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면
표면
겉
바깥면
밖
노천
d라이브러리
"
외부
"(으)로 총 3,18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동아가 선정한 2004년 하이테크 20選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해도 장미뿐만 아니라 포도, 난, 캘린초 등 10여종. 유리관 안에서 다 자란 식물은
외부
로 옮겨 심을 수도 있다.나노기술로 20분만에 퍼머한다 _ 카락플라스틱봉과 고무줄로 머리를 동여맨 채 한시간 동안 잡지를 보며 꼼짝없이 앉아 있지 않아도 퍼머를 할 수 있게 됐다. 한국화학연구원 장태선, ... ...
생각만으로 컴퓨터 게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및 재활협회 연례총회에서 발표됐다.이 환자는 뇌에 1백여개의 전기 신호 감지기를 심어
외부
컴퓨터와 연결했다. 이 환자가 뇌에서 마우스를 움직이라는 신호를 내리자 실제로 마우스가 움직인 것이다. 이 환자는 이런 방법으로 ‘퐁’ 이라는 컴퓨터 게임을 했다. 정확도는 70% 정도였다. 또 ... ...
사이언스와 미 과학재단 선정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차지하고 있다. 이 중 40%는 세포 내부에, 30%는 세포
외부
에 존재한다. 우리 몸이 세포 내·
외부
에 이렇게 일정한 양의 물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 물이 세포막을 어떻게 자유롭개 통과하는 것일까. 이 물음은 오랫동안 미스터리였다. 2003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미 존스홉킨스의대 피터 아그레 교수가 19 ... ...
가뭄·냉해 잘 견디는 감자와 고구마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감자와 고구마를 개발했다고 10월 13일 밝혔다. 작물 수확량은 가뭄과 냉해, 고온 등
외부
환경에서 받는 스트레스 때문에 최대 30%까지 줄어들 수 있어 이번 연구는 국내 농업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연구팀은 우리나라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 ‘대서’ 감자와 ‘율미’ 고구마에 환경 스트레스를 ... ...
병력 담긴 전자칩 몸 속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20분 만에 피부 속에 삽입할 수 있다. 이 칩은 일반 제품에 붙은 바코드와 비슷해
외부
에서 스캐너를 대면 그 안에 있는 정보를 바로 알 수 있다.칩 안에는 개인이 지금까지 걸린 각종 질병을 비롯해 치료 내용, 알레르기와 고혈압, 당뇨 등 현재 건강 상태와 위급 상황에서 주의할 점 등 의료와 관련된 ... ...
우주인 '체질'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생리적으로 월경을 하는데 이 때문에 피임이 필수적”이라고 조언했다. 우주 공간에서는
외부
기압이 몸속보다 낮아 생리혈이 배출되지 않고 몸속으로 들어갈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나이는 19세 이상이면 지원 가능하지만 신체적 조건과 함께 지적 수준이나 다양한 경험 등을 고려하면 실제로는 30-3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시스템이 십여년 전 개발돼 현재 상용화된 상황이다.또 살아있는 누에나 배추벌레에서
외부
유전자를 발현시켜 아예 곤충 몸에서 유용물질을 만드는 방법도 나왔다. 얼마전에는 곤충이 분비하는 단백질뿐만 아니라 2가지 바이러스를 조합해 단백질을 결정형태로 회수하는 방법이 일본의 한 ... ...
그의 뇌와 그녀의 뇌는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성은 대체로 일치하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생물학적으로는 남성의 유전자나
외부
생식기를 갖고 있지만 여성적 가치관이나 행동방식에 더 행복을 느끼는 사람이 있다. 그런가 하면 생물학적으로는 여성이면서 사회적으로는 남성으로 살고 싶어 하는 사람도 있다.뇌가 형성되는 결정적 시기에 ... ...
일본 따라잡는 한국 두 발 로봇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두 발로 걷는 최초의 로봇이었다. 그러나 당시 만들어진 로봇들은 디자인도 엉성하고
외부
장치가 더덕더덕 붙어있어 인간처럼 보이지는 않았다.1996년 혼다사가 ‘P2’ 라는 로봇을 선보이면서 인간형 로봇의 역사에 일대 혁신이 일어났다. 배터리가 내장된 키 1백80cm 크기의 P2는 이전 로봇과는 ... ...
북한, 토끼 복제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봤다며 그 사진을 실었다. 북한 실험생물학연구소가 지난 2002년 성공했다는 복제토끼가
외부
에 알려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스톤을 안내한 37세의 젊은 과학자인 연구소의 리학철 박사는 “이 토끼는 당시 복제에 성공한 6마리 중 하나로 조만간 서구 과학자들에게 복제 동물임을 확인할 기회를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