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먹이"(으)로 총 2,048건 검색되었습니다.
- 털 한 가닥이 90cm까지 긴 털매머드 탐사기사 l20161113
- 짐작이 갔다. 이번에는 상아에 대해 설명하겠다. 상아의 역할은 세 가지다. 첫째, 긴 상아로 눈을 치워 길을 만든다. 둘째, 먹이를 찾는다. 셋째, 싸운다. 또한 상아의 크기로 암수를 구분한다. 상아가 짧고 작으면 암컷이고 크고 길면 수컷이다. 가장 긴 상아는 4m가 넘고 80kg이 넘는다고 한다. 털매머드에 전체적인 크기는 현존하는 ...
- 장구애비의 사냥탐사기록 l20161111
- 지난 강촌 민물고기 탐사에서 장구애비와 게아재비 그리고 물고기 두마리를 잡아왔다. 장구애비 사진이 누락집에 데려와 기르고 있는데 장구애비가 물고기와 게아재비를 잡아 먹었다. 그리고 먹이가 없어서 도마뱀 주려고 사온 귀뚜라미를 주었더니 잡아먹고 있다. 귀뚜라미를 넣어주자 재빠르게 낚아챘다. 그리고 장구애비 입이 붉은 색이었다. 오늘 이 모습을 지 ...
- 허벅지 뼈가 초등학생만한 털매머드 표본을 보다기사 l20161106
- 그곳에서 알게된 사실이 정말 많습니다. 그 사실을 여러분께 얘기해 드리고자 기사를 씁니다. 먼저, 털매머드가 상아로 눈을 치워 먹이를 구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두 번째, 털매머드가 정말 크다는 점입니다. 대퇴골(허벅지 뼈) 크기만 약 120cm입니다. 얼마나 클지 상상해 볼 수 있을까요? 초등 1학년인 제 동생과 털매머드의 허벅지 ...
- 매머드의 비밀을 찾아서!기사 l20161106
- 교체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 기간이 짧아 안타깝게도 마지막 6번째 이빨을 다 쓰면 굶어 죽게 된다고 합니다. 그 외에 매머드의 먹이와 피부 조직을 알아보았습니다. 저희는 다음으로 표본 관리동으로 이동하였습니다. 이 곳은 작년 11월 23일 개관한 개방형 전시형 기관으로, 이곳에서는 유인원의 발자국 레플리카(레플리카: 회손 방지와 ...
- 소라게 저녁식사포스팅 l20161104
- 먹이먹는 소라게♡ ...
- 호랑거미탐사기록 l20161026
- 아침 산책길에서 만난 호랑거미입니다. 거미줄을 치고 먹이를 기다리고 있어요. 아침이라 거미줄에 이슬이 맺혔어요.^^ ...
- 가을에 피는 꽃, 납지리탐사기록 l20161026
- 알을 낳거나 기껏해야 갓 조개에서 빠져나온 치어 상태일 때, 이미 겨울을 지내고 조개속에서 나온 납지리의 자손들은 크기나 먹이 섭식 등에서 경쟁력 있게 우위를 점할 수 있다는 점이다. (전북대 김형수 박사님의 논문에서 인용) ▲ 산란기인 봄철이 지나 가을이 되자 발색이 빠진 흰줄납줄개 수컷 (출처:직접촬영) ...
- 미호종개의 마지막 서식지탐사기록 l20161026
- 막아 질식할 수 있기에 무조건 고운 모래를 선호할 수 밖에 없습니다.놀라면 모래 속에 숨고 모래 속의 먹이를 찾아 모래와 함께 먹이를 삼킨 후 아가미로 모래를 뱉어냅니다.미호종개나 비슷한 미꾸리과 어류는 눈밑에 안하극이라는 가시가 있습니다. 모래속에 파고 들거나 천적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다행히 잡았을 때 살짝 찔리는 정 ...
- 지구 온난화의 주범이 소?기사 l20161019
- 소가 약 9억 7100만 마리나 있습니다. 많은 숫자죠. 이렇게 많은 소들이 어떻게, 또 왜 지구온난화를 속행시킬까요? 첫째, 소의 먹이 때문입니다. 위 사진에 보이듯이 주변엔 온통 풀뿐입니다. 소는 하루에 풀을 무려 4kg이나 먹는다는데, 그런 소들을 건강하게 키우기 위해서라면 풀이 아주, 매우 많이 필요하겠죠. 그 많은 풀들이 자랄 땅은 ...
- 2016 우리 산림생물 바로알기 탐험대 - 퀴즈 대회에서 1등을 하다!기사 l20161017
- 우리는 팀 이름대로 양서류를 공부했다. “양서류는 환경지표동물이며, 어류와 파충류의 중간이지만 어류에 가깝다. 개구리가 큰 먹이를 잡았을 때는 혀를 세게 말아 으스러뜨린 후 먹는다. 개구리 중 청개구리만 나무를 탄다. 황소개구리는 알을 한번에 4만개를 낳는다” 등 흥미를 끄는 얘기를 많이 들려 주셨다. 나는 이 시간을 통해 양서류 동물에 대해 ...
이전1721731741751761771781791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