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이후"(으)로 총 1,769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의 로봇 물고기들어린이과학동아 l20060214
- 로봇물고기의개발은최근에이루어졌어요. 1995년미국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에서개발한‘찰 리’가 세계 최초의 로봇물고기지요. 이후 미국은 로봇참치Ⅱ, 로보파이크, 드레이퍼참치 등 다양한 로봇물고기를 만들어 냈어요. 일본의 경우 장난감 로봇물고기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요. 로봇물고기 외에도 로봇바닷가재, 로봇거북, 로봇해파리 등도 연 ...
- 1828년 2월 8일, 줄 베른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060127
- 바다와 모험을 좋아했던 줄 베른은 프랑스의 낭트라는 항구 근처의 섬에서 태어났습니다. 과학에도 깊은 관심을 가져 34세 때 파리에서 기구 실험도 했답니다. 그는 '80일간의 세계일주' '15소년 표류기' '해저 2만리'등 40년 동안 50여편의 소설을 써서 근대 공상과학소설의 아버지라고도 불린답니다. 그의 소설에는 잠수함, 기구, 로켓 들이 등장하는데, 이 ...
- 추위와 폭설, 한반도를 덮치다(1)어린이과학동아 l20060111
- 올 겨울 처음으로 한강이 얼었습니다. 이러한 한강의 결빙은 작년보다 23일 빠르고 평균 한강 결빙일보다 26일 빠른 것입니다. 1965년 이후 한강에 가장 빨리 얼음이 언 것이지요. 한강이 이렇게 빨리 언 이유는 12월 17일 아침 최저 기온이 -13.3℃, 18일 아침에는 -14.0℃에 이르는 등 강추위 때문입니다. 서울은 강추위만 몰아닥쳤 ...
- 추위와 폭설, 한반도를 덮치다(3)어린이과학동아 l20060111
- 큰 눈이 내려 많은 피해가 있었습니다. 3월4일에서 6일까지 부산에는 37.2㎝, 포항 20.7㎝, 영덕 67.5㎝, 울진57.6㎝의 눈이 내려 기상 관측 이후 가장 많은 눈이 내렸습니다. 강원도 지역에는 동해 110.8㎝, 속초 55㎝, 강릉 53.5㎝의 눈이 내렸지요. 이런 폭설로 강원도 지역 215개 학교와 경상도 지역 62개 학교가 휴교 ...
- 과학의 역사와 함께한 개들어린이과학동아 l20051229
- 했다구. 강인한 체력과 끈기를 가진 우리 개들이 아니고서는 불가능한 일이었어. 1904년 파블로프의 개 파블로프가 1904년노벨상을 받고,이후‘조건 반사 이론’을 발전시킬 수 있었던 것은 우리 개들 덕분이었어. 파블로프 박사는 우리에게 밥을 줄 때마다 종을 울렸어. 밥을 본 개들은 군침을 흘렸겠지. 그런데 어느 날 박사님은 종소리만 울리고 밥을 ...
- 1642년 세계최초의 과학자 뉴턴 출생!어린이과학동아 l20051213
- 이탈리아의유명한과학자갈릴레이가죽던해인1642년크리스마스.영국에서는갈릴레이를잇는과학자뉴턴이태어났습니다.뉴턴은 평생 동안 물리학, 천문학, 수학뿐만 아니라 연금술에도 관심이많았던인류역사상가장위대한과학자로평가받고있습니다. 뉴턴은 사과가 떨어지는 걸 보고 모든 물체는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있다는‘만유인력’을생각해 냈고,그이후‘운동의 세가지 법칙’을 발 ...
- 잠(2)-신나는 꿈을 꾸었어!어린이과학동아 l20051130
- 성장호르몬도 잘 분비되지 않고 키도 잘 안 크게 된답니다. 성장호르몬이 분비되는 시간은 밤 12시에서 2시 사이이고 잠이 든지 1~2시간 이후에 가장 많이 분비되므로 저녁 10시에는 잠이 들어야 합니 다. 키가 크고 싶다면 저녁 10시엔 꼭 잠자리에 들도록 하세요. 얼마나 자야 할까? 이렇게 중요한 잠. 그런데 잠을 얼마나 자야 할까요? 일반적 ...
- 아바타 학교어린이과학동아 l20051130
- 바라보며 얘기하고 싶었어. 그렇지만 네가 날 만나 주지 않을까 봐 걱정이 됐어. 비밀 학급회의 때 네가 내 비밀쪽지를 차단해 버린 이후로는 네게 쪽지로든 대화로든 말을 걸어 보지 않았잖아. 이메일을 보낼까 생각도 해 보았지만 답장이 없을까 봐 겁났어. 그래서 무작정 네‘방 문을 두드렸던’거야. ‘방 문을 두드린다’는 것은 내가 만들어 낸 말이야 ...
- 기상재해로 휘청거리는 지구촌(4)어린이과학동아 l20051111
- 허리케인 피해는 온실가스를 줄이려는 노력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아직 논란은 있지만 많은 기상학자들은 1990년대 이후 일어나고 있는 기상이변의 원인으로 지구온난화와 엘니뇨를 꼽는다. 그렇다면 대형 허리케인이나 지진, 엘니뇨 등의 기상재해를 통해 우리는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그것은 바로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가 살아 숨쉬고 있 ...
- 기상재해로 휘청거리는 지구촌(2)어린이과학동아 l20051111
- 대부분의 건물이 무너지고 순식간에 폐허로 변할 것입니다. 작년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에서 발생한 지진을 기억하나요? 1900 년대 이후 있었던 전 세계 지진 중 네 번째로 강력한 규모 9.0을 기록했죠. 비록 우리나라에서 규모 7.0이 넘는 지진이 발생할 확률은 거의 없지만 작은 지진은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으므로 철저한 대비를 해야 해요. ※지진 ...
이전1721731741751761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