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단
그룹
떼
모임
패거리
동아리
단체
d라이브러리
"
무리
"(으)로 총 2,121건 검색되었습니다.
독특한 삶 속에서도 빛나는 업적 남긴 20세기초 수학의 천재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그 값의 표현에 끝이 있을까? 1767년 람베르트(Lambert)는 π가
무리
수임을 증명하였고(
무리
수는 분수로 표시될 수 없는 수로, 계산하면 소숫점이하 무한히 계산할 수 있다) 1882년에는 린데만(Lindemann)이 π는 초월수임을 증명했다(초월수는 유리수의 계수를 갖는 고차다항식의 해가 될 수 없는 수).여기서 ... ...
물과 빛으로 쇠를 자른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소모된다. 그러나 서로 특성이 다른 두 시스템의 운전비를 수치적으로만 비교하는 것은
무리
가 있으며, 그밖의 여러 활용도 측면에서 충분한 검토가 있어야 할 것이다.워터제트절단시스템은 국산제품이 개발돼 국내에 공급되고 있다. 레이저절단시스템은 아직 국내개발실적이 없지만 최근 저출력의 ... ...
AIDS 백신과 치료제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AIDS라는 새로운 전염병이 나타났을 때 사람들이 이러한 백신의 출현을 기대한 것은
무리
가 아니다. 그러나 이 경우 우리가 당면한 도전은 유례가 없는 것이다.바이러스의 당단백에 관심집중돼우선 사람의 레트로바이러스(HIV는 레트로바이러스의 일종이다) 감염과 그에 대한 백신개발 경험이 거의 ... ...
산양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처하게 됐다.최근 강원도 향로봉의 고진동계곡 부근 휴전선 철책 사이에서 번식한
무리
가 30개체로 증식돼 타지역에서의 감소를 보충해 주고 있다. 생태계의 보전이야말로 야생동물의 보존에 커다란 역할을 하고 있다는 좋은 본보기가 아닐 수 없다.산양은 현재 국내에서 천연기념물 제2백17호로 ... ...
코뿔소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마시면 늙지 않는다고 생각했다.코뿔소는 모든 종이 국제보호동물이며 사라져가는
무리
다. 한약재의 원료, 장식용 원료 등으로 마구 남획돼 개체수가 감소되고 또 분포권이 좁아지고 있어 범세계적인 보호대책의 수립이 요망된다. 이들의 절종을 방지하기 위한 우리 모두의 지혜를 모을 때가 바로 ... ...
저무는 토성과 떠오르는 샛별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맞추고 마차부자리 시타별을 향해 망원경을 움직이다 보면 시야의 위쪽에서 작은 별
무리
를 발견하게 되는데, 이것이 M37이다. 이 성단은 12.5등급의 별 약 1백50개를 포함하고 있으며 총 밝기는 6.2등급 정도다. 우리로부터 약 4천6백광년 떨어져 있고 성단의 크기는 시직경이 약 20’정도로 M36 크기의 약 ... ...
아름다운 꽃을 찾아 나비를 따라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해소는 저절로 됩니다. 특히 나비는 오후 4시면 자취를 감춰 일찍 귀가할 수 있으니 몸에
무리
가 따르지 않는 것도 장점이지요."그는 나비채집만큼 쉽게 시작할 수 있고 비용이 적게 드는 취미활동도 드물 것이라고 단정한다.우리나라에는 모두 2백50여 종의 나비가 살고 있는데, 그중 남한에서 볼 수 ... ...
성인병 예방의 지름길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사우나로 몸을 풀고 집에 돌아가다가 가슴의 통증이 심해져서
무리
한 운동으로 인한 근육통이라고 생각하고 약국에 들려 진통제를 사먹고 귀가하였다. 그러나 집에서도 통증이 계속됐으며 힘이 빠지고, 식은땀이 나고, 창백해지며, 점차 의식이 몽롱해져 가족들에 의해 ... ...
차세대 교통수단으로 주목받는 자기 부상 열차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하나도 없는 자기부상식을 선택할 수 없다는 것. 이 결정은 지금의 시점에서 보더라도 큰
무리
가 없었다는 것이 중론이다.오히려 이 논쟁에서 자기부상파들은 망외의 성과를 거두었다고 할 수 있다. 자기부상 열차는 처음부터 경부선과 같은 중장거리 고속시스템에 채용되기보다는 공항과 도심(예를 ... ...
(2) 공룡은 왜 사라졌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종들은 언젠가 멸망한다. 그 비워 놓은 자리에 새 종이나 새
무리
들이 들어서는 자리바꿈의 형식으로 진화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공룡이 절멸한 것 자체는 크게 이상할 것이 없다.공룡 멸망의 원인설은 공룡의 명성만큼이나 풍성하다. 기후의 한냉화가 원인이었다는 주장이 있는가 하면 더위로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