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라"(으)로 총 4,411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떴다 떴다 비행기~♬ 수학으로 날아라!수학동아 l2011년 06호
- 정열의 나라 브라질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안녕하세요, 전 브라질 리오에 사는 파란 앵무새 ‘쥬엘’ 이라고 해요. 여러분도 제게 ‘비행’ 을 배우러 오셨나요? 호호, 이놈의 인기는…. 수학이 없이는 설명이 불가능한 쥬엘의 ‘비행 완전 정복’ 특강! 지금 바로 시작합니다.▼관련기사를 계속 ... ...
- PART 4 수학으로 날아오른 블루의 첫 비행수학동아 l2011년 06호
- 듬뿍 담긴 코코아 한 잔과 초콜릿 칩 쿠키를 즐겨 먹는 ‘된장앵무’ 였는데, 남의 나라에서 이게 무슨 고생인지 모르겠어요. 쥬엘이 까칠하긴 하지만, 그녀의 설명이 도움이 많이 됐어요. 비행기의 날개 모양에 따라 다른 비행 방법까지 배우고 나니, 이제 진짜로 날 수 있을 것 같거든요. 저는 어떤 ... ...
- [수학동아, 도서관에 가다] MIE 수업 탐방 스케치 서울시립어린이도서관수학동아 l2011년 06호
- 뒤, 두 번째 시간에는‘지도’에 대해 집중했어요. 지도를 잘 그리기 위해선 맞닿아 있는 나라를 다른 색으로 칠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래서 학생들과 함께 직접 색칠해 봤어요. 간단한 다각형 모양의 지도부터 MIE 워크시트에 나와 있는 복잡한 모양의 지도까지 5가지 색으로 칠하는 것부터 ... ...
- 우리 땅 독도 과학으로 지킨다과학동아 l2011년 05호
- 것이다.지난 4월 1일 우리 정부는 독도에 무인 환경방사능 감지기를 설치했다. 우리나라로 유입되는 방사능 물질을 가장 먼저 탐지하기 위해서다. 독도 과학기지는 우리가 독도를 지키기 위한 목적이 크다. 하지만 정작 방사능과 지진해일, 지진 같은 재해로부터 우리를 보호하는 것은 독도다. 이는 ... ...
- PART 1-3 세계 어린이들의 보드게임, 만카라수학동아 l2011년 05호
- 모아 저도 만카라의 달인이 되고 싶답니다.tip 이집트의 윷놀이,세네트윷놀이는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가장 익숙한 전통 보드게임이다. 고대 이집트에도 윷놀이와 비슷한 보드게임이 있었는데,‘세네트’란 게임이다. 세네트 판은 3행 10열로 모두 30개의 사각형으로 이뤄져 있다. 두 사람이 각각 5개의 ... ...
- PART 3. 왜 고등학교에서 쓰나?수학동아 l2011년 05호
- 수학을 이해하는 데도 많은 도움을 준다. 미국 같이 전자계산기를 이미 사용하고 있는 나라를 참고할 때 우리도 도형이나 그래프를 그릴 수 있는 그래픽 전자계산기를 쓰게 될 것으로 보인다.미국 고등학교에서는 우수한 학생들이 대학 과정을 미리 공부하거나 실력을 향상시키는 데 전자계산기를 ... ...
- 2011 한국수학올림피아드 1차 시험 대비법 수학 최고수라면 도전하라!수학동아 l2011년 05호
- 아름다움을 찾고 증명할 수 있다. 유럽에서는 오랜 세월 동안 기하를 중시했으나 우리나라는 일본 수학교육의 영향으로 대수를 중시한다. 이번에는 다소 어려운 정수론 문제를 하나 예로 들어 보자. 경우의 수를 구하는 이 문제는 매우 어려운 문제로 자연수의 소인수 분해를 알아야 풀 수 있다. ... ...
- 섭섭박사의 FLL 도전기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5호
- 4월 미국 미주리 주에서 열리는 FLL 월드 페스티벌에 참가하게 돼요. 그 곳에서 세계 각 나라 팀들과 실력을 겨루게 되지요.한국을 대표해 세계에 도전하는 ‘미라클 제네레이션’ 팀을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많이 응원해 주세요~ ... ...
- 라푼젤도 모르는 머리카락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5호
- 내일 제 생일 선물로요….”“잠깐~, 그 전에 노래를 불러다오~.”“아~, 반짝반짝 빛나라♪♬ 시계를 거꾸로 돌려 내 것이었던 것을 돌려줘~♪♬”라푼젤의 노랫소리에 머리카락이 황금빛을 내기 시작해요. 머리카락을 휘감고 있던 고델이 젊어지고 있어요. 대체 어떻게 된 일이죠?머리카락 길이만 ... ...
- Part 2. 잘 살고 있니? 고기공장에 갇힌 가축과학동아 l2011년 05호
- 2005년 미국 식품의약국(FDA)도 가금류에서 사용하는 일부 항생제의 사용을 금지했다. 우리나라도 항생제 사용량을 줄이려고 노력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2005년부터 성장촉진 목적의 항생제 감축정책을 펼쳐 2009년 전체 축산용 항생제의 사용량은 998t으로 2008년에 비해 약 18%, 2001년에 비해서는 약 37% ... ...
이전1731741751761771781791801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