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아들
외동아들
외독자
reader
독서가
낭독자
독신
d라이브러리
"
독자
"(으)로 총 2,872건 검색되었습니다.
걸리버 여행기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너무나 컸기 때문에 음정을 거의 구별할 수가 없었다. 육군 군악대의 북과 나팔이 동시에
독자
들의 귀 앞에서 소리를 내더라도, 내가 브롭딩낵에서 들은 음악과 비교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나는 연주자들이 앉아 있는 곳에서 최대한 멀리 상자를 놓아 달라고 부탁했다. 그리고 문과 창을 닫고 커튼을 ... ...
엽기동물 대백과사전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엽기적인 동물들을 만나보자.동물계 '얼꽝' 모여라평소 큰 눈을 가진 사람이 부러웠던
독자
라면 이 동물에 주목하라. 몸 한가운데 박혀 번쩍번쩍 빛나는 저것은 바로 세상에서 가장 큰 눈이다. 대왕오징어(Mesonychoteuthis hamiltoni)는 지름 60cm의 큰 눈 덕분에 빛이 거의 들어가지 않는 깊은 바닷속에서도 ... ...
유전자와 문화 사이의 균형추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유전자만이 아니다’는 보이드와 리처슨이 바로 거기서 담았던 내용을 이제 일반
독자
들에게도 좀 더 쉽게 전달하려는 시도의 산물이다. 우리는 어떻게 지금의 우리가 됐는가에 대한 질문으로 돌아가 보자. 저자들은 이 질문의 답을 100만 년 또는 더 오래 공진화한 유전자와 문화에서찾을 수 ... ...
웃는 순간, 눈 깜빡임 하나도 놓치지 않는 VLUU WB500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누구나 손쉽게 ‘쨍한’ 사진을 찍을 수 있다.편집자주‘VLUU WB500’을 모니터링하고 싶은
독자
는 과학동아 홈페이지(www.dongaScience.com/DS)에서 ‘디지털 노마드’ 배너를 클릭하고 댓글을 달면 된다. 1명을 추첨해 제품을 보내드리고 사용 후기를 받는다 ... ...
0의 발견 숫자 가문의 영광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있었다. 첫 번째는 기원전 3세기에 멕시코 남부와 과테말라의 마야문명이다. 마야인은
독자
적으로 ‘비어 있음’을 뜻하는 표시로 굴껍데기를 사용했다고 한다. 모양이 눈처럼 둥그런 것이 꼭 0을 닮았다.또 기원전 2세기경 바빌로니아인은 60진법을 이용해 자릿값 기수법을 사용했다고 한다. 그들이 ... ...
노벨상 수상자가 말하는 과학의 가치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우리 식물 이름을, 외국 커피전문점보다 우리 산과 사찰의 위치를 더 궁금해하는
독자
라면 금방 빠져들 만하다.우주 생명 오디세이크리스 임피 지음 | 전대호 옮김 | 까지 | 476쪽 | 2만 원천문학자인 저자는 스스럼없이 "천문학의 역사는 부끄러움의 행진이었다"고 밝힌다. 엄ㅊ어나게 크고 오래된 ... ...
품위 있게 죽을 권리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꺼내기도 쉽지 않다. 자칫 환자에게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의료진은
독자
적인 판단으로 생명연장 치료를 중단하기를 꺼린다. 의사가 가족의 요구로 인공호흡기를 뗐다가 살인 방조죄로 2004년 대법원에서 유죄 판결을 받은 이른바 ‘보라매병원 사건’의 영향 탓이다. 물론 ... ...
신개념 영어학습기 '매직 스터디'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실력이 향상된 자신을 발견할 수 있다. 편집자주 ‘매직 스터디’를 모니터링하고 싶은
독자
는 과학동아 홈페이지(www.dongaScience.com/DS)에서 ‘디지털 노마드’ 배너를 클릭하고 댓글을 달면 된다. 2명을 추첨해 제품을 보내드리고 사용 후기를 받는다 ... ...
[핫이슈] 7월 22일 태양이 빛을 잃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볼 수 있다. 남한지역에서는 2095년의 금환식이 가장 가까운 개기일식이다. 이 글을 읽는
독자
들 대부분은 그때까지 기다릴 수 없을 것이다. 2035년까지 통일이 돼 북한에서 개기일식을 관측할 수 있기를 희망해 본다. # 일식이 드물어 보이는 이유태양을 달이 가리는 현상이 일식이다. 이와 비슷하게 ... ...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된 비둘기의 굴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집비둘기가 세계적으로 약 500종이나 된다.그러나 공원이나 아파트단지 등으로 나와
독자
적으로 살아가는 집비둘기가 많아지면서 사람들 사이에서 비둘기가 가축이냐 야생동물이냐를 두고 논란이 생겼다. 농림수산식품부는 더 이상 가축이 아니라고 주장했고, 환경부는 산이나 강이 아니라 도시에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