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생"(으)로 총 5,140건 검색되었습니다.
- [핫이슈] 3D 프린터와 아두이노 보드로 화성에서 살아남기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공동으로 진행 중인이 프로그램은 우주생물학에 관심이 있는 과학자, 교사, 학생이 극한 환경에 사는 미생물을 직접 조사한다. 뉴질랜드의 타우포 화산지대, 아프리카 나미비아 같이 화성의 화산활동과 유사한 지질현상이 나타나는 곳에서 해마다 진행되고 있다.2013년 서호주로 탐사를 갔을 때 ... ...
- 폐허 위에서 품은 희망 네팔 지진 현장을 가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됐다. 네팔을 떠나기 전, 한국에 12년 동안 살았던 라케스 다말라 대표는 한국 봉사단 학생들에게 의미심장한 말을 던졌다.“우린 비록 힘들고 어렵게 살지만 누구도 불행하지 않습니다. 누구도 가난하다고 자살하지 않지요. 우리가 여러분에게 배우는 것처럼, 여러분도 우리 문화로부터 무언가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23] ‘오지라퍼’가 되지 않으려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처음 겪는 사람들이 느낄 충격을 과소평가하기 때문이다. 대학 수업시간에 교수님이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고 천연덕스럽게 “그걸 왜 몰라”라고 묻는 것이 좋은 예다.도움을 줄 때는 내가 어떤 것을 해줬느냐가 아니라 상대가 어떻게 받아들였냐가 중요하다도움, 얼마면 돼 ... ...
- 인류의 시작부터 함께 한 학문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사기업도 많고요.정용권 마지막으로 에너지자원공학과에 잘 맞을 것 같은 학생은 어떤 학생인가요?정은혜 이쪽 분야에 있다 보면 해외에 나갈 일이 많아요. 우리나라가 자원이 풍부한 나라는 아니니까, 이곳 저곳 나갈 기회가 많아요. 이런 점을 잘 인내할 수 있는 사람이 유리합니다. 또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도전! UNIST ➓ 로드니 루오프 자연과학부 특훈교수] ‘삼박자’ 갖춘 인재와 함께 꿈의 재료 만든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논문을 내겠다는 조바심을 버려야 한다는 것이다. 루오프 교수는 “좋은 성과를 내는 학생들을 보면 대부분 자신이 연구하는 문제의 답이 뭔지 정말로 궁금해 하면서 자기 연구 데이터에 스스로 질문을 던지고, 다시 실험실로 돌아가 그 문제를 깊이 파고든다”고 말했다.루오프 교수가 이끄는 ... ...
- INTRO. 21세기 파브르 곤충기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최대의 위기를 맞다파브르는 1868년, 그의 나이 마흔 다섯에 인생 최대 위기를 맞는다. 여학생들에게 ‘꽃의 수정’을 가르쳤다는 이유로 성직자들의 공격을 받아 학교에서 쫓겨났다. 설상가상으로 집주인마저 파브르의 가족을 집에서 쫓아냈다. 당시 매우 가난해 생활고에 시달리던 상태였고, ...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이준호 이 분들도 취재해보세요. 저랑 비슷한 또래인데 전문가 수준이에요.” 건혁 학생은 어릴 때부터 파브르 곤충기를 많이 읽었다고 했다. 어린이용 파브르 곤충기는 실제와 달라서 별 도움이 안 됐는데, 김진일 교수의 완역본은 학명과 실험방법이 구체적으로 나와 있어서 연구에 도움이 됐다고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2. 콜럼버스가 신대륙에서 만난 원주민의 기원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발견됐다. 1975년에 몬테 베르데를 방문한 수의과 학생들이 이상한 소뼈를 발견했는데, 학생들이 소뼈로 착각한 것은 인류가 사냥한 것으로 보이는 아메리칸 마스토돈의 뼈였다. 1980년대에는 본격적인 조사가 시작되면서 몬테 베르데가 클로비스보다 1000년 이상 앞선다는 것이 밝혀졌지만, 학계에서 ... ...
- [Life & Tech] 태평양 한가운데 해양연구 전초기지를 가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저녁에는 세미나가 이어졌다. 낮에 거대 그물로 건져 올린 물고기를 해부했다. 여학생 남학생 가릴 것 없이 모두가 물고기 내장을 하나하나 분리하고 새끼손톱보다 작은 뇌를 척척 찾아냈다. 특히 늘 말이 없고 얌전했던 정의원 군(강원 정선 여량고 2)이 몹시 열정적이고 자신감 넘치는 모습을 보여 ... ...
- “세상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학문, 컴퓨터공학”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설명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거든요.“스펙을 위한 활동이 아닌, 나를 위한 활동”많은 학생들이 경시대회 같은 외부대회에서 수상해야 서울대에 올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그렇지 않다는 걸 강조하고 싶습니다. 눈에 띄는 대회에서 수상하기 보다는, 평소 수업시간에 관심분야를 찾고 그와 연관된 ... ...
이전1721731741751761771781791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