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몸"(으)로 총 5,5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수학으로 상대방의 마음을 꿰뚫어 본다고?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최근 친구인지 연인인지 헷갈리는 미묘한 사이를 부르는 ‘썸남썸녀’라는 말이 크게 유행하고 있다. 지금 이 시간에도 상대방이 보낸 애매한 문자메시지 한 통을 붙들고 마음앓이 하고 있을 전국의 썸남썸녀들. 이들을 위한 희소식이 생겼다. 바로 상대방이 쓴 글로 그 사람의 감정을 분석하는 ... ...
- PART3. 인간에겐 아직 두 개의 무기가 남아 있습니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1 식물공장에서 만든 에볼라 치료제이번 에볼라 사태는 바이오 분야에서 ‘식물공장 시대’를 여는 중요한 전기가 될 것이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소재의 작은 바이오 제약사가 만든 에볼라 치료제, 지맵(ZMapp) 때문이다. 지맵은 에볼라 바이러스를 공격하는 단일클론항체(특정 항원에만 ... ...
- INTRO. 110km에서 슈퍼맨처럼 날아오르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도착처음엔 시시했던 우주공항2015년 9월 1일, 꿈에 그리던 우주여행을 가기 위해 미국 뉴멕시코주 사막에 위치한 ‘스페이스포트 아메리카’ 우주공항에 도착했다. 우주공항의 첫인상은 정말 시시했다. 인천국제공항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 나로우주센터처럼 웅장한 발사타워도 없었고, 황량한 사 ... ...
- PART 2. 한 달 만에 인공신장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1 무중력 치약비누, 샴푸, 칫솔, 기저귀 등 다양한 생활용품을 만드는 다국적 기업 P&G는 지난해 3월 26일, NASA 및 스페이스X와 협력관계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스페이스X의 드래곤 우주선을 타고 국제우주정거장(ISS)에 가서 우주실험을 하기 위해서다. P&G는 6개월 뒤인 지난해 9월부터 ISS에서 치약, 세 ... ...
- ❼ 이것만은 꼭! - 천재 수학자 5000명 서울에 모인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수학올림픽’으로 불리는 수학계 최대행사인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ICM)’가 8월 13일부터 21일까지 9일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다. 세계수학자대회는 국제수학연맹이 1897년 시작해 4년마다 개최하는 국제 수학축제다.우리나라에서는 처음 열리며, 120여 개국 수학자 5000여 명이 서울을 ... ...
- ❷ 일반상대성이론 - 절친 수학자가 열어준 아인슈타인의 기적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수학과 가장 ‘썸’을 많이 탄 과학자는 아인슈타인일 거 같네요. 그는 수학을 별로 좋아하지 않았어요. 1896년 스위스 연방 공대에 입학해 헤르만 민코프스키 등 당 대 저명한 수학자들에게 배울 기회가 있었지만, 강의에도 잘 들어가지 않았습니다. 민코프스키조차 “아인슈타인은 내 수학 시간에 ... ...
- ❺ 수리생물학 - 수학과 생물학 아무도 예상 못한 커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수학이 가장 쓰이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과학 분야가 바로 생물학 아닐까요? 예전에는 수학에 자신 없는 학생들이 생물학으로 많이 진학했습니다(지금은 아닙니 다). 예를 들어 찰스 다윈의 명저 ‘종의 기 원’에는 수학 계산이 전혀 등장하지 않습니다. 당시만 해도 진화와 유전에 수학 규칙이 숨 ... ...
- 네 마음 알아, 걸음걸이만 봐도….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축 늘어진 어깨, 무거운 걸음걸이…. 걷는 모습만 봐도 그 사람의 감정이 느껴질 때가 있다. 혹시 로봇이 이런 감정을 읽어낼 수 있을까.최근 개발된 감정 인식 알고리듬을 이용하면 가능할 전망이다. 일본 도쿄농공대 젠티안 벤처 교수와 프랑스 콜레주드프랑스의 알라인 베르소즈 교수 공동 연구 ... ...
- 야구공 뇌는 어떻게 칠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2014 프로야구 올스타전 중계를 맡은 캐스터C입니다. 오늘은 해설위원으로 특별한 분을 모셨습니다. 이상한 야구 책도 쓴 적 있다고, 자기도 야구 해설 할 수 있다고 박박 우기는 과학기자 Y씨와, 고명하신 과학자 K 박사님이십니다. 쓸만한 이야기를 좀 들려주셔야 할 텐데요. ... ...
- [Life & Tech] 한밤중 모기의 습격, 불임수컷으로 완전정복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모기는 꽤나 오래 전에 지구에 등장한 곤충이다. 현재 모기와 가장 가까운 조상은 7900만 년 전 중생대 백악기에 만들어진 광물, 호박에서 처음 발견됐다. 영화 ‘쥐라기공원’이 아예 근거가 없진 않은 셈이다. 이후 몇 개의 조상 화석이 더 발견됐는데 모두 현재의 모기와 해부학적 차이가 거의 없 ... ...
이전1731741751761771781791801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