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고"(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SPACE] 토성의 ‘절대 고리’가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않았다가 넓게 보였다가를 반복한다. 1610년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망원경으로 토성을 보고 깜짝 놀랐던 이유도 바로 그때가 하필이면 고리가 넓게 보이는 시기였기 때문이다. 당시의 망원경으로는 고리의 형태를 명확하게 분간할 수 없었으니, 갈릴레이가 토성의 양옆에 붙은 게 ‘귀’가 아닌지 ... ...
- Part 1. 인테리어 돕는 수학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있어요. 3D 홈디자인은 홈페이지에서 자신이 사는 집을 검색한 뒤 원하는 대로 집을 꾸며보고 물건을 가상으로 배치해 볼 수 있는 온라인 서비스예요. 사실 아파트마다 내부를 보여주는 2차원 도면은 인터넷에 대부분 공개돼 있어요. 이를 활용해 3차원 입체 도면을 만들어 서비스하고 있는 것이죠. ... ...
- [수셰프 피터팍의 맛있는 수학] 떡국 한 입, 타원 한 입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재료는 떡국떡국떡이고 그걸로 만든 국은 떡국떡국떡국이고…(이하 생략). 이걸 보고 있으니 제가 떡국떡인지 떡국떡이 저인지 알 수 없는 무한의 굴레에 빠져드는군요. 여러분도 해보세요. 떡국떡국떡국에 들어가는 떡은 떡국떡국떡국떡, 그러면 떡국떡국떡국떡으로 만든 국은… ... ...
- [10대의 약] ‘키 크는 주사’ 맞으면 170cm가 180cm되나요?과학동아 l2019년 01호
- 10cm 이상 자라는 등 성장 속도가 빨라져 일반적인 성장 범위 안에 들어갔다는 내용을 보고하기도 했습니다. doi:10.1038/ncpendmet0169 다만 사춘기가 시작되면 성장 속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사춘기 시작 전에 성장호르몬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성조숙증이 있는 경우에는 뼈가 빨리 자라면서 ... ...
- [시사기획] 2019 미세먼지 전망 어디까지 알아냈나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시판되는 미세먼지 농도 간이측정기는 대부분 먼지 입자에 빛이 부딪쳐 산란되는 양을 보고 간접적으로 재는 원리다. 안 연구관은 “광산란법으로 정확하게 미세먼지를 측정하려면 입자 크기별로 밀도를 고려해야 하고, 빛을 산란시킬 수 있는 수분도 제거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 ...
- [나의 중국 유학 일기] 중국어 5년 배우고 중국 유학 결심하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신입생들은 자신이 속한 학과 사무실에 가서 도착 보고를 해야 한다. 학과 사무실에 도착 보고를 하고 나면, 시스템에 학적이 등록된다. 여기까지만 끝내면 일단 입학 전에 처리할 일은 전부 끝났다고 보면 된다. 처음 중국어를 배우기 시작한 뒤 지금까지 7년 정도 흘렀다. 처음 중국에 왔을 때는 ... ...
- [동아리탐방] 동아리계 VIP를 꿈꾼다! 포항제철고 Math V.I.P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처음에는 내 생각대로만 하려고 했다”며, “친구들이 의견을 내자 더 재밌어지는 걸 보고 협동의 힘을 실감했다”고 밝혔다. 이동호 교사는 “부서 간의 호흡이 잘 맞고 구성원들이 잘 따라주니 좋은 결과가 나올 수밖에 없다”고 비결을 말했다. ● 본격 부서 뽐내기 시간 “우리 부서는요~!”Math ... ...
- [큐레이터조의 수학미술관] 4차원 세계로 들어간 화가, 파블로 피카소와 큐비즘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작품을 표현한 방법, 아이디어가 높이 평가되지요. 그러니 피카소의 큐비즘 작품을 보고 신기하고 독특하지만 아름답지 못하다고 느끼는 게 당연합니다. 수학자, 큐비즘에 영감을 주다! 수학미술관만의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려드릴게요. 피카소가 큐비즘 작품을 그리는 데는 다양한 곳에서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지진계 만들기 - 흔들흔들, 진동을 기록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용이 물고 있던 구슬이 아래쪽에 있는 두꺼비의 입속으로 떨어져요. 사람들은 이를 보고 땅이 흔들린 걸 알아챘지요. 근대의 지진계는 1880년대, 영국의 지진학자 제임스 유잉, 토머스 그레이, 존 밀른이 만들었어요. 스프링이나 긴 끈에 무거운 추를 매달고, 그 밑에 펜을 달아 진동이 오면 종이에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내 몸의 설계도 읽는 유전체 해독 기술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크기별로 줄 세울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맨 마지막에 위치한 디디옥시뉴클레오타이드를 보고 염기의 순서를 읽었습니다. 생어 박사는 이 기술을 이용해 박테리오파지(세균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의 DNA를 정확하게 해독했습니다. 이를 ‘생어 해독법(Sanger Sequencing)’이라고 부릅니다. 생어 ... ...
이전1721731741751761771781791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