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콤달콤 놀이 연구소 그림으로 보는 수학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봐요.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수콤달콤 놀이 연구소 그림으로 보는 수학Part1. [수콤달콤 연구소 그림으로 보는 수학] 선생님께 감사한 마음, ‘약수와 배수’로 전해요!Part2. 수콤달콤 플리마켓Part3. [수콤달콤 놀이연구소] '약수와 배수'로 쓴 카드 내용은 ... ...
- 도토리슈퍼 머니 어벤져스 함께 행복해지는 머니!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0호
- 찾아갔어요. 샴푸가 담긴 커다란 통에서 필요한 만큼만 용기에 짜서 담아갈 수 있지요. 1g 단위로 무게를 재서 가격을 계산해요. 서울 마포구에 있는 리필스테이션 ‘알맹상점’에선 샴푸, 린스, 바디워시, 세제, 조미료, 잎차, 과자 등을 필요한 양만큼 살 수 있어요. 개인 용기를 들고 오지 않았다면 ... ...
- [M 몬스터를 잡아라!] 다음에 나올 모양은 뭘까? 규칙 변신 몬스터!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변신한 몬스터들을 잡으러 함께 떠나볼까요? 규칙 상자의 각 칸에 처럼 원을 1개부터 3개까지 원하는 모양으로 그려요. 가위바위보에서 이긴 참가자부터 돌아가면서 상자에 그린 모양대로 게임판 위에 원들을그려요.네 번째 칸의 모양까지 다 그렸다면다시 첫 번째 칸의 모양으로 돌아와 게임을 ... ...
- [특집] 브라마굽타부터 페르마까지! 펠의 방정식을 푼 이유는?수학동아 l2022년 10호
- 값이 x=577이고, y=408이면 x/y=577/408= 약1.41421568627이에요. 고대 그리스인이 발견한 황금비 1 : (1+√5)/2를 구할 때도 펠의 방정식을 이용했어요. 많은 수학자가 펠의 방정식에 도전한 이유에 대해 김도형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는 “방정식의 모습은 매우 ...
- [특집] 드디어 풀리다! 음의 펠의 방정식의 비밀!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방법을 응용하면 스티븐하겐 추측이 풀린다는 걸 알았고, 2017년부터 함께 이 방법론을 1년 동안 토론하면서 공부했어요. 너무 어려워서 그 논문을 쓴 연구원을 직접 만나서 물어보기도 했지요. “이번 연구로 더 많은 난제를 풀고 싶어요” 어릴 때부터 수학 퍼즐을 좋아했던 피터 코이만스입니다. ... ...
- [수학자와 함께 마인크래프트] #해적 유저 정복하기 2. 숨쉴 공간 마련! 물 쫙 빨아들이는 스펀지의 최소 개수는?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따지기> 맨해튼 거리가 1인 구는 정육면체 모양의 스펀지 블록의 6개 각 면에서 거리가 1이므로 스펀지 블록 자리를 포함해 총 7개의 물 블록을, 2인 구는 25개, 3인 구는 63개, 4인 구는 129개의 물 블록을 흡수해요. 그런데 ❷번 규칙에 따라 스펀지는 총 65개까지 물 블록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 ...
- [수학뉴스] 무더위 쉼터, 어디에 몇 개 만들어야 할까?수학동아 l2022년 10호
- 그러자 남구 옥동의 경우 현재 무더위 쉼터 14곳에서 5곳을 빼고, 새로운 쉼터 1곳을 추가해야 한다는 결과가 나왔어요. 즉 무더위 쉼터를 10곳으로 줄임으로써 운영비는 절약하면서도 더 많은 사람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거예요. 권상진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수학 모형은 울산광역시뿐만 ... ...
- [함께해요, 로블록스 코딩] 폴리매스 미궁 1. 문제풀면 싹~ 열리는 문 만들기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문자 크기)를 체크해 줍니다. 키패드 파트의 나머지 11개 버튼인 K0, K2~K9, KEnter, KClear도 K1과 같은 방식으로 지정해요. 정답을 넣으면 열리는 문 코딩 0부터 9까지의 키 버튼을 누를 때마다 ‘inputString’ 변수에 숫자를 계속 저장하고, ‘KEnter’를 누르면 ‘inputString’과 ‘mat ...
- 독자 투표로 정한 첫 표지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이번호부터 전지적 독자위원회가 과학동아 표지 주제 선정 과정에 참여하기 시작했습니다. 편집부에서 준비한 10월호 표지 주제 후보는 총 5개였습니다. ... (뇌과학)8 조선판 CSI9 코끼리를 냉장고에 넣는 과학적 방법10 큐브 속 과학10 인구 소멸하는 한국, 인간을 만드는 ... ...
- [핫이슈] 1폰 2번호 나도 써볼까?과학동아 l2022년 10호
- 1일 ‘1폰 2번호’가 가능한 e심(eSIM) 제도가 본격 도입됐다. 2021년 12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가 발표한 국내 e심 도입 계획에 따른 결과다.기존에 쓰던 유심(USIM)은 통신사를 바꿀 때마다 새 칩으로 바꿔야 한다. 유심칩에 고유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e심을 쓰면 ...
이전1721731741751761771781791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