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건
사물
미확인비행물체
유에프오
미확인
비행
물질
d라이브러리
"
물체
"(으)로 총 3,311건 검색되었습니다.
400만V 번개에 감동, 입체지구와 만나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아나운서의 경고방송이 나오자마자, 어른 키보다 높은 곳에 있는 커다란 도넛형 금속
물체
에서 ‘빠지직’하며 귀를 찢는 듯한 굉음이 들린다. 동시에 보랏빛으로 빛나는 번개가 발생하더니 사방으로 번쩍이며 퍼져 나간다. 물론 주변에는 안전 울타리가 둘러싸고 있어 번개는 모두 바닥으로 ... ...
말을 잃은 소녀의 자아 찾기 나는, 인어공주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눈동자를 항상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외안근이 마비돼도 입체감이 사라지면서
물체
가 겹쳐 보이는 복시(複視)가 나타나고, 선천적인 사시도 한쪽 망막의 중심와에 상이 맺히지 않아 시력이 떨어진다.아세트알데히드가 ‘물귀신’ 만든다? 영화 중반, 알리사는 엄마를 따라 모스크바로 이사 ... ...
표면장력이 지배하는 세상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줄이고 결국
물체
를 멈추게 한다. 공이 멈춘 이후엔 더 이상 저항력이 작용하지 않아
물체
는 물속에서 멈춰있게 된다.2) 친수성 표면 위 물방울의 경우 계면장력인 c는 수직방향의 힘(csinθ)과 계면장력 b와 같은 방향인 힘(ccosθ)으로 나눌 수 있다. 물방울은 평형 상태이므로 각 방향의 합력은 0이다. ... ...
[수학]특이적분과 개념함수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ρ인 유체 속의 깊이 h에서 판이 받는 압력은 ρgh(단 g는 중력가속도)이고 힘의 방향은
물체
의 표면에 항상 수직이다.(나) 만약 어떤 유체가 통 안에 정지해 있다면 유체의 모든 부분은 정적 평형상태에 있다. 또 같은 깊이에 있는 모든 유체는 같은 압력을 받는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유체의 그 부분이 ... ...
나노세계 발목 잡는 카시미르 힘의 정체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서로 미는 방향으로 합력의 방향이 나타나게 할 수 있다는 주장이었다. 이들은 이 힘으로
물체
를 공중에 띄울 수 있다는 제안까지 했다.한편 2006년 5월 영국 세인트앤드류대의 울프 레온하르트 교수와 런던 임페리얼컬리지의 존 펜드리 교수는 두 평판 사이에 메타물질을 채워 카시미르 힘을 조절할 ... ...
나노미터 크기 물질 꿰뚫어 보는 냉중성자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나노물질의 내부구조와 움직임을 알 수 있다. 눈이 퇴화된 박쥐가 초음파를 발사한 뒤
물체
에 부딪혀 튕겨 나오는 초음파의 속도와 방향으로 주변 지형을 인식하는 방식과 같다. 최 교수는 “원자나 분자 수십~수백 개가 모여 만든 여러 가지 물질의 구조와 움직임을 이해하면 스스로 결합해 특정한 ... ...
붓질하면 다 나와!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닌히드린은 단백질과 만나 보라색으로 변하는 화학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닌히드린을
물체
에 뿌린 뒤 말리면 보라색 지문이 나타난다.마찬가지로 혈흔을 찾을 때는 루미놀 용액을 뿌린다. 루미놀이 혈액 성분인 헤모글로빈과 만나 화학반응을 일으키고, 여기에 과산화수소를 뿌리면 선명한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4kg과 3kg인 두 추 A와 B를 그림과 같이 도르래에 걸어 놓고 추 B를 잡고 있다가 놓았다.
물체
A, B의 가속도와 실에 걸리는 장력의 크기를 각각 구하라. (단 중력가속도는 10m/s2이며 두 도르래와 줄의 질량 그리고 모든 마찰은 무시한다.)6. 다음 그림은 인접해 있는 A~C 세 지역의 지층 단면도이다. 물음에 ... ...
바꿔, 바꿔! 놀라운 발명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것을 발견했다.드 메스트랄은 씨앗의 갈고리가 옷에 걸려 있는 모습에서 착안해 두
물체
를 붙일 수 있는 벨크로를 만들었다. 씨앗을 널리 퍼뜨리려는 우엉의 생존 전략이 발명가를 통해 접착 도구로 태어난 것이다. 첫 번째로 미인을 장미에 비유한 사람은 천재다. 하지만 두 번째로 그렇게 한 ... ...
양자에 ‘순간이동’ 이름 붙인 주인공 찰스 베넷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듣는다(웃음). 아마도 사람들은 원격전송이 가능한 대상이 정보의 상태라는 점을 잊고
물체
도 순간이동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모양이다.이 분야에서 새로운 혁명이 일어날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기술적으로는 그렇다. 나는 언젠가는 모든 정보기술이 양자화 될 것이라고 믿는 몇 안 되는 사람 중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