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학교"(으)로 총 2,195건 검색되었습니다.
- 보존 가치 있는 자연, SNS에 올라온 사진으로 분석2016.10.06
- 특별한 곳 등에 가면 사진을 찍어 SNS에 올려 기념하곤 합니다. 이에 최근 미국 버몬트대학교 연구진은 대중이 SNS에 올리는 이러한 사진들을 분석해 야외활동을 하는 데 있어 보호 및 보존, 개발이 필요한 자연환경을 찾아내는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바로 대중이 많이 찾는 곳이라면 그만큼 훌륭한 ... ...
- [2016 노벨 생리의학상] 日과학자의 자가포식 메커니즘 발견2016.10.03
- 태어났다. 1974년 도쿄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그뒤 3년 동안 미국 록펠러 대학교에서 공부했다. 일본 도쿄대로 다시 돌아와 1988년 연구팀을 꾸렸으며, 2009년부터 도쿄공업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 주요 연구실적 1992년 - 효모에서 자가포식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 ...
- 극단적 거식증 여성 ‘충격’ 2016.10.03
- 응원 그리고 자신의 강인한 의지 덕분에 거식증을 극복할 수 있었다. 현재는 영국 워릭 대학교의 학생이다. 그녀의 거식증 극복 스토리가 공개된 인스타그램은 팔로워 10만 명을 자랑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 ...
- [고성 봉포호, 광포호] 어느 날 갑자기, 외래종의 습격! 봉포호, 광포호2016.09.29
- 봉포호 산책로. - 고기은 제공 ● 어느 날 갑자기, 생태계 불청객을 맞다! 봉포호 경동대학교 초입에 작은 호수가 있다. 봉포호다. 나무데크 산책로를 따라 걸어본다. 올해 초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잠시 벤치에 앉아 잔잔한 호수를 보면서 사색하기도 좋다. 평화로워 보이는 봉포호. 헌데 수면 아래는 ... ...
- 환경문제 주범 ‘녹조’로 전기 만든다2016.09.27
- 연세대 기계공학과 류원형 교수의 모습 - 연세대학교 제공 환경문제의 주범인 ‘녹조’로 전기를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류원형 연세대 기계공학과 교수팀 ... 개발한 나노전극에는 기존과 달리 여러 개의 세포를 꽂아 전자를 추출할 수 있다. - 연세대학교 제공 ... ...
- 외로움을 느끼는 것도 유전이다2016.09.27
- 이 외로움도 유전의 영향을 받는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샌디에이고 캠퍼스 약학대학 연구진은 사회적 상황과 관계없이 영구적 외로움을 느끼는 유전자가 따로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외로움이라는 감정은 외부 요인으로부터 영향 받을 확률이 가장 ... ...
- 물고기도 대의를 위해 소의를 희생할 줄 안다2016.09.24
- 않고 그룹에서 내린 결정을 따라 움직인다고 합니다. JaySo83(W) 제공 영국 브리스틀대학교의 크리토스 이오안누 박사와 연구진은 영국의 깨끗한 물에서 서식하는 큰가시고기를 대상으로 그들이 개인이었을 때와 10마리가 함께 한 그룹이었을 때를 비교한 실험을 실시했습니다. 그 결과 이와 같은 ... ...
- 운동하기 싫다고요? 당신 잘못이 아닙니다2016.09.20
- 의지가 약해서가 아닐 수 있습니다. 진화의 결과입니다. 워싱턴포스트는 최근 하버드대학교 생물학과 대니얼 리버먼 교수가 2015년 발표한 '운동은 정말 약이 되는가: 진화의 관점에서' (Is Exercise Really Medicine? An Evolutionary Perspective)라는 논문을 소개했습니다. 그는 “사람이 게으른 것은 자연스럽고 ... ...
- 낮잠 많이 자는 사람, 당뇨 더 잘 걸린다?2016.09.20
- 점을 지적하며 아직 학계에서 검증된 것도 아니라고 덧붙였습니다. 또한 영국 옥스포드대학교 암역학부의 벤자민 케언즈 박사도 거꾸로 그들이 병에 걸렸기 때문에 낮잠이 증가한 것일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닭이 먼저인지 달걀이 먼저인지 정확히는 알 수 없어도 긴 낮잠과 당뇨병이 ... ...
- Quiz. 귀뚜라미가 많이 우는 날은 더운 날? 추운 날?2016.09.10
- 어떻게 구분하는 것일까요? Andrew C(W) 제공 이에 호기심을 갖은 캐나다 토론토 대학교의 연구진은 긴꼬리 귀뚜라미(tree cricket, Oecanthus nigricornis)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그 결과 긴꼬리 귀뚜라미들은 울음소리를 내거나 듣는 데에 그들만의 독특한 음높이가 있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 ...
이전1721731741751761771781791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