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체험실] 정삼각형으로 만드는 다면체, 핵심은 정삼각형의 무게중심!수학동아 l2020년 04호
- 만들어보자. 정다면체 중 하나인 정십이면체, 정팔면체, 그리고 정이십면체의 각 꼭짓점을 조금씩 잘라낸 ‘깎은 정팔면체’와 ‘깎은 정이십면체’를 만들고 그 성질을 살펴보자. ※필자소개방준수 선생님은 종이접기에서 수학적 원리를 찾아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학습자료를 만들고 ... ...
- [방학출동! 기자단] 우당탕탕 추리 대작전! 캣조르바 탐정추리학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이곳을 체험하는 어린이들이 알려주면 즉시 고치고 있답니다. Q 만들면서 힘들었던 점이 있나요? 스토리를 제대로 전달하는 게 쉽지 않았어요. 각 사건에서 방마다 숨은 이야기가 많아요. 예컨대 주인공 제제는 사라진 할아버지를 찾으러 원더랜드에 온 것인데, 사실 원더랜드는 아무나 올 수 있는 ... ...
- “인공지능은 이미 여러분 옆에 와 있습니다” 김정호 KAIST ICT 석좌교수과학동아 l2020년 03호
- 개 분야가 서로 다른 분야 같지만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 모두 반도체와 관련돼 있다는 점이다. 가령 반도체와 관련 없어 보이는 플라스마와 고출력 레이저는 반도체 장비 등 제조에 필수적인 요소다. 반도체 제조의 전 과정을 연구한 셈이다. 그 과정에서 탁월한 성과를 냈다. 반도체 칩을 기판에 ... ...
- [팩트체크] 비 오는 날 전기차 충전해도 될까?과학동아 l2020년 03호
- 같습니다. 다만 배터리 내부 전해질을 액체가 아닌 고체로 써서 화재위험을 줄인 점이 스마트폰과 다릅니다. 한편 수소차는 수소와 산소를 반응시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연료전지 스택과 여기서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로 이뤄져 있습니다. 배터리 수명을 연구하는 이용민 ... ...
- [과학동아 키즈] 인공 뇌 연구의 최전선에 서기까지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인간 뇌의 동작을 모방할 수 있는 신개념 메모리로 ‘멤리스터(memristor)’가 개발된 시점이었다. 멤리스터는 저항값의 변화로 기억을 저장하는 새로운 소자다. 하지만 막 시작된 분야였고, 어떻게 발전할지 모르는 상황이었다. 그래서 인공지능 뉴로모픽(neuromorphic) 시스템을 연구해야겠다고 결심했다 ... ...
- [교육뉴스] 교육부, 2020학년도 학교생활기록부 기재요령 발표수학동아 l2020년 03호
- 학생에게 적용됩니다.가장 눈에 띄는 변동 사항은 소논문 활동을 절대 기재할 수 없다는 점과 출신 고등학교를 알 수 있는 정보를 금지한 겁니다. 학적사항과 수상경력란의 수여기관, 봉사활동 장소 또는 주관기관명에만 학교명을 기재할 수 있습니다.또 학생 스스로 작성한 내용을 토대로 교사가 ... ...
- [매스미디어] 수학으로 보글보글 인생라면 레시피수학동아 l2020년 03호
- 해요. 왜 면발은 모두 꼬불거릴까?이렇게 각양각색의 라면 면발에도 한가지 공통점이 있습니다. 바로 꼬불꼬불하다는 점! 왜 라면의 면발은 하나같이 꼬불꼬불한 걸까요? 그 이유는 바로 많은 양의 라면을 담기 위해서인데요, 곡선인 라면 면발 한 가닥의 길이는 평균 약 40cm이지만 직선으로 펴면 ... ...
- 스타워즈 광선검이 탐난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태양을 만들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고 말씀하셨지요. Q 스타워즈를 보며 항상 궁금한 점이 있었다고요?영화 등장인물들은 우주선을 타고 긴 시간 우주를 여행해요. 영화를 보며 우주선의 연료는 어떻게 구하는지, 생활할 때 나온 쓰레기는 어떻게 처리할지 궁금했어요. 만약 저라면 ... ...
- 어제는 맞고 오늘은 틀리네? 코로나19 진짜 팩트 5과학동아 l2020년 03호
- 결합할 수 없습니다.물론 코로나바이러스가 변이가 많이 일어나는 RNA 바이러스라는 점을 고려하면 코로나19가 앞으로 어떻게 변화할지 예측하기는 힘듭니다. 하지만 분명한 건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코로나19가 아직 종간 장벽을 넘어 전파됐다는 증거가 발견된 적은 없습니다.WHO도 홈페이지 내 ... ...
- 오리온의 겨드랑이 별 '베텔게우스' 에 대한 궁금증과학동아 l2020년 03호
- 03/PhysRevLett.93.171103 연구팀은 지구 역사에서 환경에 중대한 변화가 발생했을 경우, 해당 시점에 가까운 초신성이 폭발했을 가능성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
이전1721731741751761771781791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