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찬성자
원조자
편짝
d라이브러리
"
한편
"(으)로 총 5,084건 검색되었습니다.
번쩍! 메가번개를 맨눈으로 보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반도체 가운데 하나다.플래시메모리가 들어있는 USB메모리는 1.5Gb(기가바이트) 영화
한편
을 복사하는데 몇 분이 걸리지만, 실험에서 사용한 FRAM은 2~3초 밖에 걸리지 않는다. 하지만 FRAM이 우주환경에서도 오류를 일으키지 않고 작동하는지 세계 어느 나라도 실험한 적이 없다.ISS에서 플래시메모리가 ... ...
눈먼자들의 도시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복잡한 맛을 감지한다. 온도나 혀의 촉각, 냄새도 맛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영화에서 청각과 후각이 발달한 맹인은 권총을 가지고 있던 남자와 함께 폭동을 일으켜 병원의 식량배급을 독점한 뒤 병동마다 귀중품을 요구하더니 급기야 여성을 ‘재물’로 바치기를 요구한다. 마치 ... ...
마술 같은 맛 그려내는 식품첨가물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대부분은 유화제를 써서 미세한 기포를 안정화시키기 때문에 촉감이 훨씬 부드럽죠.”
한편
기본 재료만으로는 만들 수 없는 형태의 빵도 있다. 스콘이나 일부 쿠키는 반죽 속에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는 팽창제인 베이킹파우더가 없으면 만들기 어렵다. 또 패스트리 같은 종류도 첨가제가 많이 ... ...
바이러스 질환에서 인류를 구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콜라에 넣은 정자는 모두 죽었고, 당시 막 출시된 뉴코카콜라에서는 41%가 살아남았다.
한편
같은 주제로 연구했지만 ‘코카콜라에 피임 효과가 없다’는 상반된 연구결과를 발표한 대만 타이베이대 연구진도 화학분야 공동 수상자로 선정됐다. 미국 하버드대 샌더스극장에서 열린 이그노벨상 ... ...
말을 잃은 소녀의 자아 찾기 나는, 인어공주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한다. 알리사가 잉태된 곳은 바닷속이 아니라, 너무나 당연하지만 엄마의 자궁 속이다.
한편
알리사는 여섯 살이라는 나이가 믿기지 않을 만큼 고집 센 아이로 성장한다. 그러던 어느 날 알리사는 아빠를 기다리지 않는 엄마의 위선적인 행동에 아예 말을 하지 않기로 결심한다.말을 하지 않는 ... ...
‘텔미’ 춤추는 로봇에서 온기를 느끼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가사보조 외에도 1:1 영어회화 선생님이 될 수도 있고 내기 장기 상대가 될 수도 있다.
한편
마루 같은 이족 로봇은 워낙 복잡한 시스템이기 때문에 조금 더 먼 미래에나 상용화될 전망이다. 2025년쯤 되면 저녁 식사 뒤 로봇과 나란히 산책하며 담소를 나누는 모습을 여기저기서 볼 수 있지 않을까 ... ...
400만V 번개에 감동, 입체지구와 만나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김 소장은 “지구환경이 현재 어떤 문제가 있는지를 실감할 수 있을 것”이라며 “SOS는
한편
으로 위기에 빠진 지구를 상징한다”고 말했다.미국해양대기청(NOAA) 지구시스템연구소에서 개발한 이 시스템은 미국 이외의 지역으로는 국립과천과학관에 처음 설치돼 운영된다는 게 과학관 측의 ... ...
논문 쓰고 명문대 유학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이공계로 진학하려는 학생들이 과학연구활동을 활발히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 학술지에 대한 홍보도 더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학술지를 통해 고등학교의 R&E 교육 방법과 내용의 질을 꾸준히 높일 계획”이라며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은 대입 수시에 나름대로 비중 있게 ... ...
나노세계 발목 잡는 카시미르 힘의 정체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수 있다는 주장이었다. 이들은 이 힘으로 물체를 공중에 띄울 수 있다는 제안까지 했다.
한편
2006년 5월 영국 세인트앤드류대의 울프 레온하르트 교수와 런던 임페리얼컬리지의 존 펜드리 교수는 두 평판 사이에 메타물질을 채워 카시미르 힘을 조절할 수 있다는 연구내용을 각각 발표했다.메타물질은 ... ...
대칭성 깨뜨려 노벨상 움켜쥐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물리학상은 일본 출신인 남부 교수를 포함해 모두 일본인이 휩쓸었다는 사실도 화제다.
한편
으론 부러우면서도 한국은 언제쯤 노벨 과학상을 받을 수 있느냐는 주변의 질문에 금세 기분이 착잡해진다.일본 인구는 한국의 3배다. 하지만 과학자 수는 어림잡아 10배가 넘는다. 우리와 인구가 비슷한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