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인
자신
자기
자아
내
d라이브러리
"
나
"(으)로 총 8,153건 검색되었습니다.
[SW진로체험] 맛있는 피자에 필요한 토핑은 '데이터'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있다고 생각합니다. 공부가 내 길이 아닌 거 같아도 ‘이렇게 싫은 공부도 잘 견뎌내면
나
중에 어떤 일을 해도 버틸 수 있다’라는 마음으로 끝까지 노력했으면 합니다 ... ...
좀비가 된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잠깐! 날 보고 도망가지 말고 좀 도와줘. 좀비는 그렇게 무서운 존재가 아니라고. 누군가
나
를 조종해서 그러는 것 뿐이지. 그게 누구냐고? 약에 조종당하 ... 좀비 개미들을 만들기 위해 개미들을 높은 곳으로 옮기고 개미가 죽어서도
나
무 줄기
나
잎에 매달려 있도록 턱을 수축시켰답니다 ... ...
노트르담 지킴이, 앤드루 탤런 교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설명해줄 순 없었지만, 돌아가시기 전에 이미 연구 내용의 일부를 온라인에 공개해 누구
나
볼 수 있도록 만들어 두었답니다. 안팎의 50곳 이상을 돌아다니며 3D 스캐닝 자료를 모았어요. 3D 스캐너는 건물에 레이저를 쏘고돌아오는 시간을 계산해 그 모양을 3차원 디지털자료로 만들지요. 레이저가 ... ...
[미국유학일기] 시험장에 감독관 없어 양심에 맡긴다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전공도, 과목도 매우 많은 스탠퍼드대는 시험을 보는 방식도 정말 다양하다. 대부분의 인문학 수업은 시험을 보는 대신 에세이를 제출한다. 개인적으로는 에세이 작성이 어려워서 ... 열거
나
맛있는 것을 먹으러 간다. 시험이 끝난 후 느끼는 해방감은 한국이
나
미국이
나
같지 않을까 ... ...
[그림으로 보는 난제] 아직 끝
나
지 않은 푸앵카레 추측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정리가 그랬던 것처럼 필즈상을 받을 지도!?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아직 끝
나
지 않은 푸앵카레 추측Part1. 푸앵카레 정리Part2. 푸앵카레부터 페렐만까지Part3. 매끄러운 4차원 푸앵카레 추측Part4. 푸앵카레배 찬반토론 도움박경배(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BK 연구교수), 백형렬(KAIST ... ...
여기는 국내 유일 특성화고 전문 채널!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얼마든지 대학에 진학할 수 있습니다. ‘선취업 후진학’ 제도가 있어 취직을 하고
나
서 원할 때 대학에 갈 수 있어요. 이 제도는 특성화고를 졸업하고 회사에서 3년 이상 근무하면 수능 점수 없이도 대학에 갈 수 있는 제도입니다. 안정적인 상태에서 더 하고 싶은 공부에 맞춰 대학에 다닐 수 있으니 ... ...
[폴리매스 프로젝트] 11월,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수학을 주로 배워서 수학을 일종의 ‘놀이’라고 생각하거든요. 저처럼 수학을 퍼즐이
나
놀이라고 생각하고 즐겨보세요! (인터뷰 원문은 폴리매스 홈페이지 polymath.co.kr [폴리매스]->[멘토링&인터뷰]를 참고하세요! ... ...
[통합과학교과서] 이 하늘에서 떨어졌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치우던 개코 조수가 갑자기 외쳤어요.“책상! 부서진 책상 안에 혹시 소중한 서류가 없었
나
요? 한번 찾아봐요!”“설마?”그러면서도 문득 불안해진 꿀록 탐정은 집안여기저기로 날아간 서류를 모았어요.“없어! 용왕님이 주신 초청장이 없어졌다 ... ...
878초냐, 888초냐 중성자 수명 10초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따르면 중성자의 수명이 1%만 바뀌어도 중입자와 광자의 개수 비는 17%
나
바뀌는 것으로
나
타났다. 중성자의 수명이 우주의 진화와 정밀도를 계산할 때 결코 빼놓을 수 없는 주요 변수로 작용하는 셈이다. 중성자가 암흑물질로 붕괴한다면?878초와 888초. 이 양립할 수 없어 보이는 두 실험 결과가 ... ...
시각, 청각, 촉각 로봇에게 가장 중요한 감각은?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a)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가속도를 적분하면 속도가
나
오고 속도를 적분하면 위치가
나
오니 로봇의 움직임에 관해서는 모두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이 물리학과 수학인데요. 그래서 로봇을 잘 만들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수학과 물리학을 알아야 합니다. 여하튼 로보트 재권V에게 힘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