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신
자기
그자신
글자모양
자체금융
금융
본래
d라이브러리
"
자체
"(으)로 총 5,13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불가능은 없다” 양자미션5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블랙홀의 개념에 뭔가 아직 알려지지 않은 양자적인 수정을 해야 할 뿐, 양자역학
자체
를 버려야 할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다.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은하가 존재하는 곳은 골짜기처럼 시공간이 휘어진다. 그런데 양자역학에서는 서로 다른 파동을 더할 수 있다고 본다. 시공간을 더할 수 ... ...
별 삼키는 블랙홀 봤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할 수 있었던 건 물론 스케줄이나 맑은 날씨 같은 운도 따랐지만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자체
제작한 근적외선 카메라(검출기) 카시닉스(KASINICS)의 성능이 뛰어났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근적외선은 열에 대단히 민감합니다. 따라서 카시닉스 주위를 액체헬륨이 돌며 내부 온도를 영하 240℃ 이하로 ... ...
1981년 마틴 에번스 교수의 생쥐 배아줄기세포 확립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더 분열을 한다.연구자들은 배아가 착상하지 못하게 호르몬 처리를 한 뒤 배아를 꺼내 그
자체
를 페트리접시에서 4일간 배양했다. 그리고 충분히 숫자가 늘어난 ICM을 분리해 지지세포(섬유세포) 위에 놓아주고 태아 송아지와 갓 태어난 송아지의 혈장이 포함된 배양액을 공급했다. 지지세포나 ... ...
녹색성장 꿈꾸는 ‘유연한 전기’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데 이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그런데 두 가지 연구를 하다 보니 점차 ‘전력의 유연화’
자체
에 관심을 갖게 됐다. 송전량을 조절하는 FACTS와 조절이 쉽고 이동에 편리한 HDVC의 장점을 결합하면 어떨까. 바로 스마트 그리드의 특징이었다.문 교수는 현재 마을 규모로 실증실험을 하고 있는 제주도를 ... ...
심해잠수정 얼마나 깊이 내려가야 하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설계에 집중했기 때문이다.현대에는 기록을 세우기보다는 ‘연구’가 목적이라 설계
자체
가 달라진다. 바닷속 깊은 곳에서도 엔진에 시동을 걸어 이곳저곳을 누벼야 하고, 압력에 취약해지더라도 유리창을 꼭 달아야 한다. 탑승한 해양과학자가 외부를 내다봐야 하기 때문이다. 각종 탐사장비와 ... ...
나비처럼 날아 애벌레같이 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가시처럼 걸리고 따끔따끔한 자극 때문에 삼킬 수 없을 것 같은 불쾌감을 준다. 접근
자체
를 꺼리게 하는 털은 천적에게 공격을 받을 때 뿜어내는 방어용 독성 물질보다 선제적인 방어 기능인 셈이다.이런 털은 기생벌이나 기생파리 같은 기생동물이 애벌레의 몸에 알을 낳지 못하게 하는 효과도 ... ...
월드와이드웹 20년, 아직 진화는 끝나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을 제안한다. 과학자와 기술자 수천 명이 일하는 CERN에서는 예전부터
자체
네트워크망을 통해서 데이터와 정보를 공유해왔다.그의 제안에 CERN의 관계자들은 별 반응이 없었지만 버너스리 박사는 동료인 벨기에의 컴퓨터과학자 로버트 카일리아우 박사와 이 개념을 더욱 ... ...
[life & tech] 사장님과 말단사원, 누가 더 스트레스 받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미국 하버드대 심리학과 하워드 프리드먼 교수는 “(건강에 유해한) 스트레스는 일
자체
에 대한 도전과 부담감보다는 다른 사람들과의 충돌에서 야기된다”고 설명했다.하위직으로 갈수록 자신의 일을 스스로 결정하는 게 아니라 위에서 주어진 걸 해야만 하고 출퇴근은 물론 화장실에 가는 것까지 ... ...
감성을 읽는 수학의 눈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즉 생체측정기술의 정확도가 60~70% 수준으로 아직까지 낮다는 얘기다. 인식
자체
가 정확하지 않으면 그 이후의 연구는 모두 쓸모없게 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생체·감성인식연구실에서는 수학적인 기법을 활용해 감성공학 분야의 기초기술이라고 할 수 있는 생체측정기술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 ...
별과 생명체의 씨앗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빛의 파장을 분석하면 대략적인 성분을 알 수는 있지만 정확한 성분은 물론 우주먼지
자체
가 어떻게 생겼는지는 알 수가 없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우주먼지를 채집하려고 시도해왔는데 가장 유명한 프로젝트가 바로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진행한 ‘스타더스트(Stardust)’ 미션이다.1999년 2월 8일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