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련성
상관
d라이브러리
"
비교적임
"(으)로 총 2,555건 검색되었습니다.
독수리 주변의 5형제 별자리들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화살자리 서쪽에는 어둡고 희미한 별들로 이루어진 작은 여우자리가 있다. 이 속에는 아주 특이한 M27(아령성운)이 숨겨져 있는데 이는 늙은 별이 수축하면서 자신의 껍데기를 날려보낸 것이다. 모기약을 노출 부위에 고루 바른 다음 편한 차림으로 밖에 나서보자. 7월 저녁 동쪽 하늘을 보면 3개의 ... ...
별 탄생의 순간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어린 별에서 분출되는 제트 3장의 사진에는 막 태어나는 별 HH1/HH2 주위의 제트(또는 쌍극류, bipolar outflow)가 잘 나타나 있다. 조금 섬뜩한 느낌을 주기는 하지만 이 사진들은 어린 별에서 분출되는 가스의 흐름을 선명하게 보여준다.[위] 사진에서 제트가 나오는 곳은 중심의 작은 별이지만 이 별은 ... ...
통신 프로그램 '이야기' 제작자 큰사람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작년 3월 고향인 대구를 떠나 서울로 자리를 옮긴 통신에뮬레이터 '이야기'제작자 '큰사람'은 요즘 무엇을 하고 있을까. 이야기 6.1 발표 이후 별다른 소식이 없던 이들은 최근 이야기 7.0의 개발에 열중하고 있다. 이름 만큼이나 큰 야망을 가진 '큰사람'을 만나본다. 당신이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를 ... ...
PART4 제4의 치료법 암백신 실용화 임박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면역세포의 대표주자인 T세포와 암세포가 「숨바꼭질」을 하고 있다. 술래인 T세포는 암세포를 찾아내기 위해 혈안이 돼 있는데, 암세포의 은둔술은 교묘하기만 하다. 여기서 T세포를 돕기 위해 개발된 암백신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암은 우리 몸의 세포가 유전적 결함 또는 돌연변이 등으로 ... ...
1 무한한 잠재력 미래 기술의 최대 변수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객관적인 평가로 보아 현재의 아시아 과학기술은 한동안 구미 선진국을 능가하지 못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각국이 벌이고 있는 피나는 노력과 투자는 21세기 초반 의외의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21세기 세계 문명이 아시아, 특히 극동 지방에서 만개할 것이라는 이른바 '문명 선진론'이라는 게 있다. ... ...
2 거대타원은하 내 가장 오래된 별은 200억살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우주내에 가장 오래된 천체는 구상성단이다. 별의 진화모델에 따라 추정한 이들의 나이는 1백50억년. 그러나 최근에 자외선망원경 관측 결과를 분석한 바에 따르면 거대타원은하 내에는 2백억년 가까이 구상성단이 존재하는 것이 밝혀졌다. 금세기 초 미국의 천문학자 허블의 관측에서부터 최근 ... ...
성전환수술 9가지 궁금증 풀이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성전환증 환자, 성전환수술에 대해 잘못 알려진 상식이 많다. 여기서는 성전환증 환자를 이해하는 측면에서, 드러내놓고 얘기하기를 꺼리는 여러 문제들을 여러 각도로 조명했다.1 성전환수술이란 무엇인가영어 사용권 국가에서는 성별을 말할 때 두 단어를 사용한다. 하나는 섹스(sex)이고 다른 하 ... ...
3 항공우주기술 상업화, 세계시장 넘본다.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잠자는 거인'이라 불리는 중국의 과학기술은 첨단과 낙후가 공존하는 전형적인 이중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거인이 깊은 잠에서 깨어나면 세계는 전대미문의 소용돌이에 휩싸일 것으로 보인다.최근 들어 중국의 급속한 성장에 대해 서구언론들의 관심이 갈수록 고조되고 있다. '월 스트리 ... ...
사람은 왜 죽는가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삶과 죽음은 염색체 꼴찌 부위에 있는 일단의 DNA 무리인 말단소립이 결정한다. 우리가 태어날 때 말단소립은 6천-만개의 염기쌍을 갖고 있지만 매년 소멸돼 짧아지면 세포가 정상적인 분열을 멈추게 된다. 따라서 말단소립의 소멸속도를 감안해보면 대략 최대 수명을 짐작할 수 있다.입시 지옥이라 ... ...
태아 뇌세포 이식수술 효능 밝혀져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파킨슨병의 병인은 뇌의 바닥부위에 있는 흑질 세포의 파괴이다. 따라서 흑질세포에서 유래하는 신경 전달물질의 하나인 도파민(dopamine)이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파킨슨병 환자들은 근육의 경련이나 경직 등의 증상에 시달리게 된다.발병초기에는 도파민의 생성을 도와주는 L-도파라는 약을 투여하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