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자체"(으)로 총 1,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방사선 식품? 방사능 식품?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6.04
- 분유를 뜻하는 말이다. 원료로 사용하기 전에 살균 목적으로 방사선 처리를 했을 뿐, 그 자체로 문제가 될 만한 성분은 아니다. 방사선 조사가 꼭 필요한 식품이 바로 우주식이다. 밀폐된 공간에서 오래 지내야 하기 때문에 세균이 번식하지 않도록 처리해야 한다. 음식이 변질되는 문제도 있거니와 ... ...
- 나의 몸과 움직임이 비밀번호가 되는 세상! KISTI l2015.06.02
- 눈을 갖다 대야 해서 불편하고 고해상도의 기기가 필요해 초기 비용이 많이 든다. 신체 자체가 아닌 소리나 움직임을 통해 구별하기도 한다. 목소리를 구별하는 음성인식 기술이 대표적인데, 개발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주변 소음이 없어야 하고 건강 상태나 기분에 따라 결과 값이 ... ...
- 바다가 품기엔 너무 벅찬 쓰레기KISTI l2015.05.26
- 심지어 제품 포장의 경우, 포장을 뜯는 순간부터 쓰레기가 된다!) 플라스틱이라는 성분 자체의 분해 주기는 반영구적일만큼 길다는 것이 문제다. 지구 역사에서 신출내기로 등장한 플라스틱은 지구의 분해자인 미생물들에게는 너무도 낯설어 이들을 분해시키는 능력을 지닌 분해자가 없는 탓이다. ... ...
- 2039년, 여름휴가는 화성으로?KISTI l2015.05.19
- 각국들이 앞을 다퉈 화성에 발자취를 남기려는 이유는 영토 선점의 이유도 있지만, 화성 자체가 지구인들의 영원한 로망이기 때문이다. 공상과학 소설의 배경으로 끊임없이 등장하고, 외계인이 사는 곳으로 화성이 그려진 것도 그런 로망 때문인 것이다. 어쩌면 멀지 않은 미래에는 학생들의 ... ...
- 홍역백신, 없어서 못 맞히고 있어도 안 맞히고2015.05.18
- 2004년 웨이크필드 박사팀의 1998년 논문에서 일부내용을 철회했고 2010년에는 논문 자체를 철회했다. 랜싯 사이트에 가면 이 논문을 다운받을 수 있는데, 각 페이지마다 빨간색의 ‘철회됐다(retracted)’라는 문구가 대각선으로 대문짝만하게 찍혀있다. 한편 웨이크필드 역시 이해 5월 의사면허가 ... ...
- 기후변화협약 청정개발체제 그리고 원전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5.15
- 이내로 억제하기 위해 필요한 2020년 이후의 ‘국가별 온실가스 감축 기여방안(INDC)’을 자체적으로 결정해 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 이전에 사무국에 제출하기로 했다. 한국은 아직까지 구체적인 방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2012년 도하 회의 한국은 우리의 산업 여건을 최대한 ... ...
- 에너지 갈등, 해법은 무엇인가?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5.15
- 극히 낮다고 생각했던 일이 실현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한편으로는 에너지 시설 자체가 대중적으로 ‘무언가 위험한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것도 문제다. 이런 상황에서는 에너지 시설 건설에 따른 혜택보다 불편함이나 피해가 더 커 보이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일방적인 정보전달이나 건설 ... ...
- 고세균 로키, 진핵세포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인가2015.05.11
- 염기서열이나 아미노산서열이 비슷할 것이기 때문이다.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는 자체적으로 작은 게놈을 지니고 있는데(이 사실도 공생의 강력한 증거다!) 염기서열이 일부 박테리아와 꽤 비슷하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이다. 그런데 분자진화 데이터가 축적되면서 누구도 상상하지 못했던 비밀이 ... ...
- 자료실을 연구자들의 휴식처로 탈바꿈시킨다IBS l2015.05.08
- 채우기 위해 도서를 고를 때 사서의 능력은 가장 빛을 바란다. 이곳 자료실은 기관 자체가 기초과학을 하는 곳이다 보니 순수과학이나 과학 분야 교양도서를 많이 구매한다. 연구자들도 전공서적 외 교양 과학 서적의 대출이 많은 편이다. 도서 종류는 국립중앙도서관의 과학 분야 추천도서, KAIST, ... ...
- 거대쥐가 생태계를 습격한 사연KISTI l2015.04.28
- 가능성을 제시한다. 그렇게 된다면 과거 공룡이 사라진 자리를 차지한 포유류들이 자체 경쟁을 벌여 대형화됐듯, 천적이 사라진 생태계에서 쥐들끼리의 경쟁을 통해 거인증을 가진 쥐가 출현할 가능성 역시 매우 높다. 그리고 이는 현재 진행형이다. 잘라시에비치 교수는 고립된 생태계, 즉 외따로 ... ...
이전1721731741751761771781791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