태가 된 아이들이 많다. 그래서 후천성면역결핍증과
유사
한 이 증세를 가리켜 '체르노빌 에이즈' 라고 부른다.하루는 순환기에 질병이 생긴 6살난 여자아이를 만났다. 그 소녀는 체르노빌 사고 후 태어났다. 머리카락이 거의 없고 창백한 모습이었다. 그녀의 ... ...
더 이상 뿔 뽑히는 아픔은 없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더이상 뿔을 제거당하는 아픔을 겪지 않아도 될 것으로 보인다. 소 사육업자들은 또한
유사
한 테스트를 통해 그들 소유의 송아지 색깔을 맘대로 고를 수 있게 된다.최근 캐나다 사스카처반 대학 동물과학연구소의 세일라 슈머츠가 이끄는 연구팀은 소의 뿔이 있는지 없는지를 결정하는 유전자와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