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문제"(으)로 총 13,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1호
- 후보자로 거론되는 허준이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교수님은 대수기하학 도구로 조합론 문제를 풀었답니다. 여러분이 수학자가 되고 싶다면 다양한 분야에 열린 마음으로 관심을 가지면 좋겠어요. 지금 관심이 가는 분야를 즐겁게 공부하되, ‘나는 이것만 할 거야’라는 마음으로 한계를 두지 않기를 ... ...
- 탐험은 계속된다! 2020 탐험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박진영 연구원님까지 1년간 함께한 멘토들의 이야기는 탐험 열정을 자극했답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프로토타입을 6개나 만들었어요.”둘째 날인 5일 라이브에서는 무려 7시간 동안 생방송이 이어졌어요. 탐험대원 학생 80여 명이 모두 출연해서 6개월간 탐험했던 솔직하고 흥미진진한 ... ...
- [섭섭박사의 마이랩@홈] 어떤 동전이든 척척 가려내지! 동전 분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그래서 일본 자판기에 500원을 넣으면 약 10배나 비싼 500엔으로 인식해 상품이 나오는 문제가 생겼지요. 일본에서는 500원을 500엔으로 악용하는 사례가 생겼어요. 이후 일본은 500원이 500엔보다 무겁다는 점을 이용해, 자판기 속 동전 분류기에 무게 인식 기능을 추가했어요. 하지만 500원에 흠집이나 ... ...
- 단백질 구조 50년 수수께끼 풀었다, 구글 인공지능 알파폴드2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가능한지, 결합 강도는 얼마나 강할지 예측하는 것은 구조를 밝히는 것보다 더 어려운 문제다. 마지막으로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로부터 3D 구조를 예측할 수 있게 됐으므로, 반대로 3D 구조를 가지는 단백질을 가지고 아미노산 서열을 설계하는 ‘단백질 디자인’ 연구도 이전보다 훨씬 활발해질 ... ...
- 천문학계 노병, 우주에 잠들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기울어졌고, 결국 임무를 종료할 수밖에 없었다.스토리-롬바르디아 박사는 “장비에는 문제가 없어 스피처를 아주 느린 데이터 전송 모드로 계속 운영할 수도 있었지만 스피처 미션에 관여했던 모든 사람과 논의한 끝에 은퇴를 결정했다”며 “스피처는 처음부터 끝까지 훌륭한 과학(great science)을 ... ...
- 6G 갖춰야 할 성능, 가능케 할 기술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무선 채널의 내부 구조 이해나 무선자원 관리 등 모든 영역에 걸쳐 있는 신호처리 문제가 AI로 해결될 것으로 내다봤다. 고 실장은 “3D 홀로그래픽 영상이나 가상현실, 공장자동화, 자율주행 기술 등 다양한 6G 서비스를 고성능으로 구현하려면 관련 AI 기술 개발이 필수”라며 “뇌 신경망의 ... ...
- [논문탐독] 광자력계 그물 펼쳐 암흑물질 찾는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잡음이 마치 암흑물질이 있는 것처럼 신호를 왜곡시킬 수 있었습니다.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광자력계 그물(네트워크)을 제안했습니다. 암흑물질이 우리은하에 넓게 분포해 중력을 행사하고 있다면, 그 암흑물질은 단순한 도시 규모가 아니라 더 큰 규모로 존재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 ...
- [과동프렌즈] 99%를 100%로...과학계 논쟁 해결하는 과학자가 꿈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해결했다는 데 크게 감명받았다”고 밝혔다.김 군은 평소에도 오랜 논쟁 끝에 풀린 문제들에 관심이 많았다고 했다. 과학동아는 이런 논쟁의 최전선인 최신 연구 현장을 접할 수 있는 창구였다. 김 군은 교사인 부모님을 따라 학원 하나 없는 농어촌 지역에서 학교를 다녔는데, 과학동아는 김 군의 ... ...
- [특집] 호주 생태계, 풍선 인형에게 맡겨달라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지키는 파수꾼으로 만들었어요.호주 내륙에서는 소와 양 등의 가축을 많이 키워요. 문제는 들개인 ‘딩고’ 무리가 자주 가축 무리를 습격한다는 거예요. 딩고를 막기 위해 20세기 초 호주 전역에 수천km의 ‘딩고 철조망’이 설치될 정도였죠. 하지만 철조망만으로는 가축을 지키기 힘들어 농부들은 ... ...
- [기획] ‘정상 체온’은 어떻게 결정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일정 온도를 넘어서면 효소를 이루는 단백질 구조가 변형돼 촉매 기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답니다. 2014년, 독일 튀빙겐대학교 한스 비스왕거 연구원이 낸 리뷰 논문에서 효소는 37℃에서 활성도가 높으면서도 변성될 위험이 적다는 사실이 드러난 바 있지요 ... ...
이전1721731741751761771781791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