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돼 보실래요?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사이버물리시스템은 보다 능동적이다. 사이버물리시스템은 주인이 탄 무인자동차의 위치를 파악해 도착할 때 쯤 스스로 에어컨을 켜는 등 자체적인 판단력을 갖추고 있다.더 커진 권한, 더 편한 삶사물이 스스로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해서는 자신이 가진 물리적인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어야 ... ...
- Part 2. 세상을 고스란히 담은 VR 영상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게임기 컨트롤러가 가상현실 속에서는 전투기의 조종간이나 용사의 검으로 변신하지요.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가 달린 인터랙션 기기를 팔이나 다리에 차고 움직이면 가상현실 속 ‘내’가 따라 움직이기도 한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가상현실의 비밀Part 1. 뇌까지 착각하게 만드는 ... ...
- [숲 이야기] 봄이 오면 사방이 알록달록 진달래 가족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그래서 경북, 충북, 경기, 강원도 같은 북쪽 지역에서 자라는 진달래 가족은 남쪽에 위치한 전남, 경남, 제주도보다 꽃을 늦게 피운답니다. 또 남쪽일지라도 해발고도가 높은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 등의 경우 북쪽의 고도가 낮은 지역보다 개화가 느리구요. 그 결과 우리는 다양한 시기에 다양한 ... ...
- PART 2. 360° 영상은 위상수학으로수학동아 l2016년 09호
- 함수를 구한다. 다시 말해, 유한한 개수의 음원으로 연속 함수를 만들어 녹음되지 않은 위치에서도 소리가 어떻게 들리는지 알아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가상현실, 어느 수학자의 보고서PART 1. 현실보다 더 현실같은 가상현실PART 2. 360° 영상은 위상수학으로OUTRO. 우리는 과연 진짜일까 ... ...
- [수학동아클리닉] 오목으로 익히는 순서쌍과 좌표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좌표평면에 점을 찍어 오목을 둔다.(서로 이야기를 해서는 안된다.)3. 순서쌍과 좌표의 위치가 다르면 그 돌은 무효로 처리하고 다음 팀으로 순서가 넘어간다. (오류는 상대팀과 교사가 함께 판단한다. 이 과정에서 교사는 학생들이 무엇을 잘못 알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4. 먼저 오목을 두는 팀이 ... ...
- [Knowledge] 뛰지 못하는 작은 원숭이의 생존법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혈압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준다. 또, 망상구조의 혈관다발은 동맥, 정맥이 매우 가까이 위치하고 있어서 동맥과 정맥 사이의 열교환, 가스교환, 이온교환에 효율적이다.느림보원숭이의 경우 두 팔과 두 다리의 근육에 이 같은 혈관다발이 집중 분포해 있다. 따라서 산소와 영양분이 충분히 담긴 ... ...
- [Knowledge] 내 손이… 옛날엔 물고기 지느러미?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포유류인 사람의 손과 말의 발굽, 고래의 지느러미, 박쥐의 날개를 비교해 보면, 모두 위치는 비슷하지만 모양과 기능이 다르다. 만약 이들이 공통조상에서 기원했다면, 같은 유전자에서 발생했다고 의심해 볼 수 있다. 기능과 생김새가 다른 이유는 유전자의 쓰임, 즉 발생 과정이 달라서일 뿐이다. ... ...
- [Tech & Fun] 운동 선수의 금지약물 복용, 효과 얼마나 지속될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스위트 스팟(sweet spot, 배트와 공이 충돌할 때 운동에너지가 가장 잘 보존되는 이상적인 위치. 보통 홈런은 이 부위에 정확히 공이 맞았을 때 나온다)에 부딪혀 야구공이 탄성운동을 한다고 가정하면, 배트스피드가 5% 증가하면 타구의 속도는 4% 증가한다. 초기 속도가 4% 증가하면 타구의 비거리가 ... ...
- Part 3. 수술부터 공포증까지, VR 치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부분을 확인하고 어떻게 치료할지 계획할 수 있지요.연구팀은 가상 심장으로 혈관의 위치나 치료해야 할 부분을 계속 확인하며 실제 심장을 수술하는 데 성공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가상현실의 비밀Part 1. 뇌까지 착각하게 만드는 VR 헤드셋Part 2. 세상을 고스란히 담은 VR ... ...
- [출동! 섭섭박사] 밀가루 반죽에서 전구가 반짝! 전도성 반죽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생기고, 이 전기에너지가 전자제품을 작동시키는 거예요.과학자들은 ‘전자의 위치(높이) 차이’를 줄여 ‘전위차’라는 이름을 붙였어요. 또한 전자의 흐름을 ‘전류’라고 부르기로 했지요. 물이 흐르는 경사가 가파를수록 물이 빠르게 흘러 물레방아를 더 세차게 돌릴 수 있겠죠? 마찬가지로 ... ...
이전1731741751761771781791801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